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시출현 자질과 집단 지성을 이용한 지식검색 문서 사용자 명성 평가
User Reputation Evaluation Using Co-occurrence Featur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원문보기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8년도 제2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2008 Oct. 10, 2008년, pp.79 - 84  

이현우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한요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김래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차정원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많은 사용자들의 참여로 구축된 집단 지성을 이용한 지식 검색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을 빨리 찾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조회 수, 추천 수, 답변 수와 같은 비텍스트 정보가 답변을 평가하는데 좋은 자질임이 증명되었고,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단어 사전을 이용하여 답변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조회 수, 추천 수, 답변 수와 같은 비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조작이 간단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며,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는 단어는 지속적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동시출현 자질을 이용한 질문과 답변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집단 지성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명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명성을 계산할 수 있다면 조회 수와 추천 수가 많지 않은 답변의 신뢰도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PageRank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사용자 명성을 계산한다. 네이버 지식iN의 문서로 실험한 결과, 기존 정답 선택률을 보완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어떤 문서에 특정 문서로 향하는 하이퍼링크 (hyperlink)는 문서를 작성자의 판단이 인코딩 되어 있는데, 중요한 문서일수록 그 문서로 향하는 하이퍼링크의 개수가 많아진다. 그래서 [3]은 권위 있는 문서를 특정 질의와 관련성 높은 문서들의 하이퍼링크의 구조를 분석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 대부분 질문에 나온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답변을 작성하기 때문에 질문과 답변은 유사도가 높으며, 반대로 선택되지 않은 답변은 유사도가 많이 떨어진다. 그래서 질문과 답변의 유사도를 질문에 출현한 단어와 답변에 출현한 단어의 동시출현 자질 정보[2]를 이용하고, 사용자 명성이 높은 사람의 답변이 우수한 답변으로 추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려고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명성을 평가하여 새롭게 제시된 답변의 품질을 평가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단순한 비텍스트 정보는 조작이 간편할 뿐더러, 먼저 작성된 문서보다 비 텍스트 정보가 부족하여 나중에 작성된 문서가 아무리 높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하여도 항상 낮은 순위를 가지므로 올바른 문서 품질 평가 불가능하다.
  • 본 논문에서는 지식검색과 같은 사용자 참여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답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동시출현 자질을 사용, 질문에서 선택된 답변과 선택되지 않은 답변의 유사도를 비교 하여 아무리 많은 답변을 작성하였다고 해서 사용자 명성이 높아지지 않고, 질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답변 작성자의 사용자 명성을 높일 수 있는 자질을 개발하였다.
  • 지식검색 문서의 질문과 답변에서 유사도를 측정하고자 동시출현 자질 정보를 이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2]에서 블로그의 스팸 덧글을 분류하고자 블로그 본문에 있는 주제어(명사류)와 덧글에 있는 주제어의 동시출현 자질 정보를 이용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주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n-gram을 이용한 동시출현 자질 정보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는 특정 분야에 사용하는 주제어인 경우, 축약형이 많으며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만 사용하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므로, 범용으로 제작된 품사부착기 또는 명사추출기는 주제어를 찾기 힘들 뿐더러, 찾는다 하더라고 오류를 범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 오히려 잘못된 주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사용자 명성(User Reputation)’ 알고리즘은 질문과 답변의 작성자 모두를 하나의 문서로 가정하고 질문과 답변의 작성자 사이에 가상의 링크를 생성하여 링크를 분석하는 단계까지는 PageRank와 비슷하지만 링크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명성을 추정한다는 점이 PageRank와 다른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검색 문서 품질 평가의 초기 연구 단계에서는 어떤 요소들을 이용해 문서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는가? 지식검색 문서 품질 평가의 초기 연구 단계에는 조회 수, 추천 수, 답변 수와 같은 지식검색 서비스 업체에서 측정할수 있는 비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문서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1].
집단 지성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인터넷은 집단 지성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 인터넷 무료 백과사전인‘위키피디아(Wikipedia, http://wikipedia.org/)’,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동영상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유튜브 (YouTube, http://youtube.com/)’,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페이스북(FaceBook, http://facebook.com/)’, 국내에서는‘네이버 지식iN(http://kin.naver.com/)’, ‘Daum 신지식(http://k.daum.net/)’과 같은 지식검색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집단 지성을 이용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찾는 데에 부담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위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찾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부담을 준다. 생성된 컨텐츠가 많을 뿐더러, 동일한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등록하여 동일한 컨텐츠가 다수개 검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