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연구책임자 |
조영도
|
참여연구자 |
강중석
,
최용석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5-12 |
과제시작연도 |
2005 |
주관부처 |
산업자원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등록번호 |
TRKO200600001135 |
과제고유번호 |
1410032709 |
사업명 |
국가지질조사및자원탐사 |
DB 구축일자 |
2014-09-20
|
초록
▼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등줄기이자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이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 2003년 12월에 제정 공포되어 2005년 1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백두대간에 대한 공간적 범위, 즉, 백두대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263,427ha에 대해 광업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백두대간이 자연생태계의 보고이기도 하지만 광업과 관련해 볼 때 이 보호지역이 자원의 부존량과 생산 활동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는 것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부존하는 광물자원의 현황분석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등줄기이자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이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 2003년 12월에 제정 공포되어 2005년 1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백두대간에 대한 공간적 범위, 즉, 백두대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263,427ha에 대해 광업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백두대간이 자연생태계의 보고이기도 하지만 광업과 관련해 볼 때 이 보호지역이 자원의 부존량과 생산 활동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는 것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부존하는 광물자원의 현황분석 및 잠재가치를 평가하고, 그 부존자원을 대상으로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기술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금년은 연구 2차년도로 1차년도에 설정한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변경에 따른 광업현황 및 잠재가치 등을 보완하고 수정하였으며, 국내 광산개발의 기술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갱내개발광산 11개, 노천개발광산 5개를 조사하였다. 또한 노천개발로 인한 주된 환경훼손으로 지표경관 저해 및 산림자원 훼손이 심각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발 방안으로 지하개발에 대한 개발골격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갱내채광이 곤란하여 노천채광이 불가피한 채광지에 대해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기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백두대간내에 등록된 광종은 24종이며, 이중 가행광종은 8개광종이다. 8개 광종에 대한 가행광산은 30개 광산으로 석회석 광산이 14개로 가장 많다. 석회석은 백두대간 보호지역내에 매장량이 9억6천9백만톤으로 전국 총 매장량 85억7천9백만톤의 11.3$\%$를 점유한다. 석회석의 백두대간내 생산량은 ''98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평균 50.1$\%$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백두대간이 석회석 생산의 밀집지역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시멘트용 석회석은 평균 63.8$\%$를 점유하고 있다. 백두대간 지하자원의 잠재가치는 모두 13조 4493억원이며, 이중 석회석의 잠재가치는 9조 6619억원으로 71.8$\%$를 차지한다. 국내 갱내개발광산들의 대부분이 대형 갱도굴착으로 room과 pillar를 구축하면서 광물을 생산하는 주방식 채광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노천개발 광산들은 계단식 채광법을 적용하고 있다. 노천개발의 경우 지표 산림훼손에 대한 복구 예치금으로 2005년도에는 벤치 경사가 $10^{\circ}\~20^{\circ}$일때 ha 당 141,480천원, $20^{\circ}\~30^{\circ}$일 때 ha당 185,491천원을 예치하도록 고시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4.6$\%$ 증가한 금액으로 노천개발광산의 생산원가에 부담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개발방법으로 지표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갱내채광법 중 기계화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중단채광법을 제시하였으며, 대상광산으로 현재 노천개발을 하고 있는 석회석 광산을 선정하였다. 이 광산을 대상으로 노천으로 개발할 때와 갱내로 개발할 때의 지표훼손 면적을 비교해 본 결과 현재의 방법대로 노천개발을 할 경우 갱내개발보다 약14배나 더 많은 지표가 훼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노천개발이 불가피한 경우에 대해 복구방안을 제시하여 환경훼손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우리 국토의 중추인 백두대간을 건전히 보전하고 자연과는 친화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석회석과 같이 기간산업의 중요한 원료로 자급할 수 있는 광물이 개발될 수 있도록 개발 시작에서부터 친환경적 개발계획과 복구방안이 수립되어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
Baekdudaegan, the main mountain range of Korean Peninsula and treasury of nature''s ecosystem, whose 'Law on Baekdudaegan Protection' has been enacted and promulgated on Dec. 2003 and in force from Jan. 2005. The spacial area for Baekdudaegan, 263,427 ha designated as the protection area requires ac
Baekdudaegan, the main mountain range of Korean Peninsula and treasury of nature''s ecosystem, whose 'Law on Baekdudaegan Protection' has been enacted and promulgated on Dec. 2003 and in force from Jan. 2005. The spacial area for Baekdudaegan, 263,427 ha designated as the protection area requires accurate information related to mining industry. Therefore, it needs to suggest that this protection area is the treasury of significant resources in the amount of the blessed with natural resources and production activity although it is the treasure house of nature''s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potential values of mineral resources reserved in Baekdudaegan and to suggest the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echnology for the accomplishment of harmonious development of target resources with natural environment.
