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시멘틱스 기반 질의 의미 분석
Semantic Parsing of Questions based on the Frame Semantics for Korean Question Answer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2016 Oct. 07, 2016년, pp.122 - 127  

함영균 (한국과학기술원) ,  남상하 (한국과학기술원) ,  최기선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서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자연언어 질의 이해를 위하여 프레임 시멘틱스 기반 의미 분석방식을 제안한다. 지식베이스에 의존적인 질의 이해는 지식베이스의 불완전성에 의해 충분한 정보를 분석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질의의 술부-논항구조 및 그 의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자연언어 질의에서 나타난 정보들을 충분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자연언어 질의를 입력으로 받아 이를 프레임 시멘틱스의 구조에 기반하여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임의의 RDF 표현방식의 모형 쿼리를 생성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온톨로지 매핑: 본 시스템은 3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상의 지식베이스를 가정한 모형 쿼리 생성을 위하여 질의에서 분석되어야 하는 최대한의 정보를 의미 분석하는 데에 목표로 하였다. 실제 지식베이스를 대상으로 한 질의응답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디비피디아와 같은 현존하는 지식베이스의 스키마에 대하여 매핑된 SPARQL 쿼리를 생성하는 온톨로지 매핑이 추가 연구로 남아있다.
  • 또한 질의에 대한 프레임넷 코퍼스는 한국어는 물론 영어에 대해서도 진행된 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해 최소한의 학습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에 공개된 자연언어처리 도구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질의의 형태에 대하여, 질의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모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추출 방식이 아닌 의미 분석 방식을 채택하였고, 전통적 의미 분석 방식의 한계인 어휘의 의미모호성 문제는 프레임 의미 모호성의 문제로 국한시켰다.
  •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그래프를 QAF(Question Answering with Frame Semantics)로 부르며, 질문에서 분석되어야 할 필수요소들이 충분히 분석되는 구조로서 보았다. 이때 질의에서 나타난 조사는 의미 분석에서 주요한 특질로서 고려되지만, QAF에서는 실제 논항이 아니라고 간주하여 제외하도록 하였다.
  • 이때 질의에서 나타난 조사는 의미 분석에서 주요한 특질로서 고려되지만, QAF에서는 실제 논항이 아니라고 간주하여 제외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으로 한국어 질의를 받고, 출력으로 QAF를 내어주는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언어 질의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의미 분석으로서 QAF 모형 쿼리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식베이스에 의존적인 쿼리 생성은 지식베이스의 불완전성으로 질의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충분히 분석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의미 분석으로서 프레임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그리고 질의에서 제공하는 정답의 근거들(3)은 SPARQL 쿼리에서 와 같은 트리플 패턴으로 작성되어 수많은 지식베이스의 개체들 중에서 가장 정답에 가까운, 즉 트리플 패턴의 조건들에 부합하는 개체들을 정답으로 내어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를 충분히 의미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위의 세 가지 요소를 모두 발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러한 프레임은 종종 지식베이스의 스키마로서 사용되기도 한다[9].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에 대한 의미 이해 방법으로서, 프레임 구조에 기반한 모형 쿼리(pseudo query)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재의 연구 범위에서는 단문 질의와 단답형 질의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아래 표 1에서 위에서 상술된 정보추출(IE) 방식과, 전통적인 의미 분석(SP) 방식, 그리고 본 논문과의 연구 위치를 비교하였다.
  • SRL 결과에서 발견된 복수개의 술부-논항 그래프의 경우 독립적인 어노테이션 층으로 존재하여, 두 그래프를 연결해주는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시스템에서는 각 논항들의 문장 내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어노테이션 들을 연결하는 모듈을 개발하여 포함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JSON 포맷과 RDF 포맷의 두 가지 형태로 출력된다. 여기에는 추후 디비피비아와 같은 실제 지식베이스에 적합한 SPARQL 쿼리로 변경하는 모듈을 개발하는데 있어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언어 질의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의미 분석으로서 QAF 모형 쿼리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식베이스에 의존적인 쿼리 생성은 지식베이스의 불완전성으로 질의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충분히 분석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의미 분석으로서 프레임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복문 질의에 대한 처리 및 실제 지식베이스에의 적용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베이스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에 관심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현재 Freebase[1], DBpedia[2], YAGO2[3]과 같은 지식베이스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지식베이스에 대하여 원하는 지식을 얻고자 하는 지식베이스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KBQ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식베이스들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구조화된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s, p, o] 의 트리플 형태의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으며, 이 지식베이스에 대하여 접근하기 위해서는 SPARQL과 같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쿼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대표적으로 지식베이스들은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는가? 현재 Freebase[1], DBpedia[2], YAGO2[3]과 같은 지식베이스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지식베이스에 대하여 원하는 지식을 얻고자 하는 지식베이스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KBQ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식베이스들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구조화된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s, p, o] 의 트리플 형태의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으며, 이 지식베이스에 대하여 접근하기 위해서는 SPARQL과 같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쿼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쿼리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어렵고 복잡하다는 측면이 있어 최종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좀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자연언어 질의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쿼리로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전통적으로, 자연언어 질의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쿼리로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하나는 정보추출(Information Extraction) 방식이고, 하나는 의미 분석(Semantic Parsing) 방식이다. 정보추출 방식은 지식베이스의 스키마와 질의의 구문구조, 지식베이스 온톨로지 어휘와 자연언어의 어휘간의 유의미한 관계 등을 패턴화 하여 학습하는 방식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