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수심 방파제 및 연약지반 관련기술 (Ⅳ)
Technologies for Breakwaters in Deep Water and Soft Ground Improvement (IV)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염기대
참여연구자 박우선 , 윤길림 , 권오순 , 송원오 , 장세철 , 정원무 , 우선미 , 김동현 , 한상훈 , 장인성 , 조범준 , 김지희 , 이항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12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0200047752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사업의 4차년도인 올해는 연약지반개량기술 분야에서는 모래다짐말뚝공법과 쇄석기동공법의 설계 및 시공지침서를 개발을 주 연구내용으로 하였으며, 신형식 방파제 개발분야에서는 설계지침의 개발과 현장적용실험계획의 수립을 주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연약지반방파제의 경우는 토조 및 수치실험을 통한 기초시스템의 성능평가, 수리 및 수치실험을 통한 수리특성 평가 및 시공공법에 대한 검토도 실시하였다.

Abstract

3. Contents and scope In this year, the fourth fiscal year, two significant work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rst plac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nd compaction pile and stone column has been developed for soft ground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 of

목차 Contents

  • 제1장 서 론...24
  • 제2장 연약지반개량공법...30
  • 제1절 모래다짐말뚝과 쇄석말뚝의 설계 지침서...30
  • 1. 총설...30
  • 가. 일반...30
  • (1) 모래다짐말뚝(Sand Compaction Pile) 공법...30
  • (2) 쇄석말뚝( Stone Column)공법...31
  • 나. 용어의 정의...35
  • 2. 설계의 순서...39
  • 가. SCP 공법...40
  • (1) 육상공사의 경우...41
  • (2) 해상공사의 경우...41
  • 나. SC 공법...41
  • (1) 개량심도...41
  • (2) 개량기간...41
  • (3) SC의 극한 지지력과 침하...41
  • (4) SC의 압밀침하량 및 액상화 방지 효과...42
  • 4. 설계시 고려사항...43
  • 가. 일반...43
  • 나. 적정 치환율...43
  • 다. 영역별 치환율의 변화에 따른 적정 치환율비...44
  • 라. SCP 및 SC 공법의 적정 타설심도에 관한 검토...45
  • 마. 성토단면 형상의 변화에 관한 검토...46
  • 5. 지반개량 후 형상 예측...47
  • 6. 복합지반의 정수 결정...49
  • 7. 원호활동의 안정성 및 침하의 검토...52
  • 가. SCP 공법의 원호활동 계산...52
  • 나. SC 공법의 원호활동 계산...56
  • 다. 지지력 계산...58
  • 라. 침하량 계산...62
  • 마. 횡토압 계산...64
  • 바. 복합지반의 강도증가 계산...66
  • 제2절 모래다짐말뚝과 쇄석말뚝의 시공 지침서...68
  • 1. 총괄...68
  • 가. SCP 공법...68
  • 나. SC 공법...69
  • 2. 재료...71
  • 3. 시공방법...73
  • 가. SCP 공법...73
  • (1) 일반...73
  • (2) 준비...74
  • (3) 측량...74
  • (4) 시공순서...74
  • (5) S.C.P 시공시의 자동기록관리 시스템...75
  • (6) 시공 및 품질관리...77
  • (7) 시공시의 주의사항...81
  • (8) SCP 시공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82
  • 나. SC 공법...83
  • (1) 일반...83
  • (2) 시공순서...89
  • (3) 사용재료의 품질기준...89
  • (4) 시공 관리...90
  • (5) 진동쇄석말뚝의 타설기준...91
  • (6) SC의 Clogging 방지대책...92
  • (7) 압밀진행에 따른 SC와 주변지반의 영향 평가...93
  • 제3장 신형식 방파제의 개발...94
