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건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보수·보강 기술
Repairing and reinforcing Techniques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in existing Building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전남대학교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선우
참여연구자 장길수 , 송민정 , 김명재 , 최형욱 , 박현구 , 전지현 , 기노갑 , 이주엽 , 정진연 , 이옥균 , 김준엽 , 김종빈 , 강동영 , 정환욱 , 송혁 , 이한민 , 이경주 , 이선복 , 류성룡 , 신홍철 , 오장식 , 한일수 , 한민수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02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전남대학교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300000317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기존건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보수$\cdot$보강 기술'의 본 과제는 총 2년(1999. 11 -2001. 11)에 걸쳐 수행되었다.

'기존건물의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보수$\cdot$보강 기술'이라는 본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 및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바닥구조의 바닥충격음에 대한 성능기준$\cdot$평가방법의 제시
① 국내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수준 및 시공현황 파악
② 청

Abstract

The study on 'Repairing and Reinforcing Techniques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in Existing Buildings' was under taken for two years, from Nov. 1999 to Nov. 2001.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on 'Repairing and Reinforcing Techniques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in Existing Buildings' ar

목차 Contents

  • 제1장. 서론 ... 92
  •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92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96
  • 1. 국내 기술동향 ... 96
  • 2. 국외 기술동향 ... 99
  • 3. 기술동향 분석 결론 ... 101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104
  • 1.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수준 및 시공구조 현황파악 ... 104
  • 1.1. 공동주택 바닥구조 현황파악 ... 104
  • 1.1.1. 1990년 이전의 국내 공동주택 바닥구조 실태 ... 104
  • 1.1.2. 1990년 이후의 바닥구조 현황 ... 109
  • 1.1.3. 철근콘트리트 슬래브의 분류 ... 110
  • 1.1.4. 완충층의 분류 ... 110
  • 1.2.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수준 ... 113
  • 1.2.1. 구성재료별 차음성능 변화 ... 113
  • 1.2.2. 국내 공동주택 바닥구조의 차음성능수준 ... 116
  • 1.2.3. 국내 바닥구조의 차음성능 수준에 대한 결과 분석 및 고찰 ... 118
  • 2. 바닥충격음 발생의 메커니즘 및 영향요소 조사 ... 120
  • 2.1. 바닥충격음 발생의 메커니즘 ... 120
  • 2.1.1. 바닥충격음 전달이론 ... 122
  • 2.1.1.1. 충격원의 종류와 특성 ... 122
  • 2.1.1.2. 바닥구조 ... 124
  • 2.1.2. 수음실의 바닥충격음 레벨 ... 131
  • 2.2. 바닥충격음 영향요소 ... 132
  • 2.2.1. 완충층 변화에 따른 충격음 레벨의 변화 ... 132
  • 2.2.2. 슬래브 조건 변화에 따른 충격음 레벨의 변화 ... 135
  • 2.2.3. 바닥구조 변화에 따른 수음실의 음장분포 ... 136
  • 2.2.4. 표면 마무리재의 효과 ... 137
  • 3. 바닥슬래브의 음향방사 특성 및 진동전파특성 조사 ... 141
