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 구조물 정밀 안전진단 기술;터널 안전관리를 위한 정밀 안전진단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spection and Diagnosis System for Safety and Maintenance in Tunn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대우건설(주) 기술연구소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Technology Institute
연구책임자 박칠림
참여연구자 안명운 , 이회근 , 김성운 , 김영근 , 박중배 , 김유석 , 김성준 , 최양진 , 신상범 , 전진기 , 이대혁 , 김택곤 , 김현우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88-10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대우건설(주) 기술연구소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Technology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0200011721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목차 Contents

  • 1장 서 론...49
  • 1절 연구배경 및 목적...49
  • 2절 연구내용 및 범위...54
  • 2장 터널의 비파괴조사...56
  • 1절 개 요...56
  • 2절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기술...57
  • 1. 건설분야에서 비파괴 검사기술...57
  • 2. 터널에서의 비파괴 검사기술...59
  • 2.1 비파괴 검사의 조건...59
  • 2.2 비파괴 시험의 종류 및 선정...61
  • 3. 비파괴 조사의 원리 및 방법...63
  • 3.1 전자파 레이다(GPR)법...63
  • 3.1.1 전자기파의 기본 원리...63
  • 3.1.2 GPR 자료의 분석방법...66
  • 3.2 충격반향법(Impact Echo Method)...74
  • 3.2.1 충격반향법의 원리...75
  • 3.2.2 자료획득...78
  • 3.3 적외선 열화상기법...79
  • 3.3.1 적외선 열화상기법의 원리...80
  • 3절 비파괴 모델실험...82
  • 1. 시험체 제작...82
  • 1.1 Model Ⅰ...83
  • 1.2 Model Ⅱ...83
  • 1.3 Model Ⅲ...83
  • 1.4 Model Ⅳ...84
  • 2. 시험장치 및 실험방법...86
  • 2.1 GPR 시험장치 및 실험방법...86
  • 2.1.1 GPR 시험장치...86
  • 2.1.2 GPR 안테나...87
  • 2.2 충격반향 시험장치 및 방법...87
  • 2.2.1 충격반향 시험장치...87
  • 2.2.2 측정방법...91
  • 2.3 적외선 열화상장비 및 측정방법...91
  • 2.3.1 적외선 열화상장비...91
  • 2.3.2 측정방법...93
  • 3. 실험결과 및 분석...95
  • 3.1 GPR 시험결과 및 분석...95
  • 3.1.1 Model Ⅰ...95
  • 3.1.2 Model Ⅱ...99
  • 3.1.3 Model Ⅲ...106
  • 3.1.4 Model Ⅳ...112
  • 3.2 충격반향시험 결과 및 분석...120
  • 3.2.1 Model Ⅰ...120
  • 3.2.1 Model Ⅱ...122
  • 4절 터널 현장적용...125
  • 1. GPR 시험의 적용...125
  • 1.1 재래식 터널...125
  • 1.1.1 도로 터널(사례 1)...125
  • 1.1.2 도로 터널(사례 2)...127
  • 1.2 NATM 터널...130
  • 1.2.1 지하철 터널...130
  • 1.2.2 도로 터널...131
  • 2. 충격반향시험의 적용...133
  • 2.1 대상터널 및 조사...133
  • 2.2 측정결과 및 분석...134
