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연구책임자 |
김건한
|
참여연구자 |
김대업
,
이길용
,
심상권
,
박진태
,
윤윤열
,
양명권
,
천상기
,
안상호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2-12 |
주관부처 |
산업자원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등록번호 |
TRKO200300003353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o 국내 비금속 및 금속광물 소재산업 및 요업원료 광물의 부가가치 향상과 생산 기술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서는 각 제조공정상의 원료에 대한 정확한 평가분석결과를 얻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실정에 맞는 신뢰도 높은 표준물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비금속광물 시료에 대한 한국산 표준물질을 개발함으로써 관련산업체의 품질관리 및 개발, 평가분석기법의 개발 및 표준화에 필요한 표준물질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공급하고자 한다.
o 연차별로
1차년도(2000) : 장석 및 납석의 등급별 표준물 제조
- 장석 : A등급
o 국내 비금속 및 금속광물 소재산업 및 요업원료 광물의 부가가치 향상과 생산 기술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서는 각 제조공정상의 원료에 대한 정확한 평가분석결과를 얻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실정에 맞는 신뢰도 높은 표준물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비금속광물 시료에 대한 한국산 표준물질을 개발함으로써 관련산업체의 품질관리 및 개발, 평가분석기법의 개발 및 표준화에 필요한 표준물질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공급하고자 한다.
o 연차별로
1차년도(2000) : 장석 및 납석의 등급별 표준물 제조
- 장석 : A등급(Al₂O₃18%이상), B등급(Al₂O₃ 15∼18%), C등급(Al₂O₃ 15%이하),의 표준물질제조
- 납석 : A등급(Al₂O₃ 35%이상), B등급(Al₂O₃ 35∼30%), C등급(Al₂O₃ 30%이하),의 표준물질제조
2차년도(2001). 점토 및 도석의 등급별 표준물 제조
- 점토 : A등급 (Al₂O₃ 30%이상), B등급(Al₂O₃ 25∼30%), C등급(Al₂O₃ 25%이하), 의 표준물질제조
- 도석. A등급 (Al₂O₃ 30%이상), B등급(Al₂O₃ 25∼30%), C등급(Al₂O₃ 25%이하),의 표준물질 제조
3차년도(2002) : 고령토 및 규사의 등급별 표준물 제조
- 고령토. A등급(Al₂O₃ 35%이상), B등급(Al₂O₃ 30∼35%),C등급(Al₂O₃ 30%이하), 3 등급의 표준물질제조
- 규석 : 등급별, 광학용(SiO₂ 99.5%이상), 1급(SiO₂ 98%이상),3급(SiO₂ 96%이상) 3등급의 표준물질제조
총 18종류의 표준물질 제조.
Abstract
▼
Six kind of non-metallic minerals which designated for the Korean non-metallic mineral standard project are feldspar, pyrophyllite, plastic clay, porcelain stone, kaolin and silica stone. For the project 19 samples were prepared throughout the peninsula.
Four kinds of feldspar were caught in the
Six kind of non-metallic minerals which designated for the Korean non-metallic mineral standard project are feldspar, pyrophyllite, plastic clay, porcelain stone, kaolin and silica stone. For the project 19 samples were prepared throughout the peninsula.
Four kinds of feldspar were caught in the three places which are Yeongmam mine, Ogcheon, Choongbug province and A and B grade sample from Anyang mine, Aanyang, Gyeonggi province, and North Korean ones.
Three pyrophyllite samples were prepared in the two places. Three kinds of samples from Seongsan rune, Haenam, Chonnam province, and A and B grade ones from Cheongdo mine, Chongdo, Gyeongbuk province.Proecelain stones were caught in the Gyungju mine, Gyungju, and Samsung mine, Cheongdo, Gyeongbuk Province, and Cheongpyong mine Gapyong, Gyonggi province.
Clays were caught in the Heado mine Mooan, Chonnam province and Goryung clay mine, Hadong, Gyeongnam province.Kaolins were caught in the Daemyong mine Sancheong, and Beomwoo mine, Hadong, and Gaya mine, Hapcheon of Gyeongnam province.
Three silica stones were caught in the Jinseong mine, Jechon, Choongbug province, and Deogyong mine, Haenam, Jeonnam province, and Jirae mine, Gimchon, Gyeongbuk provice.
