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도기술개발사업 (G7) 프로그램 종합분석 연구 Ⅱ
A Study on the Highly Advanced National(HAN) Program Evaluation Ⅱ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등기술연구원(사)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연구책임자 최기련
참여연구자 김영욱 , 신영균 , 이성규 , 이정승 , 김상준 , 임용택 , 이상철 , 이병인 , 전영신 , 강민정 , 김지원 , 장한수 , 임영규 , 이종학 , 안치경 , 조창권 , 최요철 , 이병길 , 조성표 , 박문희 , 장진규 , 박창준 , 이우형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2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고등기술연구원(사)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등록번호 TRKO200400000989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선도기술개발사업.G7사업.종합분석.성과분석.경제 사회적 평가.프로그램 평가.HAN program, Public R&D evaluation.Program evaluation.Scio-economic evaluation.S&T evaluation.

초록

1. 연구의 목표 및 범위
- 종합분석틀의 완성
- 선도기술개발사업 전체의 종합 성과분석 수행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cdot}$관리 및 평가에 관한 최적실행방안(Best Practice) 도출
2. 연구의 방법론
- 종합분석틀: 분석기준(2개), 분석범위(4개), 분석주안점(13개), 분석항목(52개), 분석 지표(198개)
- 분석기법 설문조사, 인터뷰, 계량분석(미시경제적 분석, 거시경제적 분석), 서지분석, 특허분석
3. 연구의 결론
*G7 사업은 충분히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49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50
  • 제 2 절 연구의 목적...51
  • 제 3 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52
  • 제 4 절 연구수행 과정...55
  • 1. 연구수행 과정...55
  • 2. 보고서의 개요...56
  • 3. 연구 추진전략...57
  • 제 2 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분석의 개념...59
  • 제 1 절 연구개발사업 종합분석의 개념...60
  • 제 2 절 연구개발사업 종합분석의 목적과 의의...65
  • 제 3 절 연구개발사업 종합분석의 주요 내용...66
  • 제 4 절 연구개발사업 종합분석 시의 고려사항...69
  • 제 3 장 국내외 종합분석 사례...72
  • 제 1 절 개요...73
  • 제 2 절 주요국의 사례...76
  • 1. 유럽의 BRITE-EURAM 사업 평가 사례...76
  • 2. 캐나다의 ARA의 평가 사례...77
  • 3. 영국의 Alvey 사업 평가 사례...79
  • 4. 미국의 ATP 사업 평가 사례...80
  • 5. 국내사례...83
  • 6. 기타 평가 사례...88
  • 제 4 장 연구개발사업 분석 기법...89
  • 제 1 절 개요...90
  • 제 2 절 분석 기법 의 분류...96
  • 1. 정성적 기법...97
  • 2. 준정량적 기법...103
  • 3. 정량적 기법...112
  • 제 5 장 선도기술개발사업 종합분석 방법론...120
  • 제 1 절 선도기술개발사업 종합분석틀...123
  • 1. 분석틀의 계층구조...123
  • 2. 분석 기준의 설정...124
  • 3. 분석범위 및 분석주안점의 설정...125
  • 4. 분석항목 및 분석지표...126
  • 제 2 절 분석기법...134
  • 1. 분석기법 선정 시 고려 사항...134
  • 2. 분석기법의 선정...134
  • 3. 분석기법과 분석틀의 연계...138
  • 제 3 절 자료조사...144
  • 1. 서지분석...144
  • 2. 특허자료 조사...145
  • 3. 설문조사 및 인터뷰...146
  • 4. 거시경제적 분석...150
  • 제 4 절 분석 결과의 검토 과정...151
  • 제 6 장 선도기술개발사업의 현황 및 특성...152
  • 제 1 절 개요...153
  • 1. 추진배경...153
  • 2. 추진체계...155
  • 3. 선도기술개발사업 목표 및 투입현황...158
  • 제 2 절 각 사업별 개요...166
  • 1. HDTV수상기 공동개발사업...166
  • 2. 차세대반도체 기반기술개발사업...172
  • 3. 신의약ㆍ신농약 기술개발사업...180
  • 4. 주문형반도체 기술개발사업...188
  • 5. 차세대-평판표시장치 기반기술개발사업...197
  • 6.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기술개발사업...207
  • 7. 차세대원자로 기술개발사업...215
  • 8. 정보ㆍ전자ㆍ에너지첨단소재 기술개발사업...224
  • 9. 신기능생물소재 기술개발사업...234
  • 10. 차세대초전도핵융합 연구장치개발사업...245
  • 11. 의료공학 기술개발사업...258
  • 12. 초소형정밀기계 기술개발사업...270
  • 13. 차세대자동차 기술개발사업...286
  • 14. 고속전철 기술개발사업...296
  • 15. 첨단생산시스템 기술개발사업...306
  • 16. 감성공학 기반기술개발사업...314
  • 17. 환경공학 기술개발사업...326
  • 18. 신에너지 기술개발사업...333
  • 제 7 장 종합분석 결과...341
  • 제 1 절 선도기술개발사업 총괄 분석 결과...343
  • 1. 국가과학기술능력 제고 분야...343
  • 2. 산업경쟁력 확보...386
  • 제 2 절 사업별 분석 결과...421
  • 1. HDTV 수상기 공동기술개발사업 및 주문형반도체 기술개발사업...421
  • 2. 차세대반도체 기반기술개발사업...426
  • 3. 신의약ㆍ신농약 기술개발사업...431
  • 4. 차세대평판표시장치 기반기술개발사업...436
  • 5.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기술개발사업...441
  • 6. 차세대원자로 기술개발사업...446
  • 7. 정보ㆍ전자ㆍ에너지 첨단소재 기술개발사업...451
  • 8. 신기능생물소재 기술개발사업...456
  • 9. 차세대초전도핵융합 연구장치개발사업...461
  • 10. 의료공학 기술개발사업...466
  • 11. 초소형정밀기계 기술개발사업...471
  • 12. 차세대자동차 기술개발사업...476
  • 13. 고속전철 기술개발사업...481
  • 14. 첨단생산시스템 기술개발사업...486
  • 15. 감성공학 기반기술개발사업...491
  • 16. 환경공학 기술개발사업...496
  • 17. 신에너지 기술개발사업...501
  • 제 3 절 심층 분석 결과...506
  • 1. 선도기술개발사업의 제반 여건 분석...506
  • 2. 연구수행 주체별(산/학/연) 분석...515
  • 3. 사업 유형별(제품기술/기반기술) 분석...528
  • 제 8 장 결론...539
  • 제 1 절 연구수행 과정...540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540
  • 2. 연구수행 과정...540
  • 제 2 절 연구의 주요 결과 정리...543
  • 1. 선도기술개발사업의 개요...543
  • 2. 종합분석 주요결과...545
  • 제 3 절 종합분석 결론 도출...549
  • 1. 원천ㆍ기반기술의 확보...549
  • 2. 전략제품군의 개발...552
  • 3. 국민경제 및 산업부문에 대한 기여도...553
  • 4. 결론...554
  • 제 9 장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최적실행방안...555
  • 참고문헌...563
  • [부록Ⅰ] 종합분석틀...575
  • [부록 Ⅱ] 설문서...579
  • [부록 Ⅲ] 인터뷰 질의서...609
  • [부록 Ⅳ] 종합분석기획단 회의록...617
  • [부록 Ⅴ] 특허분석기법을 활용한 기술가치평가...645
  • [부록 Ⅵ] 거시경제적 분석...707
  •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707
  • [첨부1] 연구결과 활용계획서...71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