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품위 area array용 LSI 접속기술 (Chip on Glass/Plastic) 개발
Development of High Quality LSI Interconnection Technique (Chip on Glass/Plastic)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영호
참여연구자 김배용 , 정승민 , 노형구 , 김건홍 , 김양호 , 이상목 , 정귀현 , 안경수 , 김수열 , 노희라 , 양주헌 , 윤준로 , 김병기 , 김영민 , 최동주 , 조해영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04
주관부처 지식경제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0800006445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접착제.실장 기술.칩 온 글라스.플립 칩.주석 범프.신뢰성.NCA.Bonding technologic.COG.flip chip.Sn bump.reliability.

초록

1. 1단계 개발목표
O 접속 공정 시 bump pitch 간 초극 미세 실장 기술 개발
$\bullet$ COG - area array: 50 ${\mu}m$ pitch
- peripheral type: 25 ${\mu}m$ pitch
$\bullet$ COP - peripheral type: 30 ${\mu}m$ pitch 이하
O Bump height deviation: $\pm$ 4

Abstract

With the continual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ir increasing functionality, the electronics industry has required high speed and excellent performance along with I/O count, and the demand for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s remarkably increased in recent year. Several packages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보고서 초록...3
  • 요약문...6
  • SUMMARY...10
  • CONTENTS...12
  • 목차...13
  • 제 1 장 연구 개발과제의 개요...14
  • 제 1 절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14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8
  • 제 1 절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18
  • 제 2 절 현기술상태의 취약성...20
  • 제 3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20
  •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2
  • 제 1 절 이론적 배경...22
  • 1. 플립 칩 (Flip Chip) 접합 기술...22
  • 2. COG (Chip-on-Glass) 접합 방식...25
  • 3. 비전도성 접착제(Non Conductive Adhesive; NCA)를 이용한 접합 기술...27
  • 4. 본 연구의 추진 전략...30
  • 제 2 절 실험 방법...35
  • 1. 접합하중 패드종류에 따른 영향 및 Sn 범프 형태와 NVA종류에 따른 NCA trap의 영향...35
  • 2. 극 미세피치 COG 접합...51
  • 3. 극 미세피치 COP 접합...63
  • 제 3 절 연구 내용...65
  • 1. Sn 범프 형태와 NCA의 종류에 따른 특성 분석...65
  • 2. 접합하중과 패드 종류에 따른 영향 분석...77
  • 3. 리플로 Sn 범프와 NCA를 사용한 극 미세피치 COG 접합...81
  • 4. 리플로 Sn/Cu 범프와 NCA를 사용한 극 미세피치 COG 접합의 신뢰성...101
  • 5. Sn/Cu 범프와 NCA를 사용한 극 미세피치 COP 접합...117
  • 6. 전기도금법을 이용한 COG/COP 접속을 위한 미세 범프 형성기술...122
  • 제 4 절 연구 결과...187
  • 제 4 장 목표달성도...191
  • 제 5 장 참고문헌...193
  • 제 6 장 연구개발 활용계획서...19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