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윤신
|
참여연구자 |
이종태
,
이수진
,
홍종호
,
김동일
,
조용성
,
엽무종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2-05 |
주관부처 |
과학기술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300002059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전자파.노출평가.멜라토닌.심박동수.뇌파.EMF.Exposure Assessment.Melationin.EEG.HR.
|
초록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전자파 노출과 인체의 중추신경계 및 심혈관계 영향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bigcirc}$ 전자파 직업군과 비직업군을 대상으로 전자파 개인노출량을 평가하고, 인체영향평가 수단으로 그들의 멜라토닌 분비량 및 심박동수 변화를 비교하여 전자파 위해도 평가.
${\bigcirc}$ 휴대폰 장기${\cdot}$장시간 사용자와 비교군을 대상으로 그들의 뇌파 검사를 비교함으로써, 마이크로파 노출에 따른 중추신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전자파 노출과 인체의 중추신경계 및 심혈관계 영향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bigcirc}$ 전자파 직업군과 비직업군을 대상으로 전자파 개인노출량을 평가하고, 인체영향평가 수단으로 그들의 멜라토닌 분비량 및 심박동수 변화를 비교하여 전자파 위해도 평가.
${\bigcirc}$ 휴대폰 장기${\cdot}$장시간 사용자와 비교군을 대상으로 그들의 뇌파 검사를 비교함으로써, 마이크로파 노출에 따른 중추신경계 기능 변화를 비교${\cdot}$평가.
${\bigcirc}$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제품을 대상으로 전자파 방출량을 조사하여 국내 전자파환경 방출량을 평가.
${\bigcirc}$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
${\bigcirc}$ 설문조사를 통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지불의사액 조사.
${\bigcirc}$ 향후, 전자파 노출환경에 대한 국민 보건학적 측면에서의 정책방향 제시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
따라서, 본 연구는 2001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약 11개월에 걸쳐 지하철 운전사, 변전소 근로자 전기 근로자 등 총 20명을 직업군으로 선정하였고, 학생 20명을 비직업군으로 선정하였으며,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뇌파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휴대폰 장기 사용자 10명과 단기 사용자 10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해당 직업군과 비직업군에 대해서는 그들의 전자파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휴대폰 전자파 피해로 인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기 위해 일반 모집단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igcirc}$ 총 16종의 전자제품의 전자파를 조사한 결과 전자제품에 최대한 인접한 지점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헬스기에서 $94.87\;{\mu}T$로 가장 높은 전자파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자레인지($44.31\;{\mu}T$), 진공청소기($30.91\;{\mu}T$), 혜어드라이어기($27.58\;{\mu}T$) 순으로 높은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반하여 가장 낮은 전자파가 발생된 전자제품은 전기면도기로 $0.24\;{\mu}T$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된 16종의 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igcirc}$ 총 40명을 대상으로 한 24시간 개인노출수준(PEL : Personal Exposure Level)조사에서 대상 직업중 전기 근로자의 노출량이 $0.24\;{\mu}T$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변전소 근로자가$0.21\;{\mu}T$, 지하철 기관사가 $0.14\;{\mu}T$순으로 측정되었으며 학생은 $0,12\;{\mu}T$로 전자락에 가장적게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연구대상자를 실내(Indoor) 및 실외(Outdoor)활동으로, 특히 실내활동은 다시 작업중(At work), 이동중(Transportation), 가정(At home)으로 세분하여 측정한 전자파 노출수준을 보면, 모든 범주에서 직업군이 비직업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업환경중 전자파 노출평가의 직접적인 판단기준이 될 수 있는 작업중 노출량을 보면 전기 근로자가 $0.43\;{\mu}T$, 지하철 기관사가 $0.30\;{\mu}T$로 나타나 스웨겐의 작업환경 권고치인 $0.25\;{\mu}T$보다 높게 나타났?구대상자들에 대한 뇨 검사를 통한 멜라토닌 분비량(Melatonin Excretion)을 조사한 결과 직업군과 비직업군의 멜라토닌 분비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P> 0.05).
${\bigcirc}$ 전자파 관련 직업군과 비직업군에 대한 심실조기박동수를 평가한 결과, 직업군이 비직업군에 비해 다소 높은 심실조기박동수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05),심박동수(Heart rate) 및 심실내 57분절을 분석한 결과, 두 군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05). 한편, 자기장 노출량과 심박동수를 직업별로 구분하여 24시간 노출형태를 파악한 결과, 각 직업별 자기장 노출량과 심박동수는 시간대별로 유사한 노출형태를 나타났으며, 직업군중 근무기간이 5년 이상인 5명의 연구대상자에 대해 heart rate와 magnetic field간의 상관관계를 재분석한 결과(r=0.900),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 장기간에 걸쳐 자기장에 노출됨으로 인해 심박동수가 변화함을 시사하였다(p=0.037).
