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재부존조사 및 품질관리 기술개발 연구
Resource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Natural Aggregat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연구책임자 김주용
참여연구자 양동윤 , 민충기 , 남욱현 , 신현모 , 고인세 , 김진관 , 오근창 , 고상모 , 이한영 , 박덕원 , 이현철 , 유장한 , 김용욱 , 송민섭 , 홍세선 , 윤현수 , 이창범 , 이진영 , 이병태 , 민건홍 , 최헌수 , 김원식 , 김정기 , 김성필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12
과제시작연도 2004
주관부처 산업자원부
사업 관리 기관 산업자원부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등록번호 TRKO200500066238
과제고유번호 1410052554
사업명 국가지질조사및자원탐사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1. 연구개발 개요(1) 정부 중ㆍ장기계획에 의거 골재자원 확보 및 수급계획 기초자료 생산(2) 지역별 및 연차별 골재자원부존 기초조사 실시(3) 주요 골재 부존 지역의 암석-광물학적 물성특성 및 부존량 평가(4) GIS를 이용한 채석가능지 사전 예측과 입지선정2. 2003년도까지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기간산업자원으로 골재 부존조사 사업은 1980년대 말부터 경기ㆍ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건축허가 면적이 매년 20% 이상씩 증가하고, 특히 대단위 신도시 개발사업으로 골재수요가 급격히 중가하여 골재파동이 예상됨에 따라 1991년도부

Abstract

The necessity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Construction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drastically for last two decades. Such economic activities are much concentrated at big cities In Korea, which have been already overpopulated an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언...53
  • 1-1. 연구 개요...53
  • 1-2. 골재의 정의 및 분류...59
  • 1.2-1. 골재의 정의...59
  • 1.2-2. 골재의 분류...60
  • 1-3. 조사내용...63
  • 1.3-1. 육상골재 부존조사...63
  • 1.3-2. 산림골재 부존조사...64
  • 1.3-3. 암질 특성도 조사...64
  • 1.3-4. 바다골재 부존조사...65
  • 1-4. 골재의 물성시험...66
  • 1.4-1. 세골재의 물성시험 내용 및 목표...67
  • 1.4-2. 조골재의 물성시험 내용 및 목표...69
  • 1-5. 골재 부존량 확보현황 및 개발환경 현황...70
  • 제 2 장 골재개발 수급현황 분석...81
  • 2-1. 골재 수요ㆍ공급 추이분석(2003년도 이전)...81
  • 2-2. 최근 건설경기와 골재수급 동향분석...92
  • 2.2-1. 건설경기에 따른 골재수급 동향...92
  • 2.2-2. 향후 건설투자, 경기 및 건자재 수급동향...98
  • 2.2-3. 골재 허가공급 대비 채취실적...99
  • 2-3. 골재수급 전망분석...104
  • 2.3-1. 향후 골재수급 기본계획...104
  • 2.3-2. 2004년도 골재수급 전망분석...110
  • 2-4. 전국 권역별 골재공급 및 유통구조...110
  • 2.4-1. 전국 골재유통 권역...110
  • 2.4-2. 경기~수도권(서울인천 포함)...110
  • 2-4-3. 강원권(원주ㆍ강릉ㆍ춘천 포함)...113
  • 2.4-4. 충북권(청주ㆍ충주 포함)...114
  • 2.4-5. 충남권(대전 포함)...114
  • 2.4-6. 전북권(전주 포함)...115
  • 2.4-7. 전남권(광주ㆍ목포 포함)...116
  • 2.4-8. 경북권 (대구ㆍ안동 포함)...116
  • 2.4-9. 경남권(부산ㆍ울산ㆍ진주 포함)...117
  • 2.4-10. 제주권(제주시 포함)...118
  • 제 3 장 육상골재 부존조사...123
  • 3-1. 서언...123
  • 3.1-1. 육상골재 자원의 정의...126
  • 3.1-2. 육상골재의 입도별 분류...126
  • 3.1-3. 형성시기별 육상골재 분류...129
  • 3-2. 육상골재 조사지역 선정...130
  • 3-3. 육상골재 조사내용...154
  • 3.3-1. 기초 수급현황조사...154
