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센서 이득 및 위상 변동하에서 공간 주파수 추정을 위한 광대역 어레이 신호처리
Wide-Band Array Signal Processing for Spatial Spectral Estimation with Sensor Gain and Phase Uncertaint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해군사관학교
Republc of Korea Naval Academy
연구책임자 홍우영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95-04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해군사관학교
Republc of Korea Naval Academy
등록번호 TRKO200200017299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입사각 추정.센서 어레이.공간 주파수 추정.광대역 신호.레이다.소나.추정 오차.간섭 신호 제거.Estimation of Angle of Arrival.Sensor Array.Spatial Spectral Estimation.Wideband Signal.Radar.Sonar.Estimation Error.Interference Cancellation.

초록

여러 센서들로 구성된 어레이에 받아들여진 평면파들에 대한 입사각 추정 문제는 수학적으로는 공간 주파수를 추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공간 주파수를 추정하는 많은 알고리즘들이 협대역 신호가 입사하고, 센서의 이득 및 위상은 영점 조절되어 항상 고정된 정상 이득(normal gain) 및 정상 위상(normal phase)을 유지한다는 가정하에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용분야에서 취급되는 신호는 광대역이며(특히 소나 및 지구 물리학분야의 응용에) 센서의 이득 및 위상은 적용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아 변동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Abstract

Array signal processing is concerned with the direction and estimation of signals and their parameters from data collected by spatially distributed sensors or antennas. All techniques to estimate DOA need accurate characterizations of the array and the signal. In particular, many eigen-decomposi

목차 Contents

  • 제1장 서 론...8
  • 1.1 연구배경...8
  • 1.2 연구목적...9
  • 1.3 연구범위...10
  • 제2장 신호의 모델링...13
  • 2.1 해석적 신호의 표현...13
  • 2.2 신호의 모델링...17
  • 제3장 Eigen-Decomposition Based Methods를 이용한 공간 주파수 추정...21
  • 3.1 협대역 신호틀 위한 Eigen-Decomposition Based Methods...21
  • 3.2 대표적인 광대역 신호의 공간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24
  • 제4장 광대역 신호의 공간 주파수 추정...28
  • 4.1 Reduced Rank Focusing 변환...28
  • 4.2 추정 능력 평가 및 분석...32
  • 4.3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43
  • 4.4 결과의 고찰...52
  • 부 록...53
  • 제5장 센서 이득 및 위상 변동하에서의 공간 주파수 추정...56
  • 5.1 센서 이득 및 위상 변동을 고려한 신호의 모델링...57
  • 5.2 센서 이득 및 위상 변동하에서의 입사각 추정...59
  • 5.3 최소 고유치-고유벡터 이용법...69
  • 5.4 신호 공간 제한 조건 방법...76
  • 5.5 결과의 고찰...89
  • 부 록...90
  • 제6장 센서 이득 및 위상의 결함 보정을 위한 적응 빔형성기...94
  • 6.1 선형 제한 조건을 갖는 빔 형성기...94
  • 6.2 센서 이득 및 위상 결함에 따른 GSC의 보정 알고리즘...103
  • 6.3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109
  • 6.4 결과의 고찰...114
  • 제7장 결 론...115
  • 참고문헌...116
  • 부록(논문 발표 실적 및 계획)...12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