  • 제1절 파력분산형 방파제...94
  • 제2절 연약지반용 방파제...96
  • 1. 연약지반용 방파제의 압밀 특성 평가를 위한 토조시험...96
  • 가. 개요...96
  • 나. 실험조건...96
  • (1) 토조...96
  • (2) 지반 조성...97
  • (3) 실험조건...98
  • (4) 재하 장치...98
  • 다. 실험결과 및 분석...100
  • (1) 기초 폭에 따른 영향...100
  • (2) 근입깊이에 따른 영향...102
  • (3)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영향...102
  • 2. 연약지반용 방파제의 단면 설계 (수치해석)...105
  • 가. 개요...105
  • (1) 해석 방파제...105
  • (2) 압밀 침하량 산정...105
  • (3) 횡하중을 받는 방파제의 거동...106
  • (4) 수치해석 조건...106
  • 나. 압밀 침하...108
  • (1) 토층 두께에 따른 압밀 침하...108
  • (2) 부력통의 크기에 따른 압밀 침하 특성...110
  • (3) 근입깊이에 따른 압밀 침하 특성...110
  • (4) 방파제 저판 폭에 따른 압밀 침하 특성...111
  • (5)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압밀 침하 특성...113
  • (6) 저판 폭과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압밀 침하...113
  • (7) 1차원 압밀 침하 계산결과와 비교...116
  • 다. 횡방향 지지력...123
  • (1) 연약지반의 두께에 따른 거동 특성...123
  • (2) 설계파 조건에 따른 거동 특성...123
  • (3) 근입깊이에 따른 거동 특성...124
  • (4) 방파제 저판 폭에 따른 거동 특성...125
  • (5)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거동 특성...126
  • (6) 저판 폭과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거동...126
  • 라. 안전율...131
  • (1) 개요...131
  • (2) 부력통의 크기에 따른 안전율 변화...134
  • (3) 근입깊이에 따른 거동 특성...134
  • (4) 방파제 저판 폭에 따른 거동 특성...134
  • (5) 지중벽의 길이에 따른 거동 특성...134
  • (6) 요약...145
  • 3. 수리특성 평가 및 개선...147
  • 가. 모형...147
  • 나. 계측센서...147
  • 다. 수조 및 실험파랑...148
  • 라. 수리특성 평가...148
  • 4. 시공방법 검토...167
  • 가. 일반...167
  • 나. 제체 제작공...169
  • (1) 제작장 선정...169
  • (2) 콘그리트 타설 구분...170
  • (3) 거푸집공...170
  • (4) 동바리공...170
  • (5) 비계공...170
  • (6) 들고리...170
  • (7) 철근 가공 조립...170
  • (8) 콘크리트 타설...170
  • (9) 부력통의 품질...171
  • 다. 제체의 거치...171
  • (1) 굴착...171
  • (2) 예인...171
  • (3) 거치...171
  • (4) 침하 및 계측관리...171
  • 제3절 현장적용 실험계획...172
  • 1. 개요...172
  • 2. 실해역 실험 흐름도...172
  • 3. 현장 관측시스템...175
  • (1) 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흐름도...175
  • (2) 관측항목 및 소요 계측기기...177
  • (3) 관측 자료 해석...179
  • (4) 관측기지의 운영방식...179
  • 4. 현장실험 대상해역...183
  • (1) 파력분산 케이슨제...183
  • (2) 연약지반 방파제...184
  • 5. 현장실험 계획...187
  • 제4장 결론 및 토의...190
  • 제1절 파력분산형 방파제...190
  • 1. 연약지반 개량기술 분야...190
  • 2. 신형식 방파제 개발 분야...190
  • 제2절 파력분산형 방파제...191
  • 1. 연약지반 방파제 현장 적용...192
  • 2. 쇄석말뚝공법의 현장 적용 실험...192
  • 참고문헌...194
  • 부록 A. 파력분산케이슨제 설계지침...200
  • 부록 B. 연약지반 방파제 설계지침...213
  • 부록 C. 수치해석 결과...23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