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경사지 안정요소 분석 및 해석방안 연구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Steep-slope Stability and Feld Appli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연구책임자 박덕근
참여연구자 오정림 , 손영진 , 이민석 , 송영갑 , 김만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2
주관부처 행정안전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등록번호 TRKO201000000839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급경사지 정기점검.안전성 평가표.현장조사 시스템.Steep-slope safety inspection.Stability evaluation table.In-situ survery support system.

초록

1. 급경사지 현장조사 평가표 개선을 위한 자료 조사
- 국내외 활용되고 있는 현장조사 평가표 자료 조사
- 방재연구소 활용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표 개선
2. 급경사지 현장조사 항목 연구
- 국내 사면관련 현장조사 항목 자료 조사
- 급경사지 현장조사 필수항목 연구
3.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장비 구축 및 활용성 연구
-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장비 구축
- Stereography 등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한 급경사지 분석

Abstract

1. Literature review for the development of steep-slope in-situ survey system
- Investigation of in-situ system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Proposal of a new steep-slope field check list
2. Research on the steep-slope in-situ survey items
- Data survey on in-situ survey items of steep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8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8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9
  • 1.3 연구구성 및 흐름 ... 21
  • 제 2 장 국내외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 연구동향 ... 24
  • 2.1 국내 연구동향 ... 24
  • 2.1.1 최경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 24
  • 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투자우선순위 평가법 ... 25
  • 2.1.3 국립방재연구소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 27
  • 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급경사지 평가법 ... 27
  • 2.1.5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급경사지의 안정성 평가함 ... 32
  • 2.1.6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의 안정성 평가법 ... 35
  • 2.2 국외 연구동향 ... 40
  • 2.2.1 홍콩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 40
  • 2.2.2 일본건설성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 42
  • 2.2.3 미도로연방국의 낙석위험평가법 ... 47
  • 2.3 국내외 연구동향 요약 ... 49
  • 제 3 장 급경사지 안정요소 분석연구 ... 52
  • 3.1 급경사지 붕괴유발인자 조사.분석 ... 52
  • 3.1.1 급경사지 붕괴요인 ... 52
  • 3.1.2 급경사지 붕괴형태 ... 52
  • 3.1.3 급경사지 붕괴유발인자 분석 ... 53
  • 3.2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분석 ... 65
  • 3.2.1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의 평가항목 종류 ... 65
  • 3.2.2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 점수의 산출방식과 안정성 평가방법 ... 67
  • 3.2.3 국내외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의 항목별 비교 및 분석 ... 68
  • 3.2.4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분석결과 ... 79