  • 3.1. 슬래브 두께의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레벨의 변화 ... 141
  • 3.2. 슬래브의 면적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레벨의 변화 ... 143
  • 3.3. 슬래브 주변 지지조건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레벨의 변화 ... 145
  • 3.4. 바닥구조의 진동 전달 및 감쇠특성 ... 147
  • 3.4.1. 측정 대상구조 및 측정방법 ... 148
  • 3.4.2. 수음실 각 부위의 진동 전달 감쇠특성 ... 153
  • 3.4.3. 천장면에서의 진동가속도 레벨 분포 ... 162
  • 4. 바닥충격음 성능기준 및 평가방법 제시 ... 170
  • 4.1. 바닥충격음의 차음기준 설정방안 고찰 ... 170
  • 4.1.1. 기준설정의 개요 ... 170
  • 4.1.2. 청감실험 결과로부터의 기준 검토 ... 170
  • 4.1.3.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기준설정 ... 173
  • 4.2. 설정된 차음성능 기준과 각국의 평가방법과의 비교 ... 178
  • 4.2.1. 평가방법 및 기준곡선과의 비교 ... 178
  • 4.2.2. 적정 측정주파수 대역 검토 ... 178
  • 4.2.3. 적정 차음성능 기준곡선 적용방법 검토 ... 179
  • 4.3. 적정 차음성능 기준 및 차음등급 검토 ... 180
  • 4.4. 소결 ... 181
  • 4.5. 현장에서의 청감실험 ... 183
  • 4.5.1. 실험내용 및 방법 ... 183
  • 4.5.2. 음원의 선정 ... 184
  • 4.5.3. 바닥구조 내역 ... 184
  • 4.5.4. 충격소음레벨의 측정 ... 185
  • 4.5.5. 결과분석을 위한 평가방법 ... 187
  • 4.5.6. 물리적 평가치와 심리반응치의 관계 ... 188
  • 4.5.7. 물리적 평가치에의한 심리반응치의 예측 ... 190
  • 4.6. ... 192
  • 4.6.1. 서론 ... 192
  • 4.6.2. 관련 연구 ... 193
  • 4.6.3. 바닥충격음 평가방법 및 적정 평가방법 검토 ... 195
  • 4.6.4.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평가방법 기준곡선 ... 196
  • 4.6.5. 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의 적정평가방법 검토 ... 197
  • 4.6.6. 국외 관련규격 분석 ... 204
  • 4.6.7. 국내 규격안 ... 205
  • 4.6.8. 평가방법별 평가치의 상관성 ... 207
  • 5. 국내외 마감재의 현황파악, 시장조사 ... 210
  • 5.1. 국내 바닥 마감재 시장규모 ... 210
  • 5.2. 국내 바닥 마감재 품질분석 ... 211
  • 5.2.1. 경쟁사 제품 품질비교 분석 개요 ... 211
  • 5.2.2. 외관 품평 결과 ... 214
  • 5.2.3. 물성 비교 결과 ... 214
  • 5.2.4. 결과 및 향후 방향 ... 215
  • 5.3.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국내외 바닥 장식재 개발 동향 ... 226
  • 5.3.1. 국외 바닥 장식재 개발동향 및 문제점 ... 226
  • 5.3.1.1. 미주권 ... 226
  • 5.3.1.2. 유럽권 ... 229
  • 5.3.1.3. 일본권 ... 232
  • 5.3.2. 국내 바닥 장식재 개발동향 및 문제점 ... 236
  • 5.3.3. 국내외 바닥 장식재 개발 동향 종합 ... 238
  • 5.4. 충격 흡수 고탄성 소재 조사 ... 239
  • 5.4.1.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한 충격 흡수 소재 ... 239
  • 5.4.1.1. 가압 발포 폼 ... 239
  • 5.4.1.2. 압출 발포 폼 ... 240
  • 5.4.1.3. 사출 발포 폼 ... 241
  • 5.4.1.4. 카렌다/캐스팅 발포 폼 ... 242
  • 5.4.2. Polyurethane Foam ... 244
  • 5.4.2.1. 연질 우레탄 폼 ... 245
  • 5.4.2.2. 반 경질 우레탄 폼 ... 247
  • 5.4.2.3. Energy-Absorbing 우레탄 폼 ... 247
  • 5.4.2.4. Thermoformable 우레탄 폼 ... 248
  • 5.4.3. 충격 흡수 고탄성 소재 조사결과 요약 ... 248
  • 5.5. 제조시방, 제품구조 설계 연구 ... 248
  • 5.5.1. 바닥 장식재가 갖추어야할 요건 분석 ... 248
  • 5.5.1.1. 시공상 물성 품질 ... 250
  • 5.5.1.1.1. 안착성 ... 250
  • 5.5.1.1.2. Cutting 성 ... 250
  • 5.5.1.2. 사용상 물성 품질 ... 251
