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 멜라닌색소 억제제(기미치료제)개발
Development of new drugs for melasm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홍용
참여연구자 김대곤 , 박경찬 , 이무형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05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300000837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멜라닌색소.기미.Betamethasone valerate.Lincomycin.Linoleic acid.Melanin pigmentation.melasma.Betamethaseon valerate.Lincomycin.Linoleic acid.

초록

기미, 주근께 및 과멜라닌 색소증은 서양인과 동양인 심지어는 흑인에서도 볼 수 있는 피부질환으로 모든 인류의 의약치료제의 대상이 되어왔다. 현재까지 멜라닌 과색소 침작질환에 사용되는 히드로퀴논(hudroquinone), 히드로 퀴논 모노벤질에테르(monobenzyl ether of hydroquinone; MBEH) 히드록실 아니솔(4-hydroxy anisole) 등의 폐놀 화합물이나 치오 화합물은 강력한 탈색효과에 비해 피부자극의 부작용으로 안전한 치료제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5% 히드로퀴논 0.1% 텍사메사손 및 0.1%

Abstract

Disorders of skin pigmentation such as melasma and ephelids are common problems encountered in westerns orientals even blacks are the targets of the medical treatment. At the present time treatment of hypermelanosis of the skin is unsatisfactory. Various compounds including phenolic compounds such a

목차 Contents

  •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9
  • 1.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9
  • 2.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3
  • 3.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5
  • 4.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7
  • 5.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20
  •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세부과제별로 작성)...21
  • 1.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22
  • 2.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22
  • 3.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23
  • 4.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5
  • 5.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6
  • 6.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27
  • 7.참고문헌...27
  •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세부과제별로 작성)...29
  • 1.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0
  • 2.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31
  • 3.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31
  • 4.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34
  • 5.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35
  • 6.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36
  • 7.참고문헌...36
  •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세부과제별로 작성)...38
  • 1.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9
  • 2.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39
  • 3.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0
  • 4.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1
  • 5.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42
  • 6.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44
  • 7.참고문헌...44
  • 제4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세부과제별로 작성)...46
  • 1.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47
  • 2.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7
  • 3.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9
  • 4.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9
  • 5.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57
  • 6.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58
  • 7.참고문헌...58
  • 붙임...60
  • 첨부서류...6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