$\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베이스의 Linked Open Data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계
A study on designing guidelines for Linked Open Data organization of national databases 원문보기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Aug. 16, 2012년, pp.63 - 68  

이현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베이스는 공무상의 활용뿐만 아니라 민간의 창의성과 결합할 경우 새로운 비즈니스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 해외 주요국들은 공공정보 재사용의 가치를 깨닫고 공공데이터를 Linked Data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Linked Data는 웹에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개방하여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 공공정보의 개방과 재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Linked Data 구축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데이터, 시스템, 서비스의 3가지 측면에서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데이터 표준화 측면에서는 데이터 표현 및 접근에 관한 표준을 준수하고, 표준화된 데이터모델과 데이터구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완전하게 수요자 입장에서 배포해야 한다. 특히 데이터의 상용화나 재가공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완전한 공개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 시스템 표준화 측면에서 Linked Data 플랫폼은 트리플 스토어, 원데이터의 트리플 변환기, 그리고 추론기로 구성되어야 한다. 서비스 표준화 측면에서는 Linked Data를 이용자에게 다양한 포맷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공공정보의 공개와 재사용성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거버넌스와 지원이 마련되어야 공공정보의 Linked Data 플랫폼이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 고등학생이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공개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발한 버스도착 앱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그 활용 가능성과 수요를 확인한바 있다. 공공정보의 재사용은 바로 이 스마트폰 앱이 개발된 것처럼, 공공정보를 민간에 제공하여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려는 것이다. 이로써 행정기관은 업무의 부담을 덜고 고품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국민은 다양하고 고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 - 플랫폼은 SPARQL Endpoint를 기본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SPARQL 질의 사용이 어렵거나, 해당 Linked Data 서비스의 모델을 인지하지 못하면 캐쉬 구조의 사용을 증진하기 위한 중간 매개체로 REST 기반의 API를 제공하도록 한다.
  • 2009년 들어 공공 데이터의 공개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연방 정부에서 생산된 기계 가독형 데이터셋을 공개함으로써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오바마 정부에서 구축하였다. 연방 정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장려함으로써 정부의 벽을 뛰어 넘어 데이터의 창조적 이용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 연방 정부에서 생산된 기계 가독형 데이터셋을 공개함으로써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오바마 정부에서 구축하였다. 연방 정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장려함으로써 정부의 벽을 뛰어 넘어 데이터의 창조적 이용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data.
  • 이 연구는 공공정보로써 국가가 생산한 정보원들을 체계적으로 공개하여 민간과 정부가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가운데 하나인 절차표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공공정보개방을 위해서는 위키피디아와 연계된 디비피디아(DBpedia) 구축을 우리나라에서 구조화한 한국형 플랫폼과 이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표준화를 제안하였다.
  •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국가나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자원의 공개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개방형 DBpedia를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표준화는 국가의 표준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
  • 이 연구는 공공정보로써 국가가 생산한 정보원들을 체계적으로 공개하여 민간과 정부가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가운데 하나인 절차표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공공정보개방을 위해서는 위키피디아와 연계된 디비피디아(DBpedia) 구축을 우리나라에서 구조화한 한국형 플랫폼과 이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표준화를 제안하였다. 제안은 크게 데이터에 관한 것과 시스템에 관한 것,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 초창기의 웹과 같이 데이터의 자유로운 연결과 이용은 새로운 데이터를 생산하고 양질의 데이터는 트래픽이 증가하게 되는 네트워크화(Network of Data, Cloud of Data)가 지속될 것이다. 또한 초기의 LOD Cloud에 진입한 데이터 셋들은 향후에 선점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한국문화정보센터, 2012).
  • 9) 데이터를 빨리 개방해서 오픈 표준포맷으로 이용가능하다는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한다. 10) 공공정보는 법적으로 자유롭게 이용가능해야 한다. 11) 공공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등록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10) 공공정보는 법적으로 자유롭게 이용가능해야 한다. 11) 공공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등록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 공공단체는 공공정보를 재사용하는 데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 11) 공공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등록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 공공단체는 공공정보를 재사용하는 데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13) 공공단체는 데이터 자산목록을 관리하고 출판해야 한다.
  • 12) 공공단체는 공공정보를 재사용하는 데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13) 공공단체는 데이터 자산목록을 관리하고 출판해야 한다. 14) 공공단체는 데이터셋에 대한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생산해야 하며 이것은 통일된 온라인 접근점을 통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UK Cabinet Office, 2012).
  • 7) 정부 소유 웹사이트의 공공정보는 데이터와 서비스에 접근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출판되어야 한다. 8) 공공정보의 공개는 시의적절해야 하며, 생산 직후 공개해야 한다. 9) 데이터를 빨리 개방해서 오픈 표준포맷으로 이용가능하다는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한다.
  • Linked Data 서비스는 다음의 4가지 원칙을 공통적으로 따른다. 첫째, Linked Data는 특정 개념을 URI로 명명한다. 둘째, 이름을 명명할 때는 인간들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HTTP URI를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정표준용어사전이란 무엇인가? - “행정표준용어사전”이라 함은 각급 행정기관에서 업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명사형 어휘에 대해 행정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운영 시 사용하기 위하여 분류하고 정의한 어휘들의 집합을 말한다.
Linked Open Data란 무엇인가? Linked Open Data (LOD)는 시멘틱웹이 표방하는 데이터웹(Data Web)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으로 인터넷 상의 각 사이트에서 RDF 형식의 데이터를 RESTfu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형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Linked Data를 통해 관련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의 장점은 무엇인가? - 데이터를 URI와 RDF, HTTP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가 만든 데이터가 아니라도 Linked Data로 연결되면 하나의 지식베이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 Linked Data를 통해 공개된 데이터를 이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는지, 어디에 존재하는지 알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일로(silo) 문제에 의해 발생된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시멘틱웹 표준인 RDF 형태의 데이터로 발행하므로 마치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처럼 질의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호운용성을 높이고, 데이터 통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 URI로 구별되는 데이터 리소스의 자유로운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고, SPARQL Endpoint를 통해 SPARQL 질의가 가능하며, 이를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OpenAPI에 비해 데이터 접근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어 데이터 지향의 매쉬업을 할 수 있다. - 초창기의 웹과 같이 데이터의 자유로운 연결과 이용은 새로운 데이터를 생산하고 양질의 데이터는 트래픽이 증가하게 되는 네트워크화(Network of Data, Cloud of Data)가 지속될 것이다. 또한 초기의 LOD Cloud에 진입한 데이터 셋들은 향후에 선점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한국문화정보센터,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