This you, the 2nd research year, the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value of mining industry caused by the Baekdudaegan protection area changes decided in the 1st year has been supplemented and revised and 11 underground developed mines and 5 open pit mine developed mines have been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ining development technology and to induce the problems.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frame on underground mining was established as a development plan to solve a worse view of earth''s surface and damages of forest resources caused by the open pit development. it suggested restor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for the places that doesn''t require underground mining but open pit min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kinds of registered minerals in Baekdudaegan is 24 and developing minerals out of them are 8, The available mines of 8 kinds of mineral are 30 mines where limestone mines are 14 in majority. The amount of reserved Limestone is 969 millions tons in the Baekdudaegan protection area, which occupies 11.3$\%$ of the total amount of reserves, 8,579 millions tons. The amount of production of limestone in Baekdudaegan is average 50.1$\%$ for last 7 years until 2004, which shows Baekdudaegan is the main productive area for limestone. In particular, limestone for cement occupies average 63.8$\%$. The potential value of underground resources in Baekdudaegan is 13449.3 billions won altogether and one of limestone out of them is 9661.9 billions won, 71.8$\%$ out of them. Most of domestic underground developing mines use the Room & Pillar sloping by large mine shaft excavation and the open pit mines are applied with bench cut. For the open pit, it has been announced that the rehabilitation deposit for damage of forest surface is 141,480,000 won per ha in 10 to 20 degrees of bench slope and 185,491,000 won per ha in 20 to 30 degrees in 2005. This amount is up 4.6$\%$ over the year before and imposes a burden on the cost of production of the open pit mines. This research, therefore, has suggested Sub-level sloping, which enables mechanization and mass production among the environment-friendly methods minimizing damages of the earth''s surface, and selected a limestone mine in open pit currently as an available mine. In comparison to areas of the damaged surface when developing this mine as the open pit and underground, it is analyzed that one of the open pit development is worse around 14 times than one of the underground mining. It also intended the least environmental damages with a rehabilitation solution when the open pit development is inevitable. Therefore, it requires to preserve Baeududaegan, the backbone of Korea, and sustain the friendliness of nature, and to attempt to develop self-supporting minerals like significant raw material of key industries with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plans.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5
- 제 2 장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광업현황과 잠재가치 ... 17
- 2.1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용 ... 17
- 2.2 광업현황 ... 21
- 2.3 잠재가치 ... 28
- 2.4 백두대간 광업정보 DB화 및 분석프로그램 ... 32
- 제 3 장 국내 갱내채광 기술 분석 ... 35
- 3.1 갱내채광법 분류 ... 35
- 3.2 국내 갱내채광 기술현황 ... 43
- 3.3 국내 갱내채광 기술 문제점과 대책 ... 63
- 제 4 장 국내 노천채광 기술 분석 ... 64
- 4.1 노천채광법 분류 ... 64
- 4.2 국내 노천채광 기술현황 ... 66
- 4.3 국내 노천채광 기술의 문제점과 대책 ... 74
- 제 5 장 환경친화적 채광법 설계 ... 79
- 5.1 대상광산 ... 79
- 5.2 개발법 비교 ... 81
- 5.3 환경 친화적 개발법 설계 ... 83
- 5.4 환경 친화적인 채광법 검토 ... 94
- 제 6 장 노천채광장 복구기술 ... 95
- 6.1 채광장 유형분류 및 복구현황 ... 95
- 6.2 채광장의 환경친화적인 녹화 ... 99
- 6.3 채광장 복구공법 ... 103
- 6.4 해외 사례 ... 118
- 6.5 복구방안 검토 ... 130
- 제 7 장 결론 ... 133
- 참고문헌 ... 135
- [부록 I]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 ... 137
- [부록 II]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 14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