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조혜진
참여연구자 윤수정 , 정준화 , 윤덕근 , 전재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08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0400000927
과제고유번호 1500000389
사업명 산학연공동연구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의 목적은 안개다발지역의 사고방지와 안전성 제고를 위해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로기상정보시스템과 가변속도제한시스템을 결합하여서 안개다발지역의 다양한 대책들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하고 시스템을 운영시키는 일련의 시스템이다.
본 연구과제의 1차년도 수행기간동안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서 안개발생 자체의 특성과 안개다발지역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선진국의 경우 안개다발지역에서의 다양한 대책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도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fog-prone area in order to reduce the fog-related traffic accidents and to improve safet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 decision making tool which enables efficient countermeasures active and which combines road weather

목차 Contents

  • 표지(최종보고서)...1
  • 제출문...2
  • 1차년도 연차보고서...3
  • 2차년도 연차 보고서...4
  • 표지(1차년도 연차보고서)...6
  • 제출문...7
  • 요약문...9
  • SUMMARY...10
  • 제목차례...11
  • 표차례...19
  • 그림차례...22
  • CONTENTS...27
  • I. 서론...30
  • 제1장 서론...31
  • 1.1 연구의 배경...31
  • 1.2 안개다발지역의 문제점...33
  • 1.3 연구의 목표...36
  • 1.4 연구의 내용...37
  • 1.5 과업수행 흐름...39
  • II. 문헌 연구...40
  • 제2장 안개의 특성 연구...41
  • 2.1 안개발생의 원인과 특성...41
  • 2.1.1 안개의 정의...41
  • 2.1.2 안개의 생성 및 소산...42
  • 2.1.3 안개의 종류 및 특성...47
  • 2.1.4 안개의 분류...50
  • 2.2 안개의 관측과 예측...55
  • 2.2.1 안개의 관측...55
  • 2.2.2 기상관측지점...58
  • 2.2.3 안개의 예측...63
  • 제3장 안개지역의 특성 연구-문헌연구...68
  • 3.1 한국 안개 기후구 설정(김성삼?이래영 1970)...69
  • 3.1.1 한국의 안개특성...69
  • 3.1.2 안개기후구...71
  • 3.2 경부고속도로상의 안개 구성에서의 안개 발생에 대한 연구(민경덕 1976)...72
  • 3.2.1 연구방법 및 자료...72
  • 3.2.2 안개 구역의 개요...73
  • 3.2.3 경부고속도로상의 안개 특성...74
  • 3.2.4 결론...76
  • 3.3 한국의 지역별 안개 특성(허인혜 1997)...77
  • 3.3.1 안개의 발생 일수...77
  • 3.3.2 계절별 안개의 지속시간...78
  • 3.3.3 안개의 지역구분 및 특성...79
  • 3.4 문헌 연구 고찰...84
  • 제4장 안개다발지역의 대책연구...86
  • 4.1 도로상의 안개영향 연구...86
  • 4.1.1 안개와 교통량 및 교통사고의 관계...86
  • 4.1.2 신설도로 설계를 위한 지역의 안개 기후 판단...91
  • 4.1.3 안개 잠재지수모형 개발...98
  • 4.1.4 안개 예방 및 대책 연구...104
  • 4.1.5 소결...108
  • 4.2 시정 감소에 따른 운전자 행태 연구...109
  • 4.2.1 미국-캘리포니아...109
  • 4.2.2 미국-오레곤...109
  • 4.2.3 미국-버지니아...110
  • 4.2.4 미국-테네시...111
  • 4.2.5 유럽 - 네덜란드...112
  • 4.3 시정감소에 대한 대책 연구...113
  • 4.3.1 미국-캘리포니아...113
  • 4.3.2 영국...127
  • 4.4 도로기상정보시스템(RWIS)의 적용사례...131
  • 4.4.1 FORETELL 프로그램...131
  • 4.4.2 ADVISE(ADverse Visibility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136
  • 4.4.3 Tennessee Fog Detection & Warning System...141
  • 4.5 결론 및 연구 적용 방향...142
  • III. 안개다발지역의 특성 연구...147
  • 제5장 안개다발지역의 특성 연구...148
  • 5.1 자료...148
  • 5.2 안개 다발지역의 특성...151
  • 5.2.1 월평균 안개의 발생일수...151
