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 안전규제 기술개발;디지털 계측제어 규제기술 개발
Development of Nuclear Safety Regulation Technology;Development of the Safety Regulation Technology for Digital I&C System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연구책임자 김효정
참여연구자 김복렬 , 민대환 , 윤청 , 강영두 , 고정수 , 구철수 , 김대일 , 박현신 , 부인형 , 오성헌 , 윤문원 , 윤원영 , 임장현 , 정윤형 , 정충희 , 주운표 , 지성현 , 최성남 , 황희수 , 김철환 , 조원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03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등록번호 TRKO200300001128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디지털 계측제어.소프트웨어 신뢰도 및 안전성.심층방어 및 다양성.작무분석.인간-기계연계.전자파 장해.케이블 상태감시.수명연장.실시간타이밍 및 성능.확인 및 검증.소프트웨어 안전계획서.분산형 GOMS.형상관리.Digital I&C.Software Reliability and Safety.D-I-D &Diversity.Task Analysis.HMI.EMI.Cable Condition Monitoring.Life Extension.Real-Time Performance.Verification andValidation.Software Safety Plans.Distributed GOMS.Configuration Management.

초록

본 연구개발의 제1단계 목적은 소프트웨어 안전현안 해결 및 규제기반 기술개발, 인간-기계 연계(HMI)에 관한 안전현안 해결 및 규제기반 기술개발, 그리고 환경검증 안전현안 해결 및 규제기반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같은 안전현안 해결 및 규제기술의 개발을 통해 가동원전의 노후화된 계측제어설비 교체를 위한 디지털 개선사업과 신규 또는 차세대 원전의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에 대한 안전성 심·검사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인 근거 및 배경을 수립하고 관련 규제지침(안)을 제시한다본 연구개발에서는 가동원전의 디지털 설비개선이나 신규 또는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first phase of R&D project are in resolving software safety and human-machine interface issues of digital-based I&C systems, and environmental qualification issues regarding EMI and in developing technologies for regulation these issues. The project establishes the technical ba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27
  • 제 1 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29
  •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내용...32
  • 1. 디지털 I&C 안전현안 및 규제기반 기술개발...34
  • 2. 인간-기계연계 안전현안 및 규제기반 기술개발...39
  • 3. 환경검증 안전현안 및 규제기반 기술개발...45
  • 제 3 절. 보고서의 구성...49
  • 제 2 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57
  • 제 1 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59
  • 1. 연구개발 현황...59
  • 2. 원전의 디지털기술 적용 사례...62
  • 3. 규제요건 및 지침 개발현황...68
  • 제 2 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69
  • 1. 연구개발 현황...69
  • 2. 원전의 디지털기술 적용 사례...79
  • 3. 규제요건 및 지침 개발현황...86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01
  • 제 1 절. 소프트웨어 심층방어 및 다양성 평가기술...103
  • 제 2 절. 실시간 타이밍 및 성능 평가기술...133
  • 제 3 절. 데이터 통신 및 독립성 평가기술...163
  • 제 4 절. 소프트웨어 개발체계, 형상관리 및 신뢰도 평가기술...199
  • 제 5 절. 소프트웨어 확인 및 검증 평가기술...229
  • 제 6 절. 안전성-소프트웨어의 안전성 및 위험도 평가기술...259
  • 제 7 절. 원자력발전소 직무분석 평가기술...289
  • 제 8 절. 개량형 제어실 정보표시 평가기술...323
  • 제 9 절. 원자력발전소 인적오류분석 평가기술...361
  • 제 10 절. 전자파 환경검증 평가기술...395
  • 제 11 절. 안전관련 전기설비의 경년열화에 관한 평가기술...423
  • 제 12 절. 안전관련 케이블 상태감시 및 수명예측 평가기술...451
  • 제 13 절. 전자파 환경잡음 측정ㆍ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489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527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537
  • 제 6 장. 참고문헌...543
  • 부록...555
  • 부록 1. - 용어의 정의...555
  • 부록 2. - 약어의 정의...573
  • 부록 3. - 공개발표된 연구개발성과...58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