  • 3. 적외선 열화상법의 적용...137
  • 3.1 대상터널 및 조사...137
  • 3.2 측정결과 및 분석...137
  • 3장 터널 실험 및 거동 평가...145
  • 1절 터널 라이닝...146
  • 1. 균열사례 조사...146
  • 2절 터널 라이닝 모형 실험...150
  • 1. 차원 해석...150
  • 1.1 이론적 배경...150
  • 1.2 지반과 숏크리트...152
  • 1.3 지반과 복충라이닝...155
  • 2. 실험목적...158
  • 3.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161
  • 3.1 반력 프레임...161
  • 3.2 재하 시스템...162
  • 3.3 구속조건...165
  • 3.4 시험체 제작...166
  • 3.5 지반 모형 타설...171
  • 3.6 하중 조건...172
  • 3.7 계측 및 계측기구...175
  • 4. 실험결과 및 고찰...177
  • 4.1 용어정의 및 단면력 계산...177
  • 4.2 측압·구속효과...180
  • 4.3 재하형상 효과...194
  • 4.4 재하형태 및 복충 라이닝 효과...200
  • 4.5 배면공동 존재 효과...212
  • 4.6 라이닝 두께 효?치 및 마찰 효과...230
  • 4.8.1 지반설치 효과...234
  • 4.8.2 라이닝과 지반의 마찰효과...236
  • 4.9 균열 특성...238
  • 3절 터널 원심모형실험...249
  • 1. 원심모형실험...249
  • 1.1 원심모형실험의 필요성...249
  • 1.2 원심모형실험의 원리...251
  • 1.2.1 원심모형실험의 차원해석...251
  • 1.2.2 원심모형실험의 상사성...253
  • 1.2.3 원심모형실험의 활용 및 한계...259
  • 2. 실험의 목적...267
  • 3. 실험장치 및 방법...272
  • 3.1 실험장치 및 계측...272
  • 3.1.1 원심재하기(geotechnical centrifuge)...272
  • 3.1.2 강사기(降沙機, sand rainer)...278
  • 3.1.3 사각용기(rectangular container)...281
  • 3.1.4 모형 라이닝 시험체 제작...281
  • 3.1.5 계측센서 및 장비...286
  • 3.2 실험조건...294
  • 3.2.1 라이닝 구조적 결함 및 변상조건...294
  • 3.2.2 토피고에 의한 지반하중조건...298
  • 3.2.3 지반-라이닝 접촉 및 라이닝 강성저하 조건...298
  • 3.3 강사법에 의한 표준사의 상대밀도...299
  • 3.3.1 주문진 표준사...299
  • 3.3.2 강사기를 이용한 상대밀도 조정...301
  • 3.4 실험방법...305
  • 3.4.1 라이닝 모형 준비단계...305
  • 3.4.2 용기 준비단계...305
  • 3.4.3 지반작성 단계...306
  • 3.4.4 지반성형 및 마무리단계...307
  • 3.4.5 원심 비행단계...307
  • 4. 실험 결과 및 고찰...311
  • 4.1 라이닝 변형률, 휨모멘트, 축력...312
  • 4.1.1 구조적 결함 및 변상조건...312
  • 4.1.2 보강 조건...346
  • 4.1.3 토피 조건...354
  • 4.1.4 라이닝 경계접촉 및 강성저하 조건...357
  • 4.1.5 라이닝 항복비 평가...362
  • 4.2 라이닝 토압...368
  • 4.2.1 터널 연직응력 추정이론...368
  • 4.2.2 라이닝 토압 분포...371
  • 4.3 지중토압 및 지표침하...383
  • 4.3.1 지중토압...383
  • 4.3.2 지표침하...384
  • 4장 터널 해석 및 안정성평가...386
  • 1절 터널 라이닝 해석방법...386
  • 1. 지반반력 개념에 의한 해석법...386
  • 2. 상대강성개념에 의한 해석법...387
  • 3. 수렴-구속 해석법...390
  • 4. 유한요소 해석법...392
  • 2절 터널 라이닝 설계...394
  • 1. 숏크리트 설계...394
  • 1.1 숏크리트 라이닝 허용응력 설계...394
  • 1.2 평면 숏크리트 설계...395
