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새로운 PDT 항암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EW PDT PHOTOSENSITIZER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화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0-12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등록번호 TRKO200200056372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Ⅰ. 제 목
새로운 PDT 항암제 개발에 관한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개발의 목적
부작용과 독성을 수반하는 기존의 항암 치료를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암치료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의 요구가 급증되어왔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새로운 기술로써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광역학 치료법에 쓰여지는 차세대 광민감성 물질(photosensitizer)의 개발을 연구

Abstract

Photodynamic Therapy (PDT) is one of the frontier research in cancer treatment due to its low toxicity, low recurrency, repeatability of treatment, and high selectivity to the tumor cells. Thus, development of this methods apparently will promotes a development of medicinal and medical techniques an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범위
          1. 분자설계
          2. 새로운 광민감성물질의 합성.
          3. 세포증식제어 활성산소 소거물질 탐색 및 개발연구
          4. 광역학치료에 사용될 새로운 광민감성물질의 효율성과 독성에 관한 연구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2 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제 1 절. 새로운 PDT 항암제의 개발
          1. 분자설계
          2.새로운 광민감성물질의 합성
        제 2 절. 세포증식제어 활성산소 탐색 및 개발연구(생명공학연구소)
          1. 신규 활성산소 소거물질 탐색법 확립
          2. 활성산소 소거물질 생산균주의 탐색
          3. 활성산소 소거물질의 추출정제 및 화학구조결정
          4. 신규 활성산소 소거물질의 생물활성
          5. 결과
        제 3 절. Efficiency and Toxicity Studies of New Photosenxitizers to be used in Photodynamic Therapy(PDT)/헝가리 Chemical Research Center
          1. INTRODUCTION
          2 QUANTITATIV STUDIES ON PHOTODYNAMIC EFFECTS
          3. PRELIMINARY RESULTS WITH NEW PHOTOSENSITIZERS
          4.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LUMINOL DEPENDENT CHEMILUMINESCENCE METHOD FOR PHOTODYNAMIC EFFECTS.
          5. A NEW APPROACH TO QUANTITATIVE SPIN TRAPPING
          6. DETAILED IN VIVO MEASUREMENTS ON THE PHOTODYNAMIC EFFECTS OF ACS1, ACS2 AND PHOTOFRIN II (AS STANDARD) ON TUMOR BEARING MICE
          7. SPIN TRAPPING IN A COMPLETELY MIXED OPEN SYSTEM.
          8. CONCLUSIONS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제 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