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韓半島) 지각변동(地殼變動)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rustal De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민대학교
KookMin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박관동
참여연구자 하지현 , 김상호 , 원지혜 , 김혜인 , 임재용 , 권해란 , 김종복 , 김선영 , 이용창 , 권재현 , 박종욱 , 임무택 , 이덕기 , 한상득 , 정택영 , 김동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05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0800000025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국토지리정보원은 1995년 수원(SUWN) 상시관측소를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걸쳐 14개 GPS 상시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각 상시관측소의 운영시점 이후부터 2005년 말까지, 최대 8년간의 장기간 축적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반도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각변동량을 정밀하게 산출하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 내 GPS 데이터처리 서버에 자동기선처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의 10개 가상기준국을 이용한 RTK 측량을 통하여 관측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학술부분과 기술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

Abstrac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has been operating 14 permanent GPS sites, the first station SUWN built in 1995. In this study, we have processed all the NGII GPS data to determine the crustal de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uilt an automatic near-real-time data processing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17
  • 1.1 연구의 목적...17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18
  • 제 2 장 선진국 연구동향 조사...20
  • 2.1 측량선진국 GPS 기준망...20
  • 2.1.1 측량선진국 GPS 기준망 조사...20
  • 2.1.2 선진국 GPS 기준망 관련기술 국내 적용 방안...32
  • 2.2 해외 유명학술지...36
  • 2.2.1 해외 유명 학술지 분석...36
  • 2.2.2 유명학술지 조사 성과 국내 적용 방안...38
  • 2.3 IGS 사이트 가이드라인...41
  • 2.3.1 IGS 사이트 가이드라인...41
  • 2.3.2 NGS 사이트 가이드라인...42
  • 2.3.3 사이트 가이드라인 국내 적용 방안...43
  • 2.4 IGS 작업그룹과 시험사업...44
  • 2.4.1 IGS 작업 그룹 조사...44
  • 2.4.2 IGS 시험사업 조사...46
  • 2.4.3 IGS 작업그룹과 시험사업 참여 방안...47
  • 2.5 IGS 최신기술 동향...48
  • 2.5.1 IGS 이메일 분석...48
  • 2.5.2 기타 국제 연합, 협회, 기구 분석...49
  • 2.5.3 최신기술 국내 적용 방안...50
  • 제 3 장 한반도 지각변동량 산출...54
  • 3.1 국내 GPS 상시 관측소...54
  • 3.2 정밀 과학기술용 GPS 기선해석 S/W...62
  • 3.2.1 GIPSY-OASIS II...62
  • 3.2.2 GPS 궤도력...63
  • 3.3 GPS 상시 관측소 정밀좌표성과 산출...64
  • 3.3.1 절대 속도 산출 및 정밀좌표성과...64
  • 3.3.2 속도오차타원...74
  • 3.4 ITRF200S 전환을 대비한 오차모델 비교...79
  • 3.4.1 GPS 안테나 위상중심변동 보정모델...79
  • 3.4.2 해양조석하중 보정모델...85
  • 3.5 GPS 상시 관측소 상대속도...90
  • 제 4 장 한반도 지각변동 변형률 분석...96
  • 4.1 한국지각판 오일러축 추정...96
  • 4.2 지각변동 변형률 계산...106
  • 제 5 장 자동기선처리 시스템 구축...113
  • 5.1 서론...113
  • 5.2 GPS 데이터 자동 전송...114
  • 5.3 GIPSY-OASIS II를 이용한 기선처리 자동화...116
  • 5.3.1 좌표 추정치 모니터링 기법...116
  • 5.3.2 자동기선처리 시스템...117
  • 5.4 GPS 관측데이터 품질평가 자동화...120
  • 5.4.1 TEQC를 이용한 품질평가 기법...120
  • 5.4.2 품질평가 자동화...124
  • 5.5 자동기선처리 시스템 효율 극대화 방안...127
  • 제 6 장 GPS 상시관측소 관측환경 점검...130
  • 6.1 현장조사 결과...130
  • 6.2 TEQC 분석 결과...134
  • 6.2.1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데이터 품질평가...134
  • 6.2.2 수신기 교체에 따른 영향 분석...138
  • 6.2.3 기관별 데이터 품질평가...142
  • 제 7 장 VRS RTK 측위 정확도 평가...145
  • 7.1 네트워크 RTK 시스템...145
  • 7.1.1 네트워크 RTK 시스템 원리...147
  • 7.1.2 네트워크 RTK 시스템 종류...148
  • 7.1.3 네트워크 RTK 시스템 장단점...149
  • 7.1.4 네트워크 RTK 시스템 운영 사례...151
  • 7.1.5 국토지리정보원 가상기준국(VRS) 시스템 구축 현황...156
  • 7.2 VRS RTK 측위 정확도 평가...158
  • 7.2.1 작업의 내용과 진행과정...158
  • 7.2.2 정확도 및 정밀도 평가 결과...162
  • 7.3 VRS 삼각망 외 지역 측위 정확도 평가...176
  • 7.3.1 작업의 내용과 진행과정...176
  • 7.3.2 정확도 및 정밀도 평가 결과...177
  • 제 8 장 가상기준점을 이용한 RTK 측량 표준품셈(안) 제시...183
  • 8.1 품셈(안) 제시의 배??업 방법 설명...184
  • 8.4 작업 순서별 설명과 이에 따른 작업방법 설명...185
  • 8.5 본 사업의 제약적 조건...185
  • 8.6 제시안의 산출 근거...186
  • 8.7 품셈(안) 적용 예시...187
  • 참고문헌...189
  • 부록 A. 해외 유명 학술지 조사...193
  • 부록 B1. IGS 사이트 가이드라인...221
  • 부록 B2. NGS 사이트 가이드라인...239
  • 부록 C. IGS 이메일 조사...255
  • 부록 D. 정밀 3차원 좌표시계열...264
  • 부록 E. GPS 상시 관측소 현장조사...279
  • 부록 F. TEQC 품질평가 결과...308
  • 부록 G. VRS RTK 측량 정밀도...316
  • 부록 H. GPS 3등기준점 성과와 VRS RTK 성과 비교(경위도)...330
  • 부록 I. GPS 상시관측소 정밀좌표 성과(2006년 1월 1일 기준)...339
  • ABSTRACT...34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