  • 1.3 1-mesh 보강 숏크리트 설계...395
  • 1.4 2-mesh 보강 숏크리트 설계...396
  • 2. 콘크리트 라이닝 설계...396
  • 3절 라이닝 탄소성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399
  • 1. 목적...399
  • 2. 평면프레임 요소...401
  • 3. 프로그램 요소...405
  • 3.1 항복 모멘트...405
  • 3.2 탄소성 빔...407
  • 3.3 수렴조건 및 기타...409
  • 4. 인터페이스 요소...411
  • 5. 실험과 수치해석의 비교...419
  • 5.1 6cm 단일라이닝 비교해석...420
  • 5.1.1 실험과 비교...420
  • 5.1.2 수치해석과의 비교...423
  • 5.2 9cm 단일 및 복충라이닝 비교해석...426
  • 5.2.1 실험과 비교...426
  • 5.2.2 수치해석과의 비교...427
  • 6. 복충라이닝 변수해석...431
  • 6.1 접선/법선 강성비의 변화에 따른 거동...432
  • 6.2 콘크리트 라이닝두께 변화에 따른 거동...436
  • 6.3 숏크리트 두께 변화에 따른 거동...441
  • 6.4 숏크리트의 보강에 따른요소해석...446
  • 1. 목적...446
  • 2. 지반 인터페이스 요소...446
  • 3. 변수 해석...449
  • 3.1 개요...449
  • 3.2 지반과 단일라이닝 사이의 변수해석결과...453
  • 3.2.1 단일라이닝과 지반의 동시해석시 추천사항...458
  • 3.3 지반과 복충라이닝 동시해석의 변수해석결과...458
  • 3.3.1 숏크리트와 콘크리트 라이닝 강성비 변화...458
  • 3.3.2 지반과 숏크리트 라이닝의 강성비를 변화...462
  • 3.3.3 지반과 복충라이닝의 동시해석시 추천사항...463
  • 5절 초기지압 및 지보시차를 고려한 해석...466
  • 1. 개 요...466
  • 2. 굴착 불평형력 계산 방법...467
  • 3. 해석 흐름도...471
  • 4. 프로그램 구성 요소...473
  • 5. 변수 해석...474
  • 5.1 개요...474
  • 5.2 해석 결과...476
  • 5.2.1 지반의 물성변화에 따른 라이닝 거동...476
  • 5.2.2 측압계수(K)의 변화에 따른 라이닝 거동...477
  • 5.2.3 숏크리트 라이닝 거동...481
  • 5.2.4 콘크리트 라이닝 거동...482
  • 6절 터널 라이닝 해석시스템(DW-TULAS)...488
  • 1. 개 요...488
  • 2. 해석 모듈...489
  • 2.1 Single Lining 해석모듈...489
  • 2.2 Double Lining 해석모듈...491
  • 2.3 Q4-Single(Elastic) 해석모듈...491
  • 2.4 Q4-Double(Elastic) 해석모듈...492
  • 2.5 Q4-Double(Elasto-Plastic) 해석모듈...492
  • 3. 후처리...493
  • 7절 터널 현장적용 사례...503
  • 1. 지질개요 및 터널의 제원...503
  • 2. 수치해석...505
  • 2.1 대상단면...505
  • 2.2 유한요소망 및 경계조건...506
  • 2.3 입력물성치...506
  • 2.4 허용응력의 결정...508
  • 2.5 결과 비교...508
  • 2.6 숏크리트 및 콘크리트 라이닝의 거동...510
  • 3. 수치해석에 의한 천단균열억제 방안...515
  • 3.1 처짐벡타의 비교...516
  • 3.2 축력의 비교...517
  • 3.3 휨모멘트의 비교...520
  • 3.4 정 리...520
  • 5장 터널 정밀 계측...522
  • 1절 AE를 이용한 정밀계측...522
  • 1. 미소파괴음의 원리...522
  • 1.1 Energy...523
  • 2. 실험방법...524
  • 2.1 EA 센서 부착...524
  • 2.2 EA 측정시스템...525
  • 3. 실험결과...527
  • 3.1 각 채널에서의 Energy와 Count와의 관계...527
  • 3.2 채널별 Energy 및 Count 관계...527
