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어 :
검색결과 (226)
[학위논문] 독활(Aralia contientalis Kitagawa) 부정근의 배양 및 생리활성

심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vii, 57 p. , 전남대학교 대학원 , 국내석사

독활은 한방에서 무통증, 신경통, 발한, 그리고 류마티스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독활 부정근의 최적조건 배양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부정근을 유도하기 위해 배양한 유식물체의 잎 절편은 IAA를 단독 또는 IBA와 혼합하여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부정근 형성은 1.0 mg/L IAA와 0.5 mg/L IBA를 혼합하여 첨가한 MS배지에서 높은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부정근은 1.0 mg/L IAA와 0.5 mg/L IBA를 혼합하여 첨가한 MS배지 (pH 6.5)에, 50 g/L sucrose와 초기 접종량 6 g/L을 접종한 후 암배양 시 가장 높은 생장을 나타내었다. 독활 부정근의 총 페놀 함량은 102.2 mg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8 mg QE/g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및 ABTS 소거능에서 RC50값이 각각 175.6 ㎍/mL, 279.7 ㎍/mL을 나타냈다.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한 항균 활성은 S. aureus, S. epidermidis, B. subtilis 그리고 S. enterica에 대해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독활 부정근 유도 및 배양의 조건 확립되었으며,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측정을 통하여 천연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논문] 독활(獨活)(Aralia continentalis)추출물 Continentalic Acid의 항균활성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Continentalic Acid from Aralia continentalis)

오서진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정승일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김자영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19 no.2 = no.30 ,pp. 161 - 167 , 2006 , 1738-6640 ,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활(Aralia continentalis)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일환으로 항균실험과 분리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항균활성물질 분리는 독활을 클로로포롬으로 추출하여 실리카겔($SiO_2$)과 분취용액체크로마토그래피(prep-HPLC)법으로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핵자기공명(NMR) 등 분광학적인 기법으로 이용하여 구조동정을 하였다. 이때 2종의 화합물은 (-)-pimara-8(1),15-diene-19-oic acid와 (24E)-stagmasta-5,22-dien-$3{\beta}-ol$임이 확인되었다. 2종의 화합물에 대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및 메터실린 감응 황색포도상구균(MSSA)의 표준균주와 임상분리균주(MRSA)에서의 최소억제농도(MIC)가 $8-16{\mu}g/mL$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화합물(-)pimara-8(1),15-diene-19-oic acid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위논문]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추출물의 Malassezia 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진희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2008 , ⅷ, 70p. ,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비듬 치료용 합성방부제의 부작용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50여종의 천연식물들을 대상으로 5종의 Malassezia restricta, M. globosa, M. slooffiae, M. sympodialis, Pityrosporum ovale(=M. furfur)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50여종 천연물질의 항균효과는 Malassezia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microbroth dilution test를 통해 Malassezia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물질은 강활, 백작약, 독활, 황금 등으로 평가되었다. 선별된 독활 추출물의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분획물들은 water 층을 제외한 전 층에서 항균효과가 있었다. Hexane 분획물의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된 물질들의 최소살균농도 583㎍/mL으로 salicylic acid와 유사한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과 극성이 다른 hexane과 chloroform추출물은 배양액에 균일하게 용해되지 못하기 때문에 항균효과가 과소평가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소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논문] 한국독활(韓國獨活)과 중국독활(中國獨活)의 항산화효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ctivities of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신명섭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한효상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이영종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4 no.2 ,pp. 67 - 76 , 2009 , 1229-1765 , 대한본초학회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compared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used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effect Methods : We tested the anti-oxidant effect through in vitro experiment and in vivo experiment that induced oxidative stress using ethanol. Results : 1.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2.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milar between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3. The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4. The phenolic component was high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5. Both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GSH and decreased SOD activity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and the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6. Aralia continentalis Root increased GSH peroxidase activity but Angelica pubescens Root did not have such an effect. 7. Neither Aralia continentalis Root nor Angelica pubescens Ro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talase, ADH and ALDH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Conclusions : Aralia continentalis Root has a stronger anti-oxidant effect than Angelica pubescens Root. Thus, although Aralia continentalis Root is not an original plant recorded in botanical literature, it may be usable based on the data about its effects.

[학위논문] 고추역병에 대한 독활 추출물의 항진균 효과

임현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iii, 23장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내석사

독활을 이용하여 고추역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P. capsici의 항진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독활 추출물은 농도에 상관없이 높은 clear zone이 확인되었는데 62.5mg‧L-1의 저 농도 수준에서도 17mm의 높은 항진균 활성이 관찰되었고 독활 추출물의 ethyl acetate층에서의 항진균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독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층에 존재하는 ent-pimara-8(14), 15-diene-19-oic acid와 ent-Kaur-16-en-19-oic acid도 P. capsici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추 유묘를 이용하여 실시한 포트 검정에서도 예방적인 효과는 250mg‧L-1수준에서는 고추역병의 방제가는 60%이었으며 치료효과는 20%수준으로 확인되어 독활 추출물은 고추역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예방효과를 가진 방제제 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논문] 주산단지순례 (5)독활-임실

한국생약협회
한국생약보 = The Hankook-saengyark bo no.195 = no.195 ,pp. 4 - 4 , 1995 , 한국생약협회

약초 연구기관을 찾아서 (5) 진안 숙근 약초시험장

[국내논문] Alternaria panax에 의한 독활 검은무늬병(가칭) (Alternaria Leaf Spot of Aralia cordata Caused by Alternaria panax)

유승헌 , 윤해근 , 김완규 , 이영희 , 이은종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v.8 no.1 ,pp. 81 - 84 , 1992 , 0256-8608 , 한국식물병리학회

Alternaria panax에 의한 독활 검은무늬병(가칭)이 청양의 농가포장에서 발견되었다. 이 균은 독활 뿐만 아니라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두릅나무(Aralia elata), 인삼(Panax ginseng) 및 Schefflera arboricola의 잎에도 병반을 형성하였다.

