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중 식품첨가물 분석을 위한 일반시료 채취 및 전처리 방법 확립
Establishment of the methodology on general treatment and preparation of the sample for analyzing food additiv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허우덕
참여연구자 하재호 , 남궁배 , 조용선 , 이성현 , 엄혜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11
과제시작연도 2004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500002847
과제고유번호 1470001344
사업명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식품첨가물.시료채취.전처리.분석방법의 유효화.불확도.food additives.sampling.treatment.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uncertain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험 부분 보다는 시료채취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과 식품첨가물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의 유효화,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국제적으로 인정 받기위한 측정불확도 등에 대한 조사 사업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식품첨가물의 분석을 위한 국내외에서 연구된 연구보문을 수집 조사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와 지침은 단순히 첨가물의 분석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식품전체에 대한 시료의 채취 및 취급 등에 관련된 연구보문과 지침들이 대부분이었다. 시료의 채취 취급에 관하여 수집된 자료 가운데 영국 Food Standards Ag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rather to establish practical sampling guidance and treatment,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introducing uncertainty for international accreditation to analysis.
For the purpose, related paper about the sampling and sample treatment was gleaned. However it is very diff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보고서...1
  • 표지...3
  • 제출문...4
  • 요약문...5
  • Summary...6
  • 목차...7
  • 제1장 서론...8
  •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8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8
  •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10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14
  • 제1절 식품위생검사기관의 시료채취방법 실태조사...14
  • 제2절 식품의 유형별 시료 처리법...18
  • 제3절 시료 채취 및 처리방법에 관한 일반원칙확립...22
  • 제4절 시료채취 및 전처리가 보존료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31
  • 제5절 식품첨가물분석에 측정 불확도 개념의 도입...36
  • 제6절 분석방법의 유효화에 관한 일반원칙...47
  • 제7절 시료채취에 관한 문헌의 조사 및 번역...56
  • 제8절 식품중 식품첨가물 지침서 총칙...123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129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129
  • 참고문헌...130
  • 부록...131
  • 부록1. Guidance for Industry Q2B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Methodology, November 1996, ICH...131
  • 부록2. Agricultural food Products-Layout for a standard method of sampling from a lot. ISO7002-1986(E)...131
  • 부록3. Practical sampling guidance for food standards and feeding stuffs. Part I, II. Food standards Agency U.K...131
  • 부록4. 측정및 분석결과의 불확도...13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