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름알데히드 passive sampler 개발 및 응용기술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ssive sampler for the measurement of formaldehyd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엔버스
연구책임자 임봉빈
참여연구자 정의석 , 홍현수 , 김주인 , 김선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6-07
과제시작연도 2005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0700002967
과제고유번호 1480002562
사업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포름알데히드.간이측정기.실내오염.새집증후군.알데히드.Formaldehyde.passive sampler.Indoor pollution.Sick-house syndrome.Aldehyde.

초록

o 실내오염물질 중 하나인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한 passive sampler를 개발
o 개발된 측정방법은 4-amino-3-hydrozino-5-mercapto-1,2,4-triazole, 3-mercapto-2-benzothiazolinone hydrazone, 2,4-dinitrophenyl hydrazine를 이용
o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각 측정방법별 흡수제 평가, 공시험값의 안정성 확보, 환경인자의 영향 검토, 재현성 및 정확도 평가, 시료채취율 산정
o 2,4-DNPH법을 이용한 포름알데히드 pass

Abstract

Passive samplers have often been use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air pollutants, and are well suited to indoor and personal monitoring, as they can accurately and directly measure air pollutants in indoor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 passive s

목차 Contents

  • 제출문...1
  • 보고서 초록...2
  • 요약문...3
  • SUMMARY...12
  • CONTENTS...13
  • 목차...16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9
  • 제1절 연구배경...19
  • 제2절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포름알데히드...20
  • 제3절 실내공기질 관리현황...24
  • 1. 국내 관리현황...24
  • 2. 외국의 관리현황...26
  • 제4절 포름알데히드(HCHO)의 측정방법...30
  • 1. 포름알데히드(HCHO)의 측정방법...30
  • 2. 포름알데히드 측정법 비교...36
  • 제5절 연구목적 및 개발범위...37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40
  • 제1절 국내기술개발 현황...40
  • 제2절 국외기술개발 현황...41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45
  • 제1절 Passive sampler의 원리 및 구성...45
  • 1. Passive sampler의 원리...45
  • 2. Passive sampler의 구조...50
  • 제2절 포름알데히드 측정법의 확립...53
  • 1. 포름알데히드 측정법 검토...53
  • 2. Chamber system의 구축...76
  • 제3절 흡광광도법(발색법)을 이용한 passive sampler 개발...81
  • 1. 각 측정방법별 비교연구...81
  • 2. AHMT법을 이용한 passive sampler 개발...93
  • 제4절 2,4-DNPH 유도체화법을 이용한 passive sampler개발...124
  • 1. 공시험(blank) 값의 재현성...124
  • 2. 보관기간에 따른 공시험(blank) 값의 변화...125
  • 3. 온도변화에 따른 공시험(blank) 값의 변화...126
  • 4. 보관기간에 따른 샘플러 값의 변화...127
  • 5. 온도변화에 따른 샘플러 값의 변화...128
  • 6. 측정 샘플러 값의 재현성...129
  • 7. 측정시간과 측정값과의 관계...130
  • 8. 흡수액 함침시간 결정...131
  • 9. 2,4-DNPH cartridge법과 비교실험...132
  • 10. 시료채취율 산정...133
  • 제5절 포름알데히드 passive sampler 의 현장 적용성 평가...135
  • 1. 실내공간 종류에 따른 평가...135
  • 2. 다양한 포름알데히드 측정방법과의 현장 비교평가...141
  • 제6절 Passive sampler의 디자인 설계 검토...155
  • 1. Passive sampler의 기류 안정성 평가...155
  • 2. Passive sampler 시제품...162
  • 제7절 Passive sampler 불확도 평가...166
  • 1. 연구방법...166
  • 2. 주요 요인별 표준불확도...171
  • 3. 합성표준불확도...193
  • 4. 확장불확도(expanded uncertainty, U)...195
  • 제8절 아세트알데히드 측정을 위한 passive sampler...197
  • 1.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악취물질(아세트알데히드) 측정 접근...197
  • 2.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측정법 평가...199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212
  •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212
  •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214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19
  • 제1절 연구목표 및 내용...219
  • 제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222
  • 제3절 타연구에의 응용...223
  • 제4절 사업화 추진방안...225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passive sampler 기술정보 ...229
  • 제1절 3M passive sampler...229
  • 제2절 Ogawa passive sampler...230
  • 제3절 Passam passive sampler...231
  • 제4절 Sibata passive sampler...237
  • 제5절 SK C passive sampler...238
  • 제7장 참고문헌...24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