${\bigcirc}$ 휴대폰 장기 사용자와 단기 사용자간의 뇌파검사(EEG)를 실시하여 뇌전위전력분포강도(Spectral Power Densities)를 전극별로 분석한 결과 휴대폰 장기 사용자의 휴대폰 사용 중(Long-term user-on)과 사용 후(Long-term user-off) 및 단기 사용자(Short-term user)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bigcirc}$ 이 연구는 조건부가치측정 방법을 적용하여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잠재적 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와, 휴대폰 전자파 피해를 규명하려는 정부 주도의 연구계획에 대한 국민의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휴대폰 사용자는 평균적으로 전자파의 잠재적 피해에 대해서는 연간 약 20,000만원의 가치를 부여하며, 정부 주도의 연구계획에 대해서 연간 약 1,800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었다. 이 추정치를 전국의 휴대폰 사용자 인구에 확대할 경우, 휴대폰 전자파 피해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약 6,000억 원에 이르며 휴대폰 전자파 피해를 규명하려는 정부 주도의 연구계획에 대해 국민들은 연간 약 540억 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bigcirc}$ 개인의 전자파 인식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연구대상자 중 비직업군은 참여 지원자 전원이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였으며, 직업군의 경우도 87.0%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전기제품이나 전력선에서 전자파가 방출되고 있다고 스스로 느끼는가에 대한질문에서 직업군의 경우 52.2%, 비직업군의 경우 59.1%로 나타나 과반수 이상이 전자파 노출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
This study on health effect from EMF exposure was peformed from June 2001 to April 2002 to compare changes in melatonin levels in urine of 40 subjects during their normal sleeping hours, to evaluate heart rate,57 segment in ventricular, and ventricular premature beat for cardiac function and exposur
This study on health effect from EMF exposure was peformed from June 2001 to April 2002 to compare changes in melatonin levels in urine of 40 subjects during their normal sleeping hours, to evaluate heart rate,57 segment in ventricular, and ventricular premature beat for cardiac function and exposure of magnetic field between occupational group and non-occupational group, to evaluate microwave exposure from cellularphones which may have a potential influence on the electrophysiologic function of human brain, and each 20 subjects in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group measured personal 24-h continual exposure, using EMDEX II (for 40-800Hz, Enertech Consultant Inc.).
Subjects were 40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male volunteers, and assigned to two groups. Occupational group was 20 male volunteers; 5 subway drivers, 5 utility workers, and 10 electric workers-5 (mean age $32.94{\pm}4.03$, mean BMI $22.66{\pm}2.21$). Non-occupational group was 20 male volunteers; 20 graduate students (mean age : $30.36{\pm}4.65$, mean BMI : $23.10{\pm}2.39$).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subject.
An urine samples for analysis of melatonin excretion level were collected I time a day(immediately after wake-up) for five days from each subjects and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HRV-test for relationship between heart rate and EMF exposure wasperformed heart rate beat using Molter for subjects, and double EEG-test were performed in 10 long-term users of the cellularphones when using and not using them, and a single EEG-test in 10 short-term users of the cellularphones. Each EEG-recording took 40 min consisting of 30 min filed exposure and 10 min measurement.
And We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potential damage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from cellular phone, and the willingness to pay of people for the study of the radiation damage led by the government, by applying contingent vari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1. The mean personal exposure levels of occupational group were $0.21\;{\mu}T$, whereas non-occupational group were $0.12;{\mu}T$. Occupational group were exposed more highly while at work.
2. We showed not signifcant difference for the subjective average melatonin levels between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groups exposed to electromagnetic fields.
3. We showed no difference in the awake EEGs in terms of spectral power density measures between long-term users and short-term users of cellular phones.
4. We found that the economic value of the potentional damage by the radiation for a typical cellular phone user is about 20,000 won per year and he would be willing to pay about 1,800 won per year for the study. When the estimates are extended over all cellular phone users in Korea, the economic value of the potential damage by the radiation is estimated about 600 billion won per year. Also it is estimated that people would be willing to pay about 54 billion won per year for the study.
Finally, this study would provide significant data for furture study of risk assessment of magnetic fields. A large scale study concerning more detailed exposure assessment sh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health risk assessment of MFs. Further study should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ntribution of various sour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d health effect and exposure of magnetic fields.
목차 Contents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5
- (한글)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5
- (영문) Project Summary...7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9
- 1-1. 연구배경...9
- 1-2. 연구목적...10
- 1-3. 연구범위...11
- 1-4. 문헌 고찰...12
- (1) 전자파의 물리적 특성...12
- (2) 전자파의 주요 발생원...16
- (3) 전자파와 멜라토닌 가설...18
- (4) 전자파와 심박동수...21
- (5) 전자파와 뇌파...32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43
- 2. 총괄연구 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43
- 2-1. 연구방법...43
- (1) 연구대상...43
- (2) 전자파 측정기기의 특성...43
- (3) EMDEXII의 분석법...46
- (4) 전자기기 및 전자제품에서의 전자파 방출량 조사...46
- (5) 노출평가를 위한 개인노출수준 조사...47
- (6) 인체영향평가를 위한 멜라토닌 검사...48
- (7) 인체영향평가를 위한 심박동 검사...52
- (8) 인체영향평가를 위한 뇌파 검사...55
- (9)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가치 조사...57
- 2-2. 연구결과...66
- (1) 가정의 전자기기 및 전자제품에서의 전자파 방출량...66
- (2) 전자파 개인노출수준 평가...67
- (3) 전자파 노출과 멜라토닌과의 관계...74
- (4) 전자파 노출과 심박동수와의 관계...76
- (5) 휴대폰 사용과 뇌파와의 관계...85
- (6) 휴대폰 전자파피해의 조건부가치 측정...88
- (7) 전자파 인식도 조사...99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03
- 3-1. 고찰...103
- 3-2. 결론...107
- 4. 참고문헌...110
- 부록...117
- 가정에서의 전자제품 전자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거리 지침서...118
- 전자파 측정 조사 설문지...123
- 전자파 개인 노출량 조사표...129
- 멜라토닌 채취 기록지...131
- 전자용품 전자파 방출량 측정 기록지...132
- 휴대폰 전자파 피해에 대한 조건부가치측정 설문지 및 응답결과지...135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61
- 6.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63
- 7. 첨부서류...16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