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ancient wood excavated from the remai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박상진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93-02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200015349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목질유물.언륜구조.프레파라트.목재조직학.전자현미경.세포내강.annual ring.archeological remains.coffin wood.waterloged wood.wood identification.micromorphological structure.

초록

최근 각종 발굴에서 대량으로 출토되고 있는 목질문화재는 수종을 구분하므로서 다양한 고고학적인 정보를 도출할 수 있음은 물론 조직구조를 구명하여 목질문화재의 보존보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 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의 보고이다. 본 연구는 제 1편에서 관재를 중심으로 고목재의 수종을 구분하였고 제 2 편에서는 발굴장소에 따른 주요 수종의 조직구조의 미세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관재에 사용한 수종은 낙랑고분의 주목, 무령왕릉의 금송, 이조시대 민묘의 소나무등 침엽수와 의창 다호리 및 동래 복천동 가야고분의 상수리 나무, 오

Abstract

The archeological remains are recently excavated at several places of korea. This remains contained with many wooden materials that could obtain intelligence about historical events by the natural scientific surveys. This study divided into two chapters. In report of chapter 1, coffin woods we

목차 Contents

  • 차례...7
  • 제1편 출토 고목재의 수종...10
  • 제1장 서론...10
  • 제2장 연구방법...11
  • 2.1 연구재료...11
  • 2.2 실험방법...12
  • 2.3 조사방법...12
  • 2.3.1 관재의 수종...12
  • 2.3.2 연륜구조...13
  • 제3장 결과 및 고찰...13
  • 3.1 의창다호리 목관 및 부장품...13
  • 3.1.1 재료...14
  • 3.1.2 조사결과...14
  • 3.1.3 고찰...18
  • 3.1.4 결론...19
  • 3.2 백제 무령왕릉 출토관제...19
  • 3.2.1 재료...19
  • 3.2.2 조사결과...20
  • 3.2.3 고찰...21
  • 3.2.4 결론...24
  • 3.3 오야리 낙랑고분 출토목관...24
  • 3.3.1 조사결과...24
  • 3.3.2 고찰...27
  • 3.3.3 결론...29
  • 3.4 화순대곡리 고분목관...29
  • 3.5 경산임당고분목관...30
  • 3.6 동래 복천동 가야고분목관...33
  • 3.7 이조시대 민묘...33
  • 3.8 연륜구조...34
  • 3.8.1 조사방법...34
  • 3.8.2 결과 및 고찰...35
  • 3.9 종합결론 및 고찰...41
  • 제4장 참고문헌...43
  • 현미경사진 설명...46
  • 제2편 출도 고목재의 조직구조...60
  • 제1장 서론...60
  • 제2장 재료 및 방법...62
  • 2.1 실험재료...62
  • 2.2 실험방법...64
  • 제3장 결과 및 고찰...65
  • 3.1 주요구성요소의 분해형태 특성...65
  • 3.1.1 가도관...66
  • 3.1.2 목섬유...66
  • 3.1.3 도관...67
  • 3.1.4 방사조직 및 축방향유세포...68
  • 3.2 수종별 분해특성과 분류...68
  • 3.2.1 오리나무형...68
  • 3.2.2 마미송형...71
  • 3.2.3 넓은잎삼나무형...72
  • 3.2.4 금송형...73
  • 3.2.5 산벚나무형...74
  • 3.3 매몰지역에 따른 분류...74
  • 3.3.1 수침재...75
  • 3.3.2 토탄층재...76
  • 3.3.3 건조재...77
  • 3.4 구성성분의 변화...78
  • 제4장 결론...84
  • 제5장 참고문헌...86
  • 현미경사진 설명...89
  • 연구비 항목별 집행내역...106
  • 논문발표실적 및 계획...107
  • 학위배출실적...10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