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지진예지 및 지진해일 예측기술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eteorology and Seismology;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Earthquake Prediction and Tsunami Forecasting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기상연구소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덕기
참여연구자 윤용훈 , 남재철 , 서장원 , 김태희 , 오석훈 , 류용규 , 이호만 , 장유순 , 김영아 , 황승언 , 서태건 , 서은진 , 이경아 , 양준모 , 오희진 , 신도식 , 이전희 , 황의홍 , 신호 , 오용해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5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기상청
사업 관리 기관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400001319
과제고유번호 1360000093
사업명 기상지진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지진.탐지.전조.전자기.지진해일.전파.처오름.Earthquake.Detection.Precursor.Tsunami.Propagation.Run-up.

초록

o 한반도 주변 해일유발지진 특성 및 탐지 연구
한반도 인근 해일유발지진은 일본서안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을 유추하였다. 이 지역의 지진활동도 및 단층정보, 그리고 지진파형을 DB화하고 해수면 초기변동식을 개발하여 지진해일표출 알고리즘 (TASK2003)에 이용하였다. 해일유발지진 탐지방법 연구에서는 지진계 획득상수 연구, 관측소 하부 지질환경 및 도달시간이상연구, 기반암 속도 및 감쇠연구, 그리고 지구 물리학적 심부구조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o 지구물리학적 계측에 의한 지진 전조현상 연구
기존의 성과물을 분석하