  • 5.5.1.2.1. 안입변형 잔류(Indentation) ... 251
  • 5.5.1.3. 바닥 장식재가 갖추어야 할 요건 분석 종합 ... 253
  • 5.5.2.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 장식재 개발방향 설정 ... 253
  • 5.5.2.1. Under Floor로서의 바닥 장식재 개발 ... 254
  • 5.5.2.2. 단일 제품으로서의 바닥 장식재 개발 ... 255
  • 5.5.3. 바닥재 물성관련 연구결과 및 분석 ... 256
  • 5.5.3.1. Under Floor로서의 충격음 차단에 효과적인 비닐계 바닥 마감재 개발 ... 256
  • 5.5.3.1.1. 기계적 발포층 설계를 통한 Under Floor 개발 고찰 ... 256
  • 5.5.3.1.2. 기계적 발포층의 개선을 통한 Under Floor 개념의 바닥 장식재 개발 ... 261
  • 5.5.3.2. 화학적 발포층 설계를 통한 Under Floor 개발 고찰 ... 267
  • 5.5.3.2.1. 화학적 발포층의 개요 ... 267
  • 5.5.3.2.2. 연구개발목표 (Sports Floor)의 화학적 발포층 분석 ... 268
  • 5.5.3.2.3. 연구개발 목표 화학적 발포층의 개발 ... 270
  • 5.5.3.3. 단일제품으로서 충격음 차단에 효과적인 비닐계 바닥 마감재 개발 ... 277
  • 5.5.3.3.1. 고탄성 발포층 설계를 통한 단일 제품의 개발 고찰 ... 277
  • 5.5.3.3.2. 고탄성 발포층 설계를 통한 단일 제품의 개발 ... 278
  • 6. 바닥충격음 저감재(마감재, 완충제)의 차음성능 비교 ... 280
  • 6.1. 축소실험실의 개요 및 음향 특성 ... 280
  • 6.1.1. 지하구조 축소실험실의 구조 및 제작과정 ... 280
  • 6.1.2. 지하구조 축소실험실의 음향특성 ... 283
  • 6.1.2.1. 잔향시간 ... 284
  • 6.1.2.2. 음압레벨 분포 ... 285
  • 6.1.2.3. 투과손실 ... 286
  • 6.1.2.4. 공진 주파수 ... 287
  • 6.2. 축소 실험실 실험 ... 287
  • 6.2.1. 축소실험실 실험과 잔향실험실 실험과의 상관성 ... 287
  • 6.2.2. 축소실험실 실험 ... 288
  • 6.2.2.1. 바닥완충재 ... 288
  • 6.2.2.2. 바닥마감재 ... 295
  • 6.3. 잔향 실험실 실험 ... 298
  • 6.3.1. 바닥완충재 ... 298
  • 6.3.2. 바닥마감재 ... 307
  • 6.4. 현장 실험 ... 312
  • 6.4.1. 바닥완충재 ... 313
  • 6.4.2. 바닥마감재 ... 316
  • 7. 고 충격 흡수소재 Under-Floor의 경제성 확보 ... 322
  • 7.1. 고 충격 흡수소재(Under-Floor)의 Cost Up 요인 분석 ... 322
  • 7.1.1. 1차년도 개발 Under-Floor의 Review ... 322
  • 7.1.2. 화학적 발포층을 지닌 고 충격 흡수소재(Under-Floor)의 Cost Up 요인 분석 ... 326
  • 7.2. Cost Down 을 위한 대체 원재료 검토 연구 및 품질 비교 ... 329
  • 7.2.1. 대체제 Fast Fusing Plasticizer의 연구 검토 ... 329
  • 7.2.2. 대체제 Fine Filler의 연구 검토 ... 331
  • 7.2.3. 종합 검토 처방별 발포 특성 / 발포 Cell의 품질 비교 ... 333
  • 7.3. 개선 고충격 흡수 소재 (Under-Floor)의 경제성 평가 ... 337
  • 7.4. 개선 고충격 흡수 소재 적용 제품의 Flooring으로서의 최종 품질 평가 ... 338
  • 7.4.1. Sports Flooring DIN 규격 관련 현황 및 평가 항목 ... 338
  • 7.4.2. Sports Flooring DIN 규격 에 의한 시험 성적서 ... 343
  • 8. 국내 목재 마루판의 시장 동향 및 현황 분석 ... 348
  • 8.1. 국내 목재 마루판의 시장규모 분석 및 분류 ... 348
  • 8.2. 국내 온돌 마루판의 종류별 구조, 품질 비교 ... 350
  • 8.2.1. 주요 국내 온돌 마루판의 구조 및 특성 분석 ... 350
  • 8.2.2.주요 국내 온돌 마루판의 품질 비교 분석 ... 354
  • 8.3. 국내 온돌 마루판의 주요 품질 하자 문제 분석 ... 358
  • 8.4. 수입 차음 온돌 마루판 및 목재 마루판 대응 상품 분석 ... 366
  • 8.4.1. 온돌 마루판과 수입 차음 마루판, 복합상재 마루판과의 구조 비교 분석 ... 367
  • 8.4.2. 온돌 마루판과 수입 차음 마루판, 복합상재 마루판과의 품직 비교 분석 ... 370
  • 9. 목재 마루판 차음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 ... 372
  • 9.1. 하부 절연재를 이용한 차음 성능 개선 연구 ... 372
  • 9.1.1. Cork Sheet 의 활용을 통한 차음 성능 개선 연구 ... 372