18 Korean standard samples have been prepared by the KIGAM. They are indicated below :
Feldspars : KF-1 ( Yeongnam feldspar )
KF-2 ( Anyang A feldspar )
KF-3 ( Anyang B feldspar )
Pyrophyllites : KP-1 ( Chungdo A pyrophyllite )
KP-2 ( Chungdo B pyrophyllite )
KP-3 ( Sungsan pyrophyllite )
Pottery stone KPo-1 ( Gyeongju pottery stone )
KPo-2 ( Samsung pottery stone )
KPo-3 ( Chungpyung Pottery stone )
Clays : KC-1(HaedoAClay)
KC-2 ( Haedo R Clay )
KC-3 ( Kaolinited Clay )
Kaolines : KKa-1 ( Daemyung kaoline )
KKa-2 ( Bumwoo kaoline )
KKa-3 ( Gaya kaoline )
Silica stones : KSi-1 ( Jinsung silica )
KSi-2 ( Duckyong silica )
KSi-3 ( Jirei silica )
The compositions of samples were determined in our laboratory (KIGAM ) with using XRF, ICP-AES, AAS and wet analytical method. Analytical results were treated statistically with using Extoll software. The limits of acceptability were arbitary selected as ±1 standard deviation from the arthmatic mean.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 론...18
- 1.1 표준물질 광물의 개요...18
- 1.2 연구개발의 목적...23
- 1.3 연구의 필요성...24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5
- 2.1 국내기술현황...25
- 2.2 국외기술현황...26
- 2.3 기술개발에서 차지하는 위치...36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8
- 3.1 장석...39
- 3.1.1. 장석의 의의...39
- 3.1.2. 장석의 용도 및 품질요건...40
- 3.1.3. 국내 장석 광상의 부존 및 산출상태...43
- 3.1.4. 장석 시료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45
- 3.1.5. 장석 표준 시료 제작 광산 조사 현황...47
- 3.2 납석...52
- 3.2.1. 납석의 정의...52
- 3.2.2. 납석의 용도 및 품질 요건...53
- 3.2.3. 납석 광상의 부존 및 산출 상태...54
- 3.2.4. 납석 시료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58
- 3.2.5. 납석 표준 시표 제작 광산 조사 현황...58
- 3.3 점토...63
- 3.3.1. 점토 광물의 정의...63
- 3.3.2. 점토 광물의 종류...64
- 3.3.3. 점토 광물의 구조...67
- 3.3.4. 점토 광물의 특성...68
- 3.3.5. 점토 시료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70
- 3.3.6. 점토 표준 시료 제작 광산 조사 현황...72
- 3.4 도석...76
- 3.4.1. 도석의 정의...76
- 3.4.2. 도석의 산상...76
- 3.4.3. 도석의 특성...77
- 3.4.4. 도석의 종류...78
- 3.4.5. 우리나라 도석 광물의 분포...79
- 3.4.6. 도석 시료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80
- 3.4.7. 도석 표준 시료 제작 광산 조사 현황...82
- 3.5 고령토...86
- 3.5.1. 고령도 광물의 정의...86
- 3.5.2. 구조...88
- 3.5.3. 열변화...89
- 3.5.4. 용도...89
- 3.5.5. 고령토 산출 상태...90
- 3.5.6. 고령토 시료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91
- 3.5.7. 고령토 표준 시료 제작 광산 조사현황...93
- 3.6 규석...98
- 3.6.1. 규석의 특성 및 성인...98
- 3.6.2. 규석의 용도 및 품질 요건...99
- 3.6.3. 국내 규석의 산상 및 분포...101
- 3.6.4. 규석 시표 채취 현황 및 광산 분포도...101
- 3.6.5. 규석 표준 시료 제작 광산 조사 현황...102
- 3.7 XRD와 현미경 관찰...110
- 3.7.1. X-선 회절 분석에 의한 광물 감정...110
- 3.7.2. 현미경 관찰 연구...121
- 3.8 표준물질의 제조...126
- 3.8.1 시료의 분쇄 및 혼합...126
- 3.8.2 시료의 균질화...126
- 3.8.3 시료의 특성치 결정 시험...129
- 3.8.3.1 분말시료의 입도측정...129
- 3.8.3.2 화학성분별 균질도 검증...158
- 3.8.3 표준물질의 제조 결과...191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196
- 4.1 연도별 연구 목표...196
- 4.2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197
- 4.3 관련분야 기술발전에의 기여도...199
-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200
- 5.1 추가연구의 필요성...200
- 5.2 타 연구의 응용...200
- 5.3 기업화 추진 방향...201
- 제 6 장 참고문헌...20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