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연안바다 열수지에 의한 강설ㆍ해무 발생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now and sea fog occurrence by heat flux exchanges over the coastal seas around the Jeju Islan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제주지방기상청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연구책임자 윤용훈
참여연구자 우종규 , 이춘식 , 강태진 , 고수완 , 한경훈 , 김경보 , 고홍표 , 강희선 , 김성수 , 장승민 , 서석철 , 장유순 , 김태희 , 고희종 , 문재홍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0
주관부처 기상청
사업 관리 기관 제주지방기상청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등록번호 TRKO200500002471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제주도 연안바다 열수지는 12월에 잠열속(140∼230 $W/m^2$)과 현열속(70∼110 $W/m^2$)이 최대를 나타내고 6월에 잠열속(0∼5 $W/m^2$)과 현열속(-10 $W/m^2$)이 최소를 나타났으며, 열수지에 영향을 주는 해양기상 요소는 해기차와 풍속이 가장 중요한 기상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값이 높을수록 겨울철 해양에서 대기로 많은 열량이 에너지와 수증기가 현열과 잠열의 형태로 공급되어 대기불안정을 유발하고 강설 및 적설시스템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11
  • 제 2 장 자료 및 분석 방법...13
  • 2-1 자료...13
  • 2-2 분석방법...13
  • 2-3 열수지방정식...15
  • 제 3 장 제주도부근해상 열수지 특성...18
  • 3-1 해양 기상변수들의 특징...18
  • 3-2 해수온도(SST)...21
  • 3-3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량($Q_{s}$)...22
  • 3-4 해수면 장파복사량($Q_{b}$)...23
  • 3-5 잠열속($Q_{e}$)...23
  • 3-6 현열속($Q_{h}$)...25
  • 3-7 순 열교환량($Q_{n}$)...26
  • 3-8 열수지 평형...28
  • 제 4 장 강설/적설 사례분석...31
  • 4-1 강설 및 적설발생 현황...31
  • 4-1-1 눈 일수...31
  • 4-1-2 적설량...32
  • 4-2 강설 및 적설시 주요 기상요소...33
  • 4-3 강설 및 적설시 겨울철 평균열수지...35
  • 4-3-1 현열속...35
  • 4-3-2 잠열속...36
  • 4-3-3 순열속...37
  • 4-4 강설 및 적설시 열수지 정규분포...38
  • 4-4-1 현열속...38
  • 4-4-2 잠열속...39
  • 4-4-3 난류속 (현열+잠열)...39
  • 4-4-4 보웬비...41
  • 4-4-5 해기차...42
  • 4-5 강설현상 발생시 열수지 조건범위...43
  • 4-6 보웬비를 이용한 적설량 예측(제주)...45
  • 4-7 보웬비를 이용한 적설량 예측(제주산간)...46
  • 4-8 강설 및 적설시 열수지 시계열 패턴...47
  • 4-9 종관장 분석 (사례일 선정)...48
  • 4-9-1 지상, 500hPa 일기도...48
  • 4-9-2 850hPa 기온, 포차...49
  • 4-9-3 850hPa 상당온위, 500hPa 소용돌이도위...49
  • 4-10 강설 및 적설시 대기의 연직단면...51
  • 4-10-1 Wind, 상대습도, Moisture Flux Divergence...51
  • 4-11 대기선도 분석...51
  • 4-12 위성 및 레이더영상 분석...52
  • 제 5 장 해무 사례분석...53
  • 5-1 안개 발생 분포...53
  • 5-2 해무(이류무) 발생 특성...57
  • 5-2-1 해무지속 시간...57
  • 5-2-2 안개 시작 및 종료시간...58
  • 5-2-3 안개 지속시 풍향...59
  • 5-2-4 안개 지속시 풍속...60
  • 5-2-5 안개 지속시 해기차...61
  • 5-3 해무 발생시 열수지 분석...64
  • 5-4 해무 발생사례 선정 분석...68
  • 5-4-1 안개 실황...68
  • 5-4-2 제주도 주변해역 해수온도 분포...69
  • 5-4-3 일기도 분석...71
  • 5-4-4 열수지 분석...73
  • 제 6 장 결론 및 토의...78
  • 참고문헌...8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