[OA논문] 독활(獨活)(Aralia continentalis)추출물 Continentalic Acid의 항균활성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Continentalic Acid from Aralia continentalis)

오서진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정승일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김자영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pp. 161 - 167 , 2006 , 大韓韓醫學會 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

독활(Aralia continentalis)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일환으로 항균실험과 분리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항균활성물질 분리는 독활을 클로로포롬으로 추출하여 실리카겔($SiO_2$)과 분취용액체크로마토그래피(prep-HPLC)법으로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핵자기공명(NMR) 등 분광학적인 기법으로 이용하여 구조동정을 하였다. 이때 2종의 화합물은 (-)-pimara-8(1),15-diene-19-oic acid와 (24E)-stagmasta-5,22-dien-$3{\beta}-ol$임이 확인되었다. 2종의 화합물에 대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및 메터실린 감응 황색포도상구균(MSSA)의 표준균주와 임상분리균주(MRSA)에서의 최소억제농도(MIC)가 $8-16{\mu}g/mL$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화합물(-)pimara-8(1),15-diene-19-oic acid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논문] 독활(獨活)의 외부(外部) 및 내부형태(內部形態)와 이화학패턴연구 (A Study on Internal-External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in Angelicae Pubescentis Radix)

김홍준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자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 최고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승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2 no.3 = no.18 ,pp. 101 - 115 , 2006 , 1229-3377 , 한국한의학연구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ifferential standard of the type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e established the classificatory stand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and the physicochemistrical pattern for the four types of Aucklandiae Radix. The results follow: 1. At the external shape,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as rising lenticel and dark brown surface, Its section is light gray and its xylem is yellow gray. Aralia continentalis has big stem mark in upper portion, its section has no dense tissue with yellow gray. Heracleum hemsleyanum has dark brown surface and little lenticel, its cortical layer is white yellow and xylem is isabella and powdered. 2. At the internal shape,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as phloem with half of the root and rare vessel. Aralia continentalis has phloem with two-thirds of the root and it has broad cutting and putting vessel that formed 1-2 row. Heracleum hemsleyanum also has phloem with half of the root and wide scattered latex tube and many large vessel. 3. At the TLC pattern, Heracleum hemsleyanum has remarkable dark spot at $R_{f}$ 0.23 on the sulphuric acid color pattern test, but others have faint. 4. At the HPLC pattern, all samples have generally patterns. But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shows diminutive continentalic acid content and the peak at Rt 20.278min comes out on Heracleum hemsleyanum, but do not come out on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eracleum hemsleyanum has remarkable peak at Rt 20.278min, but shows no peak at Rt 29.023min unlike Aralia continentalis or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Also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show one remarkable peak at Rt 29.023, but Heracleum hemsleyanum do not show. Consequently,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are comparable whit continentalic acid content and Heracleum hemsleyanum is comparable with the peak at Rt 20.273 and Rt 29.023. So it is thought that content of continentalic acid and the peaks at Rt 20.278 and Rt 29.023 can apply to differentiate a species from other.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ed the basis t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학위논문] 獨活의 形態 鑑別에 관한 硏究 ((A) Study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aliae Continentalis Radix, Angelicae Pubescentis Radix and Heraclei Moellendorffii Radix)

이강영 (暻園大學校 大學院)
2007 , iv, 28p. , 暻園大學校 大學院 , 국내석사

목적 : 땃두릅(獨活) A. continentalis Kitagawa과 重齒毛當歸(중국 獨活) A. pubescens Maxim. f. biserrata Shan et Yuan 그리고 어수리(牛尾獨活) H. moellendorffi Hance 의 현미경 감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검체의 횡단면은 파라핀 절편(Paraffin Section) 방법으로 片을 만든 다음 사프라닌 - 말라키트 녹(Safranine Malachite Green) 대비 염색법으로 염색하였고, 검체의 粉末은 글리세린:초산:물(1:1:1) 용액으로 봉입(mounting)한 후 광학현미경(OLYMPUS-BHT, Japan)으로 관찰하여 사진으로 찍고 모식도를 그렸다. 결과 : 1. 외부형태에서 重齒毛當歸의 뿌리는 아래 부분에 분지가 2∼3개 또는 더 많이 있으나 어수리는 둥근 기둥 모양이고 분지가 적다. 2. 내부형태에서 重齒毛當歸의 뿌리는 횡단면 목질부에 도관이 매우 드물고 보통 낱개가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땃두릅과 어수리의 뿌리횡단면은 목질부가 발달하고 도관이 좀 크며 낱개로 있거나 또는 2∼3개씩 모여 있다. 또한 어수리의 체관부는 뿌리 반경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重齒毛當歸보다 넓다. 3. 분말형태에서 땃두릅과 어수리의 전분입자는 단일세립이 타원형을 이루거나 원형에 가깝고 직경이 6∼27㎛ 로 조금 크나, 重齒毛當歸는 전분입자가 매우 작고 단일세립은 원형에 가깝거나 타원형이며 직경이 2∼9㎛이다. 결론 : 땃두릅(獨活), 重齒毛當歸(중국 獨活) 및 어수리(牛尾獨活)는 외부형태와 내부형태에서 차이가 있어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감별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관련 콘텐츠

워드클라우드

* 저자 및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결과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기 논문 없음
(1주 전)

내가 본 논문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