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분류정보
국가/구분 |
한국(KR)/공개특허
|
국제특허분류(IPC8판) |
|
출원번호 |
10-2002-0012609
(2002-03-08)
|
공개번호 |
10-2003-0073198
(2003-09-19)
|
DOI |
http://doi.org/10.8080/1020020012609
|
발명자
/ 주소 |
- 한승호
/ 서울 강남구 대치*동 *** 국제아파트 *동 ***호
- 이은희
/ 서울 노원구 하계*동 현대*차아파트 ***동 ****호
|
출원인 / 주소 |
- 주식회사 한설그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 문암빌딩 *층
- 이은희 / 서울 노원구 하계*동 현대*차아파트 ***동 ****호
|
대리인 / 주소 |
-
특허법인우린
(Woorin Patent Firm)
-
서울 강남구 역삼동 ***-** 신원빌딩*층(특허법인 우린)
|
심사청구여부 |
있음 (2002-03-08) |
심사진행상태 |
거절결정(일반) |
법적상태 |
거절 |
초록
▼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 전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35, 36)로 나누면서, 상, 하부 격실(35, 36)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33)과, 하부 격실(36)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부 격실(36)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31)와, 하부 격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 전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35, 36)로 나누면서, 상, 하부 격실(35, 36)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33)과, 하부 격실(36)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부 격실(36)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31)와, 하부 격실(36)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32) 및, 격벽(33)의 관통공(34)에 삽입시키는 심지(37)를 포함하고, 하부 격실(36)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배수구(32)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심지(37)를 통해 하부 격실(36)에서 상부 격실(35)로 이동시키는,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건축물의 수직 벽면(1)에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30)와, 다수의 포트 박스(30)의 배수구(32)와 유입구(31)를 연결하는 제 1 배관(71)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제 1 배관(71)을 통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유입구(31)로 제 1 전자 밸브(91)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20)와, 보조 탱크(20)에 연결되는 제 2 배관(72)을 통해 보조 탱크(20)에 급수 펌프(60)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주 탱크(10)를 포함하는 급수부와, 보조 탱크(20)와 벽면(1)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80b, 80c)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자 밸브(91) 또는 급수 펌프(60)를 작동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표청구항
▼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건축물의 수직 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와, 상기 다수의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을 포함하는 식생부와,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제 1 전자 밸브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와, 상기 보조 탱크에 연결되는 제 2 배관을 통해 상기 보조 탱크에 급수 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주 탱크를 포함하는 급수부와,상기 보조 탱크와 상기 벽면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 밸브 또는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