  • 9.1.2. 내습 Under-Floor의 활용을 통한 차음 성능 개선 연구 ... 379
  • 9.2. 차음 성능이 부여된 목재마루판의 연구 개발 ... 388
  • 9.2.1. PE Foam 부착 차음 목재 마루판의 문제점 분석 ... 388
  • 9.2.2. 차음 성능 개선의 목재 마루판의 연구 개발 ... 389
  • 10. S.L.재의 사용에 따른 바닥 충격음 개선 관련 연구 고찰 ... 400
  • 10.1. SL재 관련 고찰 ... 400
  • 10.2. SL재 개요 ... 400
  • 10.3. 신규 SL재 개발 방향 및 목표 설정 ... 404
  • 10.4. 신규 SL재개발 추진 내역 ... 404
  • 10.5. 신규 개발 SL 재의 완제품 물성 분석 ... 409
  • 10.6. 신규 개발 SL 재의 현장 타설 Test ... 414
  • 10.7. 실험구조(SL재)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 417
  • 11. 바닥마감재에 의한 바닥충격을 저감 연구 ... 418
  • 11.1 개요 ... 418
  • 11.2 목재마루판의 차음성능 특성 ... 419
  • 11.2.1. 실험대상구조 ... 419
  • 11.2.2. 결과분석 ... 419
  • 11.3. 하부절연재에 의한 목재마루판 차음성능 특성 ... 420
  • 11.3.1. 실험대상구조 ... 421
  • 11.3.2. 결과분석 ... 421
  • 11.4. Cork 목재마루판의 차음성능 특성 ... 422
  • 11.4.1. 실험대상구조 ... 422
  • 11.4.2. 결과분석 ... 423
  • 11.5.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개선)량 ... 424
  • 11.5.1. 바닥충격음 저감량 평가 방법 ... 424
  • 11.5.2.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 426
  • 11.6. 현장실험에 의한 목재마루판의 차음성능 특성 ... 427
  • 11.6.1. 실험개요 및 구조내역 ... 427
  • 11.6.2. 측정방법 ... 428
  • 11.6.3. 실험결과 및 분석 ... 429
  • 12. 축소실험실에서 Self-Leveling(S/L)재에 의한 차음성능 측정 ... 430
  • 12.1 축소실험실에서 Self-Leveling(S/L)재에 의한 차음성능 측정 ... 430
  • 12.1.1. 실험개요 ... 430
  • 12.1.2. 측정방법 ... 430
  • 12.1.3. 실험구조 ... 430
  • 12.1.4. 결과분석 ... 431
  • 12.2. 현장에서 Self-Leveling(S/L)재에 의한 차음성능 측정 ... 432
  • 12.2.1. 실험개요 ... 432
  • 12.2.2. 측정방법 ... 432
  • 12.2.3. 실험구조 ... 432
  • 12.2.4. 결과분석 ... 433
  • 12.2.4.1. S/L재 시공에 따른 실험구조의 차음특성 ... 433
  • 12.2.4.2. 5mm 시공에 따른 S/L재 종류별 차음특성 ... 440
  • 12.2.4.3. 8mm 시공에 따른 S/L재 종류별 차음특성 ... 442
  • 12.2.4.4. S/L재 두께별 차음특성 ... 443
  • 13. 바닥슬래브 하부구조 연구 ... 448
  • 13.1. 서언 ... 448
  • 13.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448
  • 13.1.2. 국내ㆍ외 관련부문의 기술동향 ... 448
  • 13.1.2.1. 국내의 기술동향 ... 448
  • 13.1.2.2. 국외 기술동향 ... 449
  • 13.1.2.3. 기술동향 분석 결론 ... 449
  • 13.2. 공동주택 천정틀 공법에 관한 예비적 고찰 ... 450
  • 13.2.1. 개요 ... 450
  • 13.2.2. 천정구조의 요구성능 ... 450
  • 13.2.2.1. 내화성 ... 450
  • 13.2.2.2. 단열, 흡음, 차음성 ... 451
  • 13.2.2.3. 내구성 ... 451
  • 13.2.2.4. 시각적 효과 ... 451
  • 13.2.3. 공동주택 천정틀 공법의 현황 ... 451
  • 13.2.3.1. 목재 반자틀 공법 ... 451
  • 13.2.3.2. 경량 천정틀 Leed 공법 ... 452
  • 13.2.3.3. 경량 천정틀 M-bar 공법 ... 455
  • 13.2.3.4. 경량 천정틀 SABC 공법 ... 459
  • 13.2.4. 공동주택 천정틀 공법별 성능 분석 ... 460
  • 13.2.4.1. 경제성 분석 ... 460
  • 13.2.4.2. 공정 분석 ... 463
  • 13.2.4.3. 품질분석 ... 464
  • 13.2.4.4. 안전성 분석 ... 464
  • 14. 바닥슬래브 하부구조의 개선에 의한 바닥충격음 저감방안(I) ... 466
  • 14.1. 축소실험실에서 천장구조 활용방법 ... 466
  • 14.1.1. 실험대상 선정개요 ... 466
  • 14.1.2. 실험대상 구조 ... 466
