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해양양식장 적조피해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on of red tide damage in marine aquaculture farm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이면 찾아오는 우리나라 연근해 양식장의 이상기후 현상인 이상고온과 적조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자 사전 탐색을 위한 모니터링 기술을 제안한다. 이에 필요한 환경정보 수집요소로는 수온, 산소포화도, 조도에 관한 정보수집이 있으며, 이를 위한 센서모듈을 설계하고, 측정된 센서 정보를 수집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과 수집된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을 위한 서버측의 데이터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절차를 통한 해양 이상조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사업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제안기술은 해마다 여름철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하는 이상기후인 고수온, 적조발생에 따른 급격한 수온상승과 적조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 대응케 함으로써 어업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제안기술은 해마다 여름철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하는 이상기후인 고수온, 적조발생에 따른 급격한 수온상승과 적조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 대응케 함으로써 어업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두리 양식장의 환경정보인 수온과 용존산소량, 염도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해마다 여름철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하는 이상기후인 고수온과 적조발생에 따른 급격한 수온상승과 적조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 대응케 함으로써 어업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해마다 여름철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하는 이상기후인 고수온과 적조발생에 따른 급격한 수온상승과 적조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 대응케 함으로써 어업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현재는 시제품 단계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설계와 테스트를 진행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