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R&D연구보고서]새만금 유역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 연구 Development of Real-time Operation Models for the Management of the Saemangum Complex Water Resources System원문보기
Water resources.System analysis.Simulation.Optimization.Basin water management.Real-time operation.Water supply.Water resources.System analysis.Simulation.Optimization.Basin water management.Real-time operation.Water supply.
초록▼
새萬金 地區는 國內 干拓 史上 最大 規模의 事業으로서 전북 옥구군, 김제군, 부안군 등을 비롯한 3郡17個邑面에 걸친 40,000여 헥타의 방대한 地域을 開發對象으로 하고 있다. 對象 流域內에는 1,113개에 이르는 大小規模의 農業用 貯水地와 揚水場, 복, 導水路 등을 포함한 水資源開發施設들이 散在해 있으며, 對象 流域 外部로부터는 蟾津江댐, 錦江 廣域上水道, 扶安댐, 錦江 河口湖등의 用水供給源들로 부터 一部 용수공급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공급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간척사업에 의하여 새만금 담수호, 부창 담수호와
새萬金 地區는 國內 干拓 史上 最大 規模의 事業으로서 전북 옥구군, 김제군, 부안군 등을 비롯한 3郡17個邑面에 걸친 40,000여 헥타의 방대한 地域을 開發對象으로 하고 있다. 對象 流域內에는 1,113개에 이르는 大小規模의 農業用 貯水地와 揚水場, 복, 導水路 등을 포함한 水資源開發施設들이 散在해 있으며, 對象 流域 外部로부터는 蟾津江댐, 錦江 廣域上水道, 扶安댐, 錦江 河口湖등의 用水供給源들로 부터 一部 용수공급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공급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간척사업에 의하여 새만금 담수호, 부창 담수호와 황해 담수호가 건설되게 됨에 따라 수자원 이용 계획과 운영이 더욱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이와 같이 水資源 시스템 운영형태가 복잡하고 대규모인 새萬金 地域의 물관리를 위해서는 旣存의 流域 물 收支 分析 연구에 이어서 實時間 運營 (real-time operation)을 위한 流域 水資源 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運營 最適化 方案(system simulation-optimization)이 연구 分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새만금 지역내의 대표유역으로서 섬진강 다목적댐에서 農業用水를 공급받고 있는 동진농조관내의 유역을 선택하여 이 유역내의 降雨-流出의 수문학적 豫測技法, 用水 需要의 變化 豫測, 長期的인 流域流出 分析技法, 水資源 관련 施設의 특성과 제원 및 운영방법 등을 분석하고 用水供給 計劃과 유역내 最適 물분배 계획을 數理的으로 묘사할 수 있는 理論과 모형을 開發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들 요소들을 개인용 컴퓨터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는 통합 컴퓨터 환경으로 개발함으로써 流域 綜合 물관리를 위한 意思決定 支援시스템을 開發하였다. 이러한 硏究結果는 장래에 도입될 TC/TM 綱에 의한 유역 물관리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운영에 核心的인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이며 앞으로 流域 單位의 綜合 물관리 문제가 더욱 중요성을 더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硏究의 波及效果가 클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Abstract▼
The Saemangum area is the largest reclaimed area in Korea including 3 counties and 17 towns located in the south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re are more than 1,113 water resources facilities such as reservoirs, water canals and pools dispersed all over the area, and external water supp
The Saemangum area is the largest reclaimed area in Korea including 3 counties and 17 towns located in the south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re are more than 1,113 water resources facilities such as reservoirs, water canals and pools dispersed all over the area, and external water supply networks are proposed to provide agricultural water supply to this water-scarce area. The Saemangum area comprising numerous water resources facilities, water users, and complex conveyance networks makes one of the complex water resource systems in this country. The size and complexity of this water resource system brings in challenging operational tasks for watershed managers, and requires them to apply scientific knowledge and systematic approache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and simulation-optimization of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s approach to analyze and integrate the complex water resource system. This research first selected an appropriate watershed area in the Saemangum Complex for intensive investigation of water resources systems. The water resource system in the target area was decomposed into three major subsystems including catchments, water users, and hydraulic networks connecting various system components. Theories and computational techniques were explored to describe and predict the system components. As a final product, a water resource system management decision support system incorporating the system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integrating all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of each system component is developed.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ill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as well as a kernel fram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proposed telecommunication and telemetric network system (TC/TM) for the automated water management planned in near future.
목차 Contents
제 1부 연구과제 : 소유역 단위의수문학적모형개발연구...11
제 1 장 서 론...12
제 2 장 수문 자료의 수집 분석...16
제 3 장 미계측 중소유역 유출시뮬레이션을 위한 신경회로망 모형의 적용...40
제 4 장 Kalman Filter를 이용한 실시간 유출 예측...55
제 5 장 결 론...81
참고문헌...82
제 2 세부 연구과제 : 최적 물관리 소프트 웨어의 개발 연구...84
제 1 장 서론...85
제 2 장 수요량 산정 방법...89
제 3 장 각종 수자원 공급체계 및 네트웍화...98
제 4 장 최적화 모형의 구성...116
제 5 장 Main Program의 완성 및 사용자 지침서...129
제 6 장 결론...145
참고문헌...147
제 3 세부 연구과제 : 시스템 운영률 도출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개발 연구...149
제 1 장 서론...150
제 2 장 새만금 유역 외부로부터의 용수공급 현황 분석...154
제 3 장 새만금 유역 내부로부터의 옹수공급 현황 분석...169
제 4 장 전문가 시스템 개발환경...179
제 5 장 갈수관리 전문가 시스템 개발...183
제 6 장 저수지 운영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199
제 7 장 퍼지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217
제 8 장 결론...224
참고 문헌...225
제 4 세부 연구과제 : 유역 물관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연구...227
제 1 장 물관리 DSS의 개발 배경 및 개발 환경...228
제 2 장 시스템 구성 모듈의 구조...229
제 3 장 물관리 DSS의 사용법...237
제 4 장 결 론...256
참고 문헌...25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