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인체정보의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Korean Human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08 May 01, 2008년, pp.294 - 300  

이승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신진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안부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인체 정보는 의료, 스포츠, 안전, 군사, 게임 등 각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국가적인 정보 인프라라 할 수 있다. KISTI는 2000년부터 한국인의 인체영상, 골격영상, 골격물성, 인체골격모델 등의 정보를 구축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도 인체 데이터를 계속 생산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대학의 연구자 및 산업체에 보급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의 인체 데이터의 활용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로서 해외의 인체정보 활용사례와 KISTI가 개발하여 국내외에 보급하고 있는 한국인의 인체정보에 대해 활용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활용의 주요한 특징과 시사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소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man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at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medical, sports, safety, military, game etc. The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tart to produce the Korean human information since 2000 and continue to pro...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데이터를 제공받아 활용하고 있는 모든 기관을 방문하여 활용내용을 정밀 파악하고 사용상의 문제점이나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그래서 그 결과를 데이터의 보완하는데 적용함으로써 더 좋은 데이터를 더 많이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 하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체정보의 활용을 제고하기 위해 인체정보의 종류, 영상획득 그리고 처리 분야에서 구축된 데이터나 기술들에 대해 생명과학, 의료 종사자 및 컴퓨터 관련 기술 분야의 연구자들과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된 인체정보에 대한 제공, 활용 목적, 현황 등은 국내 연구자들에게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고 발전동향 및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 모델링 및 인체 가시화 연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인체 모델링 및 인체 가시화 연구는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어 IT 분야와 의학 분야의 융합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한 치료 과정의 일부분으로 인체에 대한 CT나 MRI를 활용하다가 다양한 단층촬영 장치와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면서 단순한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을 만들 수 있어 의학 연구, 교육 및 임상 진단 치료 분야에 활용되어 왔다.
MRI, CT의 이미지 해상도는 어떠한가? Visible Human Male의 데이터집합은 MRI, CT, 해부학이미지로 구성되며, 1994년 11월에 완성되었다. MRI는 256×256 해상도의 12비트 그레이톤으로 이루어졌으며 CT는 512×512 해상도의 12비트 그레이톤으로 1mm 간격으로 이루어졌다. 각 해부학이미지는 7.
미국의 VHP에서 디지털이미지라이브러리의 구축이 필요하게 된 배경은? 미국의 Visible Human Project(VHP)는 1986년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중장기계획으로 치료 의학이나 생명의료분야에서 전자 이미지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면서 인체의 완벽한 해부학적 표현을 위해 디지털이미지라이브러리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로 1994년에 Visible Human Male, 1995년에 Visible Human Female 데이터를 각각 인터넷에 공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