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권역 광역 지하수 조사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연구책임자 김형수
참여연구자 백건하 , 원이정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수자원공사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등록번호 TRKO200300002925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금강권역.지하수.광역 조사.지하수위.지하수질.충적층.수문지질도.Geum-Gang Region.Regional Survey.Groundwater Level.Groundwater Quality.Alluvium.Hydrogeological Map.

초록

국가 지하수관리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금강권역의 지하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하수위 조사는 500여 공에 대해서 총 4회, 지하수질 조사는 150여 공에 대해서 총 2회에 걸쳐서 수행되었다. 충적층에 대해서는 5개의 시범 조사 지역을 선정하여, 정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본 지역의 지하수 심도 평균은 지표로부터 약 5 내지 7m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유역별 지하수의 심도는 단위 면적당 지하수 이용량과 매우 좋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암반 정호에 대한 지하수질은 몇 몇 천부 지하수를 제

Abstract

According to National Groundwater Management Plan, groundwater characteristics of Geum-Gang region were investigated in 2001 and 2002. Groundwater levels were measured four times at about 500 sites and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from about 150 sites over the region. For an intensiv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92
  • 1.1 연구의 배경...92
  • 1.2 조사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94
  • 제 2 장 일반 현황...98
  • 2.1 유역 개요...98
  • 2.1.1 유역 개황...98
  • 2.1.2 소유역 구분...100
  • 2.2 수문 환경 특성...106
  • 2.2.1 지형 및 수계...106
  • 2.2.2 지표피복인자...112
  • 2.3 용수 이용 현황...118
  • 2.3.1 용수 이용 현황...118
  • 2.3.2 지하수 이용 현황...120
  • 2.4 기상 및 수문...123
  • 2.4.1 기상...123
  • 2.4.2 수문...124
  • 2.5 잠재오염원...126
  • 2.6 토양오염...127
  • 제 3 장 지하수 수위 조사...130
  • 3.1 지하수 수위 조사...130
  • 3.2 지하수 수위 일제 조사...130
  • 3.2.1 지하수 수위 관측망 설정 및 수위 일제 조사...130
  • 3.2.2 금강권역 지하수위의 일반적 특성...135
  • 3.2.3 소유역별 지하수위 변동 특성...140
  • 3.3 금강권역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 분석...155
  • 3.3.1 수위 변동 특성...155
  • 3.3.2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분석...164
  • 3.4 해안지역 지하수의 조석효과 분석...175
  • 3.4.1 이론적 배경...175
  • 3.4.2 조석효과 관측 및 해석...177
  • 제 4 장 광역 수질 조사...187
  • 4.1 광역 수질 조사 개요...187
  • 4.1.1 조사 항목 및 분석 범위...187
  • 4.1.2 관측망 구성...189
  • 4.2 지하수 수질 특성...191
  • 4.2.1 현장 수질 조사 결과 분석...191
  • 4.2.2 주요 화학성분 분석...197
  • 4.2.3 지하수 수질 기준별 분석...211
  • 4.2.4 동위원소 분석...223
  • 4.2.5 수질 유형...230
  • 제 5 장 충적층 특성 조사...252
  • 5.1 충적층 조사 개요...252
  • 5.1.1 충적층 조사 연구 목적...252
  • 5.1.2 시범 지구 선정 및 연구내용...252
  • 5.2 충적층 기본 현황 조사...261
  • 5.2.1 금강권역 충적층 연구 사례...277
  • 5.2.2 금강 상류 충적층 특성...281
  • 5.2.3 금강 중류 충적층 특성...285
  • 5.2.4 금강 하류 충적층 특성...291
  • 5.2.5 서해안 유역 충적층 특성...294
  • 5.3 시범 지구 충적층 퇴적 특성 조사...299
  • 5.3.1 조사 목적, 방법 및 대상 지구...299
  • 5.3.2 부여 군수리 지구...299
  • 5.3.3 청원 오송리 지구...308
  • 5.3.4 천안 풍세면 지구...309
  • 5.3.5 서산 해미면 지구...311
  • 5.4 시범 지구 충적층 수위 조사...313
  • 5.4.1 조사 목적 및 대상 지구...313
  • 5.4.2 부여 군수리 지구...315
  • 5.4.3 주여 정동·자왕리 지구...316
  • 5.4.4 청원 오송리 지구...320
  • 5.4.5 천안 풍세면 지구...323
  • 5.4.6 서산 해미면 지구...325
  • 5.4.7 충적층지역 지하수 유동 모델링...328
  • 5.5 시범 지구 탄성파 조사...335
  • 5.5.1 조사 목적 및 대상 조사...335
  • 5.5.2 1차 예비 탄성파 탐수 수행...336
  • 5.5.3 1차 예비 탄성파 탐사 자료 해석...338
  • 5.5.4 2차 탄성파 탐사 수행...340
  • 5.5.5 2차 탄성파 탐사 굴절법 자료 해석...342
  • 5.5.6 2차 탄성파 탐사 반사법 자료 해석...348
  • 5.5.7 충적층 탄성파 탐사 결과...362
  • 5.6 시범 지구 충적층 수리지구화학 조사...364
  • 5.6.1 충적층 수리지구화학 일반 및 조사 목적...364
  • 5.6.2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365
  • 5.6.3 부여 군수 천안 풍세면 지구...398
  • 5.6.6 서해안 지구...414
  • 5.6.7 동위원소 분석 결과...427
  • 제 6 장 광역 수문 지질...435
  • 6.1 광역 지질...435
  • 6.1.1 광역 지질 개요...435
  • 6.1.2 지질각론...438
  • 6.1.3 지질구조...443
  • 6.2 수문지질단위...444
  • 6.3 리니아먼트...449
  • 6.3.1 리니아먼트 추출...449
  • 6.3.2 리니아먼트 분석...449
  • 제 7 장 광역 지하수자원 평가...456
  • 7.1 지하수 개발 가능량...456
  • 7.1.1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법...457
  • 7.1.2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458
  • 7.1.3 기타 지하수 개발 가능량 변화 요소...461
  • 7.2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463
  • 7.2.1 암반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464
  • 7.2.2 충적층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465
  • 제 8 장 결론 및 토의...467
  • 참고문헌...474
  • 금강권역 광역 지하수 조사 연구(부록)...48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