  • 5.2.2 월평균 안개의 시작시각...157
  • 5.2.3 월평균 안개의 지속시간...160
  • 5.2.4 안개의 강도 및 시정...164
  • 5.2.5 결론...167
  • 5.3 안개 지역구분에 따른 분석 (1998~2000)...168
  • 5.3.1 각 군집별 안개 시작/지속 시간의 분석...169
  • 5.3.2 군집별 안개의 특성...172
  • 5.3.3 안개의 특성비교(1961~1990년과 1998~2000년)...172
  • 5.4 각 관측소별 안개의 특성...173
  • 제6장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대상 선정...174
  • 6.1 도로등급별 관리대상 지역...175
  • 6.1.1 고속도로...175
  • 6.1.2 국도...185
  • 6.2 위험안개 발생지표 Index F...195
  • 6.2.1 선정 기준...195
  • 6.2.2 위험 안개 발생지표 (Index F)...207
  • 6.2.3 안전관리 대상지역 선정...208
  • IV. 시범사업구간의 선정 및 시험 운영 분석...214
  • 제7장 시범사업구간의 선정 및 특성...215
  • 7.1 개요...215
  • 7.2 제주도 첨단교통모델도시 사업...216
  • 7.2.1 사업의 규모...217
  • 7.2.2 사업의 내용...219
  • 7.3 시범사업구간의 선정과 도로 및 현황 분석...221
  • 7.3.1 시범사업구간의 선정...221
  • 7.3.2 시범사업구간의 도로 현황...222
  • 7.3.3 시범사업구간의 안개발생 현황...223
  • 7.3.4 시범사업구간의 교통현황조사 및 분석...225
  • 7.3.5 시범사업구간의 시간대별 교통량 현황...228
  • 7.4 시범사업구간의 검지기 설치 현황...230
  • 7.4.1 검지기 설치지점 선정조건...231
  • 7.4.2 검지기 설치현황...233
  • 7.5 기상검지기 현장설치 현황...239
  • 7.5.1 기상센서 설치현황 및 동작여부...239
  • 7.5.2 부가공사 현황...239
  • 7.5.3 노면센서 설치법...240
  • 7.5.4 시범사업구간의 기상검지기 현장...241
  • 제8장 도로기상정보의 시스템의 설계...243
  • 8.1 개요...243
  • 8.2 국내외 연구동향...244
  • 8.2.1 국내...244
  • 8.2.2 국외...245
  • 8.3 도로기상정보 시스템(RWIS)의 기본 개념도...249
  • 8.4 도로기상정보 시스템(RWIS)의 구성...249
  • 8.4.1 도로기상 관측 및 분석 Process...249
  • 8.4.2 한국형 도로기상 예보 Process...251
  • 8.4.3 도로기상 D/B 및 Display Process...251
  • 8.5 H/W의 기능적 세부 사양...255
  • 8.5.1 노면 관측장치...255
  • 8.5.2 대기관측 장비 (AWS : 자동기상관측장비)...256
  • 8.5.3 데이타 로깅 유닛...257
  • 8.6 S/W의 기능적 세부 사양...258
  • 8.6.1 RWDAM (Road Weather Data Application Module)...258
  • 8.6.2 RWNAM (Road Weather Network Application Module)...259
  • 8.6.3 RWNFM (Road Weather Numerical Forecasting Model)...260
  • 8.6.4 RWDSM (Road Weather Display Service Module)...261
  • 8.7 도로기상정보 시스템의 운영 방안...263
  • 8.8 도로기상정보 시스템의 기상상황별 대응전략...264
  • 8.8.1 자체 기상정보 수집 방안...264
  • 8.8.2 외부 기상정보 수집 방안...264
  • 8.8.3 기상관련 재난예보 방안...265
  • 8.9 도로기상정보 시스템의 효과 ...265
  • 8.9.1 사회?경제적 효과...265
  • 8.9.2 기대 성과...266
  • 8.10 운용 평가 방안...267
  • 8.11 일반 기상관측 시스템과의 차별성...268
  • 8.11.1 센서 선정...268
  • 8.11.2 통신 설계...268
  • 8.11.3 수입 대체 효과 및 신기술/특허 추진...269
  • 제9장 기상정보시스템의 세부사항...270
  • 9.1 도로기상관측 H/W 설치...270
  • 9.1.1 설치 H/W 목록 및 사양 (센서, 로거 및 통신장비)...270
  • 9.1.2 설치 도면 및 시방...275
  • 9.2 도로기상정보 시스템 상세 설계...282
  • 9.2.1 시스템 사양 및 특징...282
  • 9.2.2 D/B 설계...287
  • 9.2.3 S/W 상세 설계...310
  • 9.2.4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359
  • 9.2.5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363
  • 제10장 시험운영 및 데이터 분석...369
  • 10.1 개요...369
  • 10.2 시험운영 분석자료...371
  • 10.2.1 분석자료 형식...373
  • 10.2.2 분석자료 상세설명...373
  • 10.3 데이터 안정성...377
  • 10.3.1 기상 검지기 각 센서의 H/W적 안정성...377
  • 10.3.2 데이터 안정성...378
  • 10.4 데이터 상세분석...381