  • 3.3-2. 제4기 지질조사...162
  • 3.3-3. 인공위성영상분석...164
  • 3.3-4. 기존 시추해석...166
  • 3.3-5. 시험시추 조사...196
  • 3.3-6. 측량조사...201
  • 3.3-7. 육상골재의 물성특성...212
  • 3.3.7-1. 골재의 물성 및 품질 기준...212
  • 3.3.7-2. 육상골재 시료채취 위치...214
  • 3.3.7-3. 시험 방법 및 결과...215
  • 3.3.7-4. 시추공별 육상골재 물성시험 결과...229
  • 3-4. 육상골재 부존특성...243
  • 3.4-1. 서언...243
  • 3.4-2. 주요 수계 유역별 육상골재 부존특성...246
  • 3.4.2-1. 섬진강 수계 주변의 육상골재 부존특성...246
  • 3.4.2-2. 남해유입 수계 주변의 육상골재 부존특성...288
  • 3.4.2-3. 영산강 수계 주변의 육상골재 부존특성...327
  • 3-5. 육상골재 부존특성 평가...336
  • 3.5-1. 서언...336
  • 3.5.1-1. 행정 단위 별 육상골재 부존특성...336
  • 3.5.1-2. 대수계별 육상골재 부존특성...342
  • 3.5.1-3. 하천관리체계별 육상골재 부존 특성...344
  • 3.5-2. 육상골재 부존 특성 변수...368
  • 3.5.2-1. 통계적 유의도를 고려한 부존 특성 변수 선정...368
  • 3.5.2-2. 부존 특성 변수별 주제도 작성...379
  • 3.5-3. 육상 골재 개발 가능성 평가...400
  • 3-6. 육상골재 부존자원 종합평가...405
  • 3.6-1. 권??사내용 및 범위...408
  • 3.6-3. 육상골재 부존특성...409
  • 3.6-4. 육상골재 품질특성...412
  • 3.6-5. 육상골재 부존 특성 모델링 및 개발 잠재성 평가...415
  • 제 4 장 산림골재 부존 조사...419
  • 4-1. 총론...419
  • 4.1-1. 서언...419
  • 4.1.1-1. 개설...419
  • 4.1.1-2. 현황 및 조사필요성...419
  • 4_1.1-3. 전남권 산림골재 개발현황 및 전망...423
  • 4.1-2. 조사내용 및 방법...429
  • 4.1.2-1. 조사내용...429
  • 4.1.2-2. 조사방법...429
  • 4.1-3. 산림골재개발 관련법규...431
  • 4.1.3-1. 관련법령...431
  • 4.1.3-2. 기타 규제조항...440
  • 4.1-4. 조사대상지 선정...447
  • 4.1.4-1. 기준...447
  • 4.1.4-2. 선정...448
  • 4.1-5. 전남 동부의 지형...449
  • 4.1-6. 전남 동부의 지질...458
  • 4.1.6-1. 층서...458
  • 4.1.6-2. 지질구조...464
  • 4.1.6-3. 표토 및 풍화암...467
  • 4.1-7. 불연속면의 특성...467
  • 4.1-8. 산림골재의 품질...470
  • 4.1.8-1. 개설...470
  • 4.1.8-2. 산림골재의 물성과 기준...471
  • 4.1.8-3. 도로포장과 골재...481
  • 4.1.8-4. 쇄석시료 및 시험방법...485
  • 4.1.8-5. 전남 동부의 산림골재 대상암석 및 물성...485
  • 4.1-9. 매장량...488
  • 4.1.9-1. 용어의 정의...488
  • 4.1.9-2. 산출기준...488
  • 4.1.9-3. 산출 매장량...492
  • 4.1-10. 결언 및 제언...493
  • 4-2. 각론...499
  • 4.2-1. 화순군 춘양면 가봉리 지역...499
  • 4.2.1-1. 위치/교통 및 지형...499
  • 4.2.1-2.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502
  • 4.2.1-3. 암석의 품질...511
  • 4.2.1-4. 매장량...513
  • 4.2.1-5. 개발성 검토...519
  • 4.2-2. 순천시 서면 청소리 지역...523
  • 4.2.2-1. 위치/교통 및 지형...523
  • 4.2.2-2.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526
  • 4.2.2-3. 암석의 품질...538
  • 4.2.2-4. 매장량...540
  • 4.2.2-5. 개발성 검토...547
  • 4.2-3. 장흥군 장흥읍 덕제리 지역...551
  • 4.2.3-1. 위치/교통 및 지형...551
  • 4.2.3-2.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553
  • 4.2.3-3. 불연속면 특성...559
  • 4.2.3-4. 암석의 품질...562
  • 4.2.3-5. 매장량...563
  • 4.2.3-6. 개발성 검토...563
  • 4.2-4. 광양시 광양읍 초남리 지역...571
  • 4.2.4-1. 위치/교통 및 지헝...571
