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벌목 자원을 이용한 활성탄 생산의 산업화 기술개발
Utilization of Discarded Tree Debri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수원대학교
The University of SuWon
연구책임자 정찬교
참여연구자 김태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0-10
주관부처 농림부
사업 관리 기관 수원대학교
The University of SuWon
등록번호 TRKO200200034599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산림쇠퇴가 지구척 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요즘 산림자원의 유효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북질폐기물의 재활용이 충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에서 생산되는 여러종류의 임북 중 임지에서 방치 또는 수집되어 이용되지 못하는 목재률 폐벌목이라 하는데 이것의 종류에는 크게 간벌재, 소경재, 표고자목. 피해북 벌채퉁이 있다. 그중 현재 산지에서 발생하는 폐벌목의 대부분을 간벌재가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간벌재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인 활성탄을 생산하여 새로운 자원으로 재활용이 필요하다. 현재 경기도의 산림지역에

Abstract

It is necessary to utilize discarded tree debri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in the respects of recycling natural resources. Limited amounts of wood produced in Kyung-Gee Province have been used for construction or furniture while most of wood were simply used as cheap wood chips.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3
  • 요약문...4
  • SUMMARY...11
  • CONTENTS...18
  • 목차...21
  • 제 1 장 서 론...24
  •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24
  • 제 2 절 연구개발의 중요성...27
  • 제 3 절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34
  • 제 4 절 앞으로 전망...36
  • 제 5 절 기술도입의 타당성...37
  • 제 2 장 탄화로 제작 및 자동화 시스템 개발...38
  • 제 1 절 실험실적 탄화로 제작 방법...38
  • 제 2 절 실험실적 탄화로 제작 및 시험운전...38
  • 제 3 절 탄화로 제작 및 자동화...40
  • 제 4 절 목탄제조의 최적탄화조건...44
  • 제 5 절 목초액...46
  • 제 6 절 운전조건 자동 제어...47
  • 제 7 절 시험운영 및 결과 분석...59
  • 제 8 절 분석 및 운영결과를 이용한 개선대책 수립 및 적용...62
  • 제 9 절 Pilot형 탄화로(2㎥) 상세설계도면(Batch Type)...65
  • 제 10 절 결론...73
  • 제 3 장 조립활성탄 생산 및 양산화 공정 현장평가...74
  • 제 1 절 참나무를 이용한 조립활성탄 생산...74
  • 제 2 절 참나무 탄화물의 조립공정...82
  • 제 3 절 당밀만을 이용한 활성화공정...85
  • 제 4 절 당밀과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활성화 공정...93
  • 제 5 절 경도와 요오드 흡착과의 관계...110
  • 제 6 절 제조된 조립화성탄의 특성...117
  • 제 7 절 잣나무 탄화물의 조립공정...121
  • 제 8 절 탄화조건에 따른 활성화 특성...124
  • 제 9 절 수증기 함량에 따른 활성화 특성...136
  • 제 10 절 벤토나이트 함량에 따른 활성화 특성...148
  • 제 11 절 참나무와 잣나무 조립활성탄의 제조 특성...167
  • 제 12 절 결론...175
  • 제 4 장 활성탄 생산공정 개발 운전 평가...176
  • 제 1 절 탄화로 연계공정의 개발...176
  • 제 2 절 실험실적 운전조건 확립...179
  • 제 3 절 생산수율의 향상...180
  • 제 4 절 기존시설의 가능성 평가...185
  • 제 5 절 개발기술의 현장평가...190
  • 제 6 절 공정별 성분분석...191
  • 제 7 절 활성탄 생산의 타당성 분석...194
  • 제 8 절 결론...196
  • 제 5 장 활성탄 수요 조사 및 판매촉진 방안 수립...197
  • 제 1 절 수입 및 제조 현황조사...197
  • 제 2 절 상하수 처리장 사용 실태 분석...201
  • 제 3 절 연도별 소요량 추이조사...204
  • 제 4 절 판매촉진방안...206
  • 제 5 절 가공처리에 따른 제품 고부가가치화...209
  • 제 6 절 수입품 대비 국내개발품 생산비 비교...211
  • 제 7 절 결론...214
  • 제 6 장 폐벌목 발생량 및 안정적 공급방법 확립...215
  • 제 1 절 연구배경...215
  • 제 2 절 대상수종별 면적 및 축적...217
  • 제 3 절 폐벌목 발생량 산출...220
  • 제 4 절 폐벌목 수거 촉진 방안 수립...224
  • 제 5 절 폐벌목 수거 중요성 산주 재교육...236
  • 제 6 절 목재 집하장 최적 입지선정...237
  • 제 7 절 목재 반출 방법 구명 및 개선...238
  • 제 8 절 칩(chip) 형태 폐벌목 운반...245
  • 제 9 절 산림 시업 협업체 구성...249
  • 제 10 절 결론...250
  • 제 7 장 참고문헌...25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