  • 3.3 수치해석을 통한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비교 ... 81
  • 3.3.1 급경사지 해석방법 ... 81
  • 3.3.2 안전율과 평가법 배점의 관계 ... 83
  • 3.3.3 한계평형해석 ... 102
  • 3.4 현장적용을 통한 안정성 평가기법 비교 ... 106
  • 3.4.1 조사지역 및 방법 ... 106
  • 3.4.2 평가자료 분석 ... 107
  • 3.5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제안 ... 127
  • 3.5.1 기존 평가법 고찰 및 개선방안 도출 ... 127
  • 3.5.2 개선된 급경사지 평가법 제안 ... 130
  • 제 4 장 급경사지 재해지역 해석방안 연구 ... 138
  • 4.1 입체촬영을 활용한 급경사지 분석 ... 138
  • 4.1.1 급경사지 분석을 위한 stereography 프로그램 개요 ... 138
  • 4.1.2 3D 이미지를 활용한 불연속면 측정 및 분석 ... 139
  • 4.2 공간정보를 활용한 급경사지 분석 ... 145
  • 4.2.1 급경사지 분석을 위한 공간정보 프로그램 개요 ... 145
  • 4.2.2 공간정보를 활용한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50
  • 제 5 장 요약 및 결론 ... 168
  • 5.1 요약 ... 168
  • 5.2 결론 ... 171
  • 5.3 향후 추진계획 ... 172
  • 참고문헌 ... 174
  • 부록 ... 176
  • 부록 A. 항공촬영 비행선 매뉴얼 ... 178
  • 부록 B. DGPS 매뉴얼 ... 196
  • 부록 C. ShapeMetriX3D 매뉴얼 ... 208
  • 그림차례 ... 0
  • 그림 1.1 2009년도 연구과제 흐름도 ... 22
  • 그림 3.1 급경사지 붕괴요인 ... 52
  • 그림 3.2 사면활동의 종류 ... 53
  • 그림 3.3 평판을 이용한 절리의 굴곡도 측정 ... 60
  • 그림 3.4 절리면 마찰각 추정법 ... 61
  • 그림 3.5 최경 평가법의 항목별 비중분포 ... 71
  • 그림 3.6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평가법 항목별 비중분포 ... 72
  • 그림 3.7 국립방재연구소 평가법의 항목별 비중분포 ... 73
  • 그림 3.8 한국도로공사 평가법의 항목별 비중분포 ... 74
  • 그림 3.9 한국시설안전공단의 항목별 비중분포 ... 75
  • 그림 3.10 홍콩의 급경사지 평가법 항목별 비중분포 ... 76
  • 그림 3.11 수치해석에 사용된 급경사지 모델 ... 82
  • 그림 3.12 유한차분해석의 개념 ... 83
  • 그림 3.13 Flac-$slope^{(R)}$을 이용한 유한차분해석법 ... 83
  • 그림 3.14 모델링 격자망 ... 84
  • 그림 3.15 전단강도감소법을 이용한 안전율 산장 ... 84
  • 그림 3.16 지하수위에 따른 안전율 차이 ... 88
  • 그림 3.17 안전율과 급경사지 높이 - 경사와의 관계 ... 89
  • 그림 3.18 안전율과 급경사지 경사 - 높이와의 관계 I ... 90
  • 그림 3.19 안전율과 급경사지 경사 - 높이와의 관계 II ... 90
  • 그림 3.20 높이-경사 상관관계(0$\leq$3.0) ... 91
  • 그림 3.21 높이-경사 상관관계(0$\leq$FS<1.0) ... 92
  • 그림 3.22 높이-경사 상관관계(1.0$\leq$FS<2.0) ... 92
  • 그림 3.23 높이-경사 상관관계(2.0$\leq$FS<3.0) ... 93
  • 그림 3.24 지하수위에 따른 파괴양상 ... 93
  • 그림 3.25 경사각-지하수위 관계 ... 94
  • 그림 3.26 경사높이-지하수위 관계 ... 94
  • 그림 3.27 연구기관별 배점비율 ... 101
  • 그림 3.28 파괴면에 작용하는 힘 ... 102
  • 그림 3.29 $Slope5.0^{(R)}$을 이용한 한계평형해석법 ... 103
  • 그림 3.30 한계평형해석법에 의해 산정된 최소안전율 ... 103
  • 그림 3.31 조사대상 사면의 위치 ... 109
  • 그림 3.32 조사대상 급경사지 일반현황 ... 109
  • 그림 3.3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평가법에 의한 위험도 점수 분포도 ... 110
  • 그림 3.34 급경사지 높이와 총점과의 상관관계 ... 113
  • 그림 3.35 주관적 위험도와 총점과 상관관계 ... 113
  • 그림 3.36 안정해석과 총점과의 상관관계 ... 114
  • 그림 3.37 국립방재연구소의 평가법에 의한 판정 분포도 ... 115
  • 그림 3.38 한국도로공사의 평가등급 분포도 ... 117
  • 그림 3.39 II등급 점수 분포도 ... 118
  • 그림 3.40 상.하위 10% 급경사지 평가항목 평균 ... 120
  • 그림 3.41 한국시설안전공단의 평가등급 분포도 ... 121
  • 그림 3.42 C등급 점수 분포도 ... 122
  • 그림 3.43 홍콩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분포도 ... 124
  • 그림 3.44 