  • 4.2.4-2.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574
  • 4.2.4-3. 암석의 품질...586
  • 4.2.4-4. 매장량...588
  • 4.2.4-5. 개발성 검토...593
  • 4.2-5. 여수시 소라면 사곡리 지역...599
  • 4.2.5-1. 위치/교통 및 지형...599
  • 4.2.5-2.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601
  • 4.2.5-3. 암석의 품질...610
  • 4.2.5-4. 매장량...612
  • 4.2.5-5. 개발성 검토...620
  • 4-3. 전남 곡성 남부 원등지역 암질특성도와 채석가능지 분석...625
  • 4.3-1. 서론...625
  • 4.3-2. 연구방법...626
  • 4.3.2-1. 지역선정기준...626
  • 4.3.2-2. 사회기반시설...626
  • 4.3.2-3. 암질평가방법...626
  • 4.3.2-4. 지형분석...630
  • 4.3.2-5. 지질개요...632
  • 4.3-3. 기반암 현장품질평가...636
  • 4.3.3-1. 미고결층 심도...636
  • 4.3.3-2. 기반암의 풍화등급...637
  • 4.3.3-3. 기반암의 풍화심도...640
  • 4.3.3-4. 노출암반의 분포...643
  • 4.3.3-5. 불연속면 발달특성...649
  • 4.3-4. 기반암 물성 품질평가...654
  • 4.3.4-1. 시료의 채취, 파쇄, 실험방법...654
  • 4.3.4-2. 잔입자 #200 통과량...663
  • 4.3.4-3. 입도...664
  • 4.3.4-4. 밀도...672
  • 4.3.4-5. 흡수율...674
  • 4.3.4-6. 공극율...676
  • 4.3.4-7. 마모율...678
  • 4.3.4-8. 단위용적 질량...680
  • 4.3.4-9. 실적율...682
  • 4.3.4-10. 안정성...684
  • 4.3.4-11. 점재하강도...686
  • 4.3.4-l2. 충격값...688
  • 4.3.4-13. 물성간 상호 대비...689
  • 4.3-5. 골재, 석재허가 및 채석가능지 분석 시범연구...692
  • 4.3.5-1. 법적 허가제한요소...693
  • 4.3.5-2. 품질에 의한 채석 제한요소...695
  • 4.3.5-3. GIS를 이용한 채석가능 적지분석...696
  • 4.3-6. 결론...702
  • 제 5 장 바다골재 부존조사...707
  • 5-1. 서론...707
  • 5-2. 조사지역의 개요...708
  • 5.2-1. 조사지역 및 선정배경...708
  • 5.2.1-1. 조사지역...708
  • 5.2.1-2. 선정배경...708
  • 5.2-2. 바다 인접지역 및 도서 지질...709
  • 5.2-3. 해황...710
  • 5-3. 선상조사 및 분석방법...713
  • 5.3-1. 선위측정...713
  • 5.3-2. 시료 채취...714
  • 5.3-3. 해상물리탐사...717
  • 5.3.3-1. 음향측심...717
  • 5.3.3-2. 탄성파탐사...718
  • 5.3-4. 시료분석...718
  • 5.3.4-1. 입도분석...718
  • 5.3.4-2. 화학분석...719
  • 5.3-5. 탄성파탐사자료해석...720
  • 5.3.5-1. 탄성파 퇴적층 분석...720
  • 5.3.5-2. 음향상 분석...721
  • 5.3-6. 바다골재의 부존량 산정...721
  • 5-4. 연구 결과...722
  • 5.4-1. 해저지형...722
  • 5.4-2. 표층퇴적물 분포...724
  • 5.4-3. 해상시추 자료해석...727
  • 5.4-4. 탄성파 탐사자료 해석...737
  • 5.4.4-1. 기반암...737
  • 5.4.4-2. 소단위퇴적층 B3 (subsequence B3)...737
  • 5.4.4-3. 소단위퇴적층 B2 (subsequence B2)...740
  • 5.4.4-4. 소단위퇴적층 Bl (subsequence Bl)...740
  • 5.4.4-5. 단위퇴적층 A (sequence A)...740
  • 5.4.4-6. 모래층 (sand layer)...741
  • 5.4.4-7. 모래등성이의 형성과정...741
  • 5.4-5. 바다골재 품질평가...742
  • 5.4.5-1. 자월도 남서지역...742
  • 5.4.5-2. 창서 북부지역...744
  • 5-5. 바다골재 종합평가...747
  • 5.5-1. 바다골재 부존량...747
  • 5.5-2. 바다골재 품위...749
  • 5-6. 결론...755
  • 참고문헌...757
  • 부록 1. 전남 주요 육상골재 부존지점 측량자료...763
  • 부록 2. 전납 주요 육상골재 부존지점 시험시추자료...799
  • 부록 3. 전남 주요 육상골재 부존지점 시험시추 입도분석 자료...82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