  • 4. 실험결과 분석...532
  • 4.1 파괴하중과 미소파괴음 발생...532
  • 4.2 채널별 energy 및 count 관계...533
  • 2절 광변위센서를 이용한 정밀계측...534
  • 1. 개 요...534
  • 2. 광변위센서 계측시스템...534
  • 2.1 광섬유의 구조...534
  • 2.2 측정 원리...536
  • 2.2.1 광량 감쇠법...536
  • 2.3 계측시스템...538
  • 3. 계측방법...539
  • 3.1 광변위센서 설치...539
  • 3.2 광변위센서 계측시험...543
  • 4. 계측결과 및 분석...544
  • 5. 터널현장적용...551
  • 5.1 대상터널 개요...551
  • 5.2 광변위센서 설치...552
  • 5.3 측정결과 및 분석...555
  • 3 자동원격측량시스템...557
  • 1. 서론...557
  • 2. 자동원격측량기술...557
  • 2.1 자동원격 무인제어...558
  • 2.2 대상물자동인식 및 추적장치...559
  • 2.3 시간경과에 따른 대상물의 변위측정...560
  • 3. 레이져발진 및 측량원리...561
  • 4. 터널 현장적용...563
  • 4.1 대상터널...563
  • 4.2 측정장비 및 설치...565
  • 4.2.1 자동원격측량기의 설치...565
  • 4.2.2 프리즘 설치...567
  • 4.2.3 측정장비...569
  • 4.3 측정결과 및 분석...570
  • 6장 터널 변상원인 및 건전도 평가...576
  • 1절 이론적 배경...577
  • 1. 인공신경망 이론...577
  • 1.1 인공신경망의 개념...577
  • 1.2 인공신경망의 특징 및 종류...581
  • 1.2.1 Mapping ANN...582
  • 1.2.2 Recurrent ANN...584
  • 1.2.3 Temporal ANN...585
  • 1.2.4 Hybrid ANN...586
  • 1.3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587
  • 1.3.1...587
  • 1.3.2 다층 퍼셉트론...588
  • 2. 터널 변상원인과 특징...600
  • 2.1 외력에 의한 변상...600
  • 2.1.1 지반이완에 의한 연직압...601
  • 2.1.2 편압·사면활동...604
  • 2.1.3 지반 미끄러짐...608
  • 2.1.4 소성압...610
  • 2.1.5 지반 지지력 부족...613
  • 2.1.6 수압·동결압...615
  • 2.1.7 지반침하에 의한 터널 침하...618
  • 2.2 재질열화에 의한 변상...622
  • 2.2.1 중성화...628
  • 2.2.2 염해...628
  • 2.2.3 유해수...630
  • 2.2.4 재료 및 시공방법과 관련된 변상...631
  • 2.2.5 강재부식...632
  • 2.2.6 알칼리 골재반응...633
  • 2.2.7 화재...633
  • 2.2.8 연해...634
  • 2.3 누수 및 동해에 의한 변상...634
  • 2.3.1 누수...634
  • 2.3.2 동해...635
  • 2.4 기타...637
  • 2.4.1 라이닝 배면공동...637
  • 2.4.2 라이닝 두께부족...638
  • 2.4.3 인버트...638
  • 3. 터널 건전도 평가기준...639
  • 3.1 국내 터널 건전도 평가기준...639
  • 3.2 국외 터널 건전도 형가기준(1)-도로터널...639
  • 3.2.1 판정구분...640
  • 3.2.2 판정기준...640
  • 3.3 국외 터널 건전도 평가기준(2)-철도터널...647
  • 3.3.1 판정구분...649
  • 3.3.2 판정기준...650
  • 2절 변상현상에 대한 해석적 연구...655
  • 1. 변상사례에 대한 검토...655
  • 1.1 변상원인별 현상 접근...655
  • 1.2 변상현상별 원인 접근...661
  • 2.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665
  • 2.1 수치해석 입력요소...665
  • 2.2 지반이완 연직압에 의한 라이닝 변상해석...669
