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덕R&D특구 기관 간 연구협력 활성화방안 및 교류협력체계 구축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an Environment to Revitalize Joint Research and Cooperation at Daedeok R&D Special Zon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연구책임자 이정희
참여연구자 송장헌 , 박경석 , 최길영 , 김선경 , 김흥식 , 성을현 , 이상빈 , 황경연 , 이벽규 , 정양헌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11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0600001070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연구개발특구.혁신클러스터.국제화.교류협력.협동연구.사이버커뮤니티.R&D Special Zone.Innovative Cluster.Globalization.Cooperation.Joint Research.Cyber Community.

초록

$\circ$ 본 연구의 목적은 대덕 연구개발 특구 내에서의 교류협력 및 협동연구 환경 구축임. 이를 위한 세부주제는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발전방안의 연구'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교류협력활성화 및 협동연구환경구축 방안'임.
$\circ$ 대덕연구개발특구 발전방안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 연구개발 역량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원천$\cdot$핵심기반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 공동/협동 연구를 위

Abstract

part 1.
$\square$ As mention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newly started Daedeok R&D Special Zone (hereafter abbreviated as Daedeok Special Zone) up to worldwide Innovative Cluster with well organized and competitive resea

목차 Contents

  • 제 1 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발전방향...31
  • 제 1 장 서론 - 대덕연구단지의 현황 및 문제점...33
  • 제 1 절 대덕연구단지의 현황과 연구개발 성과...33
  • 제 2 절 대덕연구단지의 대내외 상황변화...35
  • 제 3 절 대덕연구단지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비판적 평가...37
  • 제 4 절 대덕연구단지의 혁신 전략 - 연구개발 특구로 육성...37
  • 제 2 장 대덕 연구개발 특구의 발전비전 및 성과목표...40
  • 제 1 절 비전...40
  • 제 2 절 성과목표...40
  • 제 3 장 대덕 연구개발 특구 종합육성 계획...42
  • 제 4 장 혁신 클러스터의 세계적 동향 및 사례분석...43
  • 제 1 절 혁신클러스터의 세계적 동향...43
  • 제 2 절 혁신클러스터의 사례분석...44
  • 제 3 절 세계적 혁신 클러스터와 대덕특구의 현황 비교...48
  • 제 5 장 대덕 연구개발 특구의 발전방안 도출...49
  • 제 1 절 연구개발 역량 고도화...50
  • 제 2 절 개발기술 사업화 촉진...66
  • 제 3 절 국제화 추진...74
  • 제 4 절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구축...76
  • 제 5 절 교류$\cdot$협력의 문화 창출...78
  • 제 6 절 과기부, 지자체, 관련기관 정책에 대한 건의...80
  • 제 6 장 결론...83
  • 제 1 절 외국 혁신클러스터와 대덕 연구개발 특구 비교분석...83
  • 제 2 절 대덕 연구개발 특구의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 및 제언...83
  • 제 2 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기관간 교류협력 및 협동연구환경구축에 관한 연구...89
  • 제 1 장 서론...9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91
  • 제 2 절 연구의 목표 및 내용...92
  • 제 3 절 연구의 설계 및 절차...101
  • 제 2 장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위상과 교류협력활성화 및 협동연구와의 관계...104
  • 제 1 절 혁신클러스터로서의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위상 및 문제점...104
  • 제 2 절 교류활성화 및 협동연구의 중요성...105
  • 제 3 장 교류활성화 및 협동연구환경구축의 외국 사례연구...107
  • 제 1 절 일본의 츠쿠바 사례 : 츠쿠바$\cdot$토카이(東海)$\cdot$히타치(日立) 지적특구...107
  • 제 2 절 미국의 UCSD의 사례...138
  • 제 3 절 아일랜드의 사례...147
  • 제 4 장 교류활성화와 협동연구를 위한 주요과제 조사...155
  • 제 1 절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155
  • 제 2 절 교류활성화...159
  • 제 3 절 협동환경 구축...183
  • 제 4 절 협동연구를 위한 조직...216
  • 제 5 절 협동연구를 위한 제도적 측면에서의 주요 과제...222
  • 제 5 장 교류협력활성화와 협동연구환경구축을 위한 과제 및 실행방안 도출...225
  • 제 1 절 구축모형...225
  • 제 2 절 과제의 도출...227
  • 제 3 절 과제별 실행 방안의 개발...233
  • 제 6 장 2006년 중점 추진 실행방안...280
  • 제 1 절 2006년 중점추진과제의 선정...280
  • 제 2 절 만남의 광장 설치 및 운영...281
  • 제 3 절 사이버 커뮤니티...285
  • 제 4 절 연협추의 활성화...289
  • 제 7 장 결론 및 건의...293
  • 참고자료...297
  • 부록...29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