Abstract

A collaborative study on tsunami inducing earthquake, tsunami, and earthquake precursors has been performed to establish a basis for detecting or predicting tsunami, earthquake, and earthquake precursors. First, a study for establishing a basis of a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a tsunami inducin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보고서초록...3
  • 요약문...4
  • SUMMARY...12
  • CONTENTS...14
  • 목차...15
  • list of Table...20
  • list of Figure...24
  • 제 1 장 서론...62
  •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62
  • 2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65
  • 3 절 추진전략 및 방법...6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70
  • 제 3 장 연구수행 개발내용 및 결과...73
  • 3.1 한반도 주변 해일지진 특성 및 탐지 연구...73
  • 3.1.1 요약...73
  • 3.1.1.1 국문요약...73
  • 3.1.1.2 영문요약...75
  • 3.1.2 서론...77
  • 3.1.3 해일유발지진 발생 및 특성...79
  • 3.1.3.1 해일유발지진 특성...79
  • 3.1.3.2 동해 해일유발지진의 응력 강하...81
  • 3.1.3.3 해일유발지진 파형모사연구...87
  • 3.1.3.4 결론...96
  • 3.1.4 해일유발지진 발생지역 연구...98
  • 3.1.4.1 한반도 동남안 및 일본서안의 단층에 의한 지진연구...98
  • 3.1.4.2 단층정보 및 한반도 인근 해역 해저지진 연구...119
  • 3.1.4.3 한반도 해저 지진에 대한 역사기록 연구...157
  • 3.1.5 해일지진탐지방법 시범설정을 위한 탐지환경 정량화 연구...189
  • 3.1.5.1 기상청 광대역 지진관측소 지진계 획득 상수 연구...189
  • 3.1.5.2 기상청 광대역 지진관측소 지질 환경 연구...199
  • 3.1.5.3 광대역 관측소 지진파 평균도달시간 이상에 대한 연구...227
  • 3.1.5.4 광대역 관측소 기반암의 지진파 속도 및 감쇠연구...252
  • 3.1.5.5 GDS를 이용한 한반도 심부 구조에 대한 연구...266
  • 3.1.5.6 NA 알고리즘에 의한 수신함수 역산 연구...335
  • 3.1.6 해일유발지진과 지진해일 초기 해수면 변동...343
  • 3.1.6.1 해일지진 단층해와 해수면 초기 변동 연구...343
  • 3.1.6.2 단층해의 변화에 따르는 지진해일파형 특성 분석...354
  • 3.1.7 해일유발지진 탐지 방법 연구...357
  • 3.1.7.1 해저 지진 합성 파형 DB 연구...357
  • 3.1.7.2 동해 인근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진원요소결정...365
  • 3.1.7.3 TASK2003 알고리즘...373
  • 3.2 지진해일 범람도 작성을 위한 기초조사...385
  • 3.2.1 요약...385
  • 3.2.1.1 국문 요약...385
  • 3.2.1.2 Summary...387
  • 3.2.2 서론...389
  • 3.2.3 기존의 지진해일 연구조사...393
  • 3.2.3.1 국내 지진해일 연구동향...393
  • 3.2.3.2 국외 지진해일 연구동향...397
  • 3.2.4 지진해일발생 및 피해현황조사...400
  • 3.2.4.1 개요...400
  • 3.2.4.2 북해도 서남부 지진...401
  • 3.2.4.3 동해안의 지진해일 조사...406
  • 3.3.4.4 결론...414
  • 3.2.5 가상 지진해일 DB에 의한 동해안 지진해일 시뮬레이션...416
  • 3.2.5.1 개 요...416
  • 3.2.5.2 지진 공백역의 추정 및 초기변위 산정...417
  • 3.2.5.3 수치모형...420
  • 3.2.5.4 결언...422
  • 3.2.5.5 결론...448
  • 3.2.6 지진해일 전파 수치모형...449
  • 3.2.6.1 서론...449
  • 3.2.6.2 지배방정식...450
  • 3.2.6.3 수치기법...451
  • 3.2.6.4 지진해일 수치모의...468
  • 3.2.6.5 결론...482
  • 3.2.7 처오름 모형 (Run-up Model)...484
  • 3.2.7.1 지배방정식...484
  • 3.2.7.2 유한차분법...485
  • 3.2.7.3 이동경계조건...487
  • 3.2.8 지진해일 전파 수치모형의 분산특성 분석...495
  • 3.2.8.1 서론...495
  • 3.2.8.2 지배방정3.2.8.4 유한요소식의 유도...500
  • 3.2.8.5 파동방정식의 수치기법에 따른 분산특성 분석...503
  • 3.2.8.6 지진해일 수치모의를 위한 분산보정...508
  • 3.2.8.7 결론...514
  • 3.2.9 지진해일에 의한 처오름높이 해석...516
  • 3.2.9.1 처오름 모형...516
  • 3.2.9.2 입사파의 변화에 의한 처오름높이...520
  • 3.2.9.3 다양한 지형에서의 처오름높이...534
  • 3.2.10 동해에 연한 해안에서의 지진해일 위험도 산정...550
  • 3.2.10.1 개요...550
  • 3.2.10.2 지진 공백역의 추정...551
  • 3.2.10.3 수치모형...555
  • 3.2.10.4 결과...557
  • 3.2.10.5 범람고의 추정 및 재해위험도 구획화...572
  • 3.2.10.6 결론...580
  • 3.2.11 사면구조 격자에 의한 지진해일의 처오름높이 해석...581
  • 3.2.11.1 서론...581
  • 3.2.11.2 수리모형 실험...582
  • 3.2.11.3 사면구조 격자기법...584
  • 3.2.11.4 처오름모형...588
  • 3.2.11.5 사면구조 격자에서의 처오름높이...594
  • 3.2.11.6 결론...607
  • 3.2.12 지진해일 전파 유한요소모형의 능동적 분산보정...609
  • 3.2.12.1 서론...609
  • 3.2.12.2 지배방정식...610
  • 3.2.12.3 양해법에 의한 유한요소식...611
  • 3.2.12.4 분산보정 계수 Y의 결정...616
  • 3.2.12.5 분산보정 기법의 안정성 검토...617
  • 3.2.12.6 분산보정 지진해일 수치 모의...623
  • 3.2.12.7 결론...629
  • 3.2.13 동해안 지진해일 예ㆍ경보...630
  • 3.2.13.1 서론...630
  • 3.2.13.2 지진해일 예ㆍ경보의 현재...631
  • 3.2.13.3 가능한 예ㆍ경보 체계의 구성...634
  • 3.2.13.4 결론...648
  • 3.2.14 쓰나미 DB에 의한 동해안 해일고 산정 프로그램 개발...649
  • 3.2.14.1 개요...649
  • 3.2.14.2 산정 원리...649
  • 3.2.14.3 시스템 구성도...650
  • 3.2.14.4 토의...651
  • 3.2.14.5 DB구동형 수치모형에 의한 예보체계 GUI 구성...652
  • 3.2.14.6 GUI화된 DB구동형 수치모형에 의한 예보체계 성과품...658
  • 3.3 지구물리학적 계측에 의한 지진 전조현상 연구...659
  • 3.3.1 요약...659
  • 3.3.1.1 국문요약...659
  • 3.3.1.2 영문요약...663
  • 3.3.2 서론...667
  • 3.3.3 지진 예치 및 전조 현상 연구...669
  • 3.3.3.1 선진 외국의 전조 현상 모니터링 기법...669
  • 3.3.3.1.1 선진 외국의 지진 전조 현상 모니터링 결과...669
  • 3.3.3.1.2 전조현상에 대한 이론연구 및 선진외국기술 습득...672
  • 3.3.3.2 전조현상의 지구물리학적 메카니즘 및 전기, 전자 모델링 연구...674
  • 3.3.3.2.1 서론...674
  • 3.3.3.2.2 Electrokinetic effect에 의한 자연 전위 모델링 연구...676
  • 3.3.3.2.3 MT 반응 기초 연구...698
  • 3.3.3.2.4 VAN method...731
  • 3.3.3.3. 지진에 의한 전자기장 교란 모델...734
  • 3.3.3.4 자연전위 수치모델...751
  • 3.3.3.4.1 수치 모델링...751
  • 3.3.3.4.2 수치 모델링 결과...755
  • 3.3.3.5 지자기장 관측자료 분석...759
  • 3.3.3.6 전조현상의 지구물리학적 반응에 대한 Proto-type model 설정...761
  • 3.3.3.6.1 단층대에서의 전자기 반응 연구...761
  • 3.3.3.7 역사지진을 이용한 한반도 지진 예지 가능성 추정...789
  • 3.3.3.7.1 강진의 전진과 여 3.3.3.7.3 옥천대 및 경기육괴의 역사지진...792
  • 3.3.3.7.4 평남분지의 역사지진...793
  • 3.3.3.8 지진파 속도 변화 조사...825
  • 3.3.4 결론...845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848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849
  • 제 6 장 연구개발과점에서 수집한 해외과학 기술정보...850
  • 제 7 장 참고문헌...851
  • 연구결과 활용계획서...88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