  • 14.2. 축소실험실에서 흡차음재 성능평가 ... 467
  • 14.2.1. 천장구조용 흡차음재 선정을 위한 예비실험 ... 467
  • 14.2.2. 천장구조용 흡차음재 성능실험 및 분석 ... 485
  • 14.3 잔향실험실에서의 천장구조에 대한 실험 ... 497
  • 14.3.1. 실험개요 ... 497
  • 14.3.2. 실험방법 ... 498
  • 14.3.3. 실험결과분석 ... 501
  • 14.3.4. 차음성능 개선량 ... 504
  • 15. 바닥슬래브 하부구조 개선에 의한 바닥충격음 저감방안(II) ... 507
  • 15.1. 현장에서의 천장구조에 대한 실험 (I) ... 507
  • 15.1.1. 실험개요 ... 507
  • 15.1.2. 측정방법 ... 508
  • 15.1.3. 결과분석 ... 509
  • 15.1.3.1. 실험구조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09
  • 15.1.3.2. 흡음재의 변화에 대한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16
  • 15.1.3.3. 석고보드의 두께변화에 대한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18
  • 15.1.3.4. 흡,차음재의 시공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21
  • 15.1.3.5. 시공구조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23
  • 15.1.3.6. 차음성능 개선량 ... 529
  • 15.1.3.7.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 532
  • 15.2. 현장에서의 천장구조에 대한 실험(2) ... 533
  • 15.2.1. 실험 개요 ... 533
  • 15.2.2. 실험내용 및 대상 구조 ... 533
  • 15.2.3. 측정방법 ... 535
  • 15.2.4. 결과 분석 ... 535
  • 15.2.4.1. 천장틀 구조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음특성 ... 535
  • 15.2.4.2. 진동절연재 및 내부 충진재에 따른 차음특성 ... 539
  • 15.2.4.3. 전체 실험대상구조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특성 ... 541
  • 15.2.5. 실험구조의 평가방안별 차음특성 ... 543
  • 15.2.6. 차음성능 개선량 ... 545
  • 15.2.7.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 547
  • 15.2.8. 소결 ... 548
  • 16. 시공구조별 단가 제안 ... 549
  • 16.1. S.L.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및 단가 ... 552
  • 16.2. 구리현장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및 단가 ... 555
  • 16.3. 목포현장 실험구조의 차음성능 저감량 평가 및 단가 ... 558
  • 16.4. 천장구조와 바닥마감재의 조합에 의한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저감량 및 단가 ... 562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574
  • 4.1.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 574
  • 4.2.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576
  • 가.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576
  • 나. 상기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 ... 580
  • 4.3.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 582
  • 4.4.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584
  • 가.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584
  • 나. 상기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 ... 588
  •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592
  • 1. 바닥 슬라브 하부구조 개선에 의한 저감방안 모색 ... 592
  • 2. 바닥마감재 개발기술의 기업화 및 상품화 계획 ... 593
  • 3. 바닥 완충재 개선에 의한 저감방안 모색 ... 596
  • 제6장. 참고문헌 ... 59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