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구
|
참여연구자
|
노홍길,
심재형,
김경렬,
정종률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1991-06
|
주관부처 |
과학기술부 |
사업 관리 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200013229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대마난류.동해의 순환.일차생산구조.화학추적자.수치모델.Tsushima Current.East Sea Circulation.Primary Production.Chemical Tracers.Numerical Modelling.
|
초록
▼
대한해협을 통과하기 전후의 대마난류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88-1990년에 제주해협, 제주도 동단 - 일본 고토열도, 동해의 울릉 분지 해역에서 정밀 해양관측을 실시하여 물리적(수온.염분), 화학적 (영양염, 산소동위원소비, ...
대한해협을 통과하기 전후의 대마난류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88-1990년에 제주해협, 제주도 동단 - 일본 고토열도, 동해의 울릉 분지 해역에서 정밀 해양관측을 실시하여 물리적(수온.염분), 화학적 (영양염, 산소동위원소비, NO, Alkalinity) 및 생물학적 (일차생산력, 엽록소량, 플랑크톤 현존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제까지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난류는 쿠로시오에서 분리되어 구주 서해안을 따라 북상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제주해협을 동진한 해수도 대한해협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제주도 서귀포 남방 30 해리에 투하된 Satellite Drifter(인공위성 추적 부표)는 북동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한해협 서수도를 통과한 후 동해로 유입하였다. 따라서, 대마난류는 폭넓은 해역에서 해수가 모여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울릉분지의 해수는 대한해협으로 유입한 고온.고염수 뿐만 아니라, 동해 중층수와 동해 고유수가 중요 수괴를 이루고 있다. 염분 최소층과 산소동위원소비는 최근에 해수면에서 형성된 동해 중층수가 울릉분지로 유입됨을 확인하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수치 모델링은 대마난류 뿐만 아니라, 동해에서 형성된 냉수의 순환이 동시에 중요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통하여 동해 순환을 근본적으로 재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
Multi-disciplinary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Cheju Strait, between Cheju-do and Goto Islands, and in the Ulleung Basin measuri...
Multi-disciplinary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Cheju Strait, between Cheju-do and Goto Islands, and in the Ulleung Basin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chemical tracere including stable isotope, and primary produc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water masses associated with the Tsushima Current and the circulation in the Ulleung Basin. The eastward current in the Cheju Strait seems to continue its movement through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In addition the satellite drifters deployed 30 nautical miles south of Seoguipo moved northeastward, passing the above channel. These indicates that the Tsushima Current is formed Through convergence of flow from a wide area in the East China Sea. In the Ulleung Basin the Tsushima Current Wat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and the East Sea Proper Water are distinct. A layer of salinity-minimum and ratio of oxygen isotopy ((sup)18O/(sup)16O) clearly show that the intermediate Water is Recently formed in the northern East Sea and moves into the Ulleung Basin. Numerical modelling demonstrate the importence of the cold water circulation in the East Sea
목차
Contents
▼
- 1. 서론...12
- 2. 연구방법...15
- 3. 결과 및 고찰...17
- 4. 결론...22
- 5. 참고문헌...23
- 제1세부목차...28
- 1. 서론...32
- 2. 자료...34
- 3. 수괴...35
- 4. 수직구조...36
- 5. 순환모델과 토의...44
- 6. 1988년도 조사 결과...48
- 7. 참고문헌...52
- 제 2 세부 과제...72
- 1. 서 론...80
- 2. 연구방법...83
- 3. 결 과...86
- 4. 고 찰...110
- 5. 결 론...116
- 6. 참 고 문헌...121
- 제 3 세부과제...218
- 1. 서 론...224
- 2. 재료및 방법...230
- 3. 결과 및 고찰...236
- 4. 결론...287
- 5. 참고문헌...289
- 제 4 세부과제...308
- 1. 서 론...314
- 2. 연구방법...319
- 3. 결 과...328
- 4. 고찰...357
- 5. 결 론...384
- 6. 참고문헌...386
- 제 5 세부과제...412
- 1. 서 론...418
- 2. 모델의 구성...422
- 3. 동해의 순환 (실험 1)...431
- 4. 요인들에 대한 반응...444
- 5. 결 론...460
- 참고문헌...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