  • 2.3 편압에 의한 라이닝 변상해석...673
  • 2.3.1 사면지형의 편압에 의한 라이닝 거동...674
  • 2.3.2 지반물성차 편압에 의한 라이닝 거동...676
  • 2.4 소성압에 의한 라이닝 변상해석...678
  • 3절 터널 건전도 평가 시스템(DW-TSES)...681
  • 1. 인공신경망 모델 설계...681
  • 1.1 학습자료 구성...681
  • 1.2 인공신경망 모델 구성...682
  • 2. 터널 건전도 평가 시스템...686
  • 2.1 터널 라이닝 변상현상의 입력...687
  • 2.1.1 외력에 의한 변상 판정항목...687
  • 2.1.2 재질열화 및 누수 판정항목...688
  • 2.1.3 건전도 평가항목...688
  • 2.1.4 라이닝 변상현상 입력항목...689
  • 2.2 터널시공조건 및 주변환경 입력...691
  • 2.2.1 외력에 의한 변상 판정항목...691
  • 2.2.2 재질열화 및 누수 판정기준...692
  • 2.2.3 터널 시공조건 및 주변환경 입력...692
  • 2.3 변상원인 추론과정...694
  • 2.3.1 외력에 의한 변상의 경우...694
  • 2.3.2 재질열화 및 누수의 경우...695
  • 2.4 건전도 평가과정...695
  • 2.5 보수보강 대책과정 제시과정...696
  • 3. 터널 건전도 평가시스템(DW-TSES)...697
  • 3.1 대상터널의 제원입력...697
  • 3.2 터널변상현상 입력...698
  • 3.3 시공조건 및 주변환경조건 입력...701
  • 3.4 변산원인 추론결과 제시...702
  • 3.5 건전도 평가 결과...703
  • 3.6 보수보강대책 제시...704
  • 4. 현장사례 적용...705
  • 4.1 소성압...705
  • 4.2 횡단방향 편압·사면활동 - 사례 1...709
  • 4.3 횡단방향 편압·사면활동 - 사례 2...713
  • 4.4 종단방향 편압·지반미끄러짐...716
  • 4.5 지반이완에 의한 연직압 - 사례 1...720
  • 4.6 지반이완에 의한 연직압 - 사례 2...723
  • 4.7 수압...726
  • 7장 터널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729
  • 1절 터널 유지관리...730
  • 1.1 유지관리의 기본적 고찰...730
  • 1.1.1 터널 유지관리의 기본적 고찰...730
  • 1.1.2 터널 유지관리의 수순...732
  • 2절 터널 보수·보강...736
  • 2.1 재질열화 대책...736
  • 2.1.1 표면청소...736
  • 2.1.2 깨어냄...738
  • 2.1.3 보강판...738
  • 2.1.4 철망공법...740
  • 2.1.5 라이닝 보강...741
  • 2.1.6 보강 새들(saddle)...745
  • 2.1.7 부분개축...746
  • 2.2 누수·동해 대책...747
  • 2.2.1 도수공법...750
  • 2.2.2 홈파기공법...751
  • 2.2.3 지수공법...751
  • 2.2.4 숏크리트공법·도포공법...753
  • 2.2.5 방수관...754
  • 2.2.6 방수쉬트...755
  • 2.2.7 배면주입공법...756
  • 2.2.8 수위저하공법...756
  • 2.2.9 단열공법...757
  • 2.3 균열보수 대책...758
  • 2.3.1 표면처리공법...759
  • 2.3.2 충전공법...760
  • 2.3.3 주입공법...761
  • 2.3.4 강재에 의한 보수공법...762
  • 2.4 외력에 의한 변상 대책...762
  • 2.4.1 소성압...764
  • 2.4.2 편압·사면활동...766
  • 2.4.3 지반미끄러짐...766
  • 2.4.4 지반이완에 의한 연직압...767
  • 2.4.5 수압...768
  • 2.4.6 동결압...768
  • 2.4.7 지반침하에 의한 터널침하...769
  • 2.4.8 지지력부족...769
  • 2.4.9 대책공법...769
  • 8장 결 론...772
  • 참고문헌...78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