  • 10.4.1 시정감소 현상 데이터...381
  • 10.4.2 상세분석...382
  • 10.4.3 분석 내용...382
  • 10.5 결론...407
  • V. 안전관리시스템의 요소기술 연구...409
  • 제11장 안개경보등 개발 및 제작 ; 도로위험 경보 표시장치...410
  • 11.1 개요...410
  • 11.2 개발의 배경...411
  • 11.2.1 기존 기술의 문제점...411
  • 11.2.2 기술적 과제...413
  • 11.3 경보 장치의 구성...413
  • 11.4 경보장치의 작동순서 ...419
  • 11.5 기대효과...419
  • 제12장 지능형 도로전광 표지 개발 및 제작...420
  • 12.1 개요...420
  • 12.2 개발의 배경...421
  • 12.2.1 기존 기술의 문제점...421
  • 12.2.2 기술적 과제...423
  • 12.3 장치의 구성...424
  • 12.4 기대 효과...429
  • VI.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431
  • 제13장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432
  • 13.1 새로운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432
  • 13.2 본 안전관리시스템 개발의 특성...434
  • 13.3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436
  • 13.4 안전관리 시스템의 설계...438
  • 13.4.1 안전관리 시스템의 의사결정 알고리즘 설계...438
  • 13.5 안전관리 시스템 상세 설계...441
  • 13.5.1 안전관리 시스템의 대안/시나리오...442
  • 13.5.2 가변속도제한(VSL:Variable Speed Limit)...443
  • 13.5.3 정보표출 매체 및 내용...445
  • 13.5.4 정보갱신 주기...446
  • 13.6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 현장설치 예시도...447
  • 13.7 시험사업구간의 안전관리 시스템 적용...447
  • VII. 결론 및 차기년도 연구사항...448
  • 제14장 결론 및 차기년도 연구사항...449
  • 14.1 결론...449
  • 14.2 차기년도 연구사항...451
  • 참고문헌...453
  • 부 록...458
  • 부록 A...459
  • 부록 B...462
  • 부록 C...480
  • 표지(2차년도 연차보고서)...485
  • 제출문...486
  • 요약문...487
  • SUMMARY...491
  • 목 차...493
  • 표 목 차...496
  • 그 림 목 차...497
  • CONTENTS...500
  • I. 서 론...503
  • 제1장 서 론...504
  • 1.1 연구의 배경...504
  • 1.2 연구의 목표...505
  • 1.3 연구의 내용...506
  • 1.4 과업수행 흐름도...509
  • II. 기존문헌연구...510
  • 제2장 기존 문헌 연구...511
  • 2.1 가변속도 제한 시스템...512
  • 2.2 국외 사례 검토...513
  • 2.3 안전관리시스템 효과분석 : ADVISE의 사례...520
  • 2.4 본 연구에의 시사점...527
  • III. 시범사업 구간의 추가선정 및 운영효과분석...529
  • 제3장 시범사업의 추가 시험운영 구간의 선정...530
  • 3.1 개요...530
  • 3.2 선정 이유...531
  • 3.3 선정 지점의 특성...534
  • 제4장 시범사업구간 특성 및 Prototype 설치...539
  • 4.1 시험운영 구간의 특성...539
  • 4.2 시험운영 계획...546
  • 4.3 시스템 제작 및 설치...555
  • 제5장 운전자 행태 관련 설문조사...564
  • 5.1 조사 목적 및 내용...564
  • 5.2 조사방법 및 조사항목...565
  • 5.3 조사 결과 정리...566
  • 5.4 소 결...583
  • 제6장 추가 시범사업구간의 시험운영...586
  • 6.1 개 요...586
  • 6.2 조사 방법...588
  • 제7장 시험운영 결과분석...593
  • 7.1 개요...593
  • 7.2 분석방법...594
  • 7.3 운영효과 분석...595
  • 7.4 시험운영 결과에 따른 위험등급 결정...609
  • 7.5 안전관리 시스템의 수정·보완...614
  • IV. 안전관리 시스템 요소기술개발을 위한 연구...618
  • 제8장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현황...618
  • 8.1 개 요...618
  • 8.2 도로전광표지의 개발 현황...619
  • 8.3 소 결...622
  • 제9장 보급형 시정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624
  • 9.1 개요...624
  • 9.2 국내개발현황...625
  • 9.3 소 결...630
  • V. 결론 및 향후 연구 사항...632
  • 제10장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633
  • 10.1 결론...633
  • 10.2 향후 연구 과제...638
  • 참고문헌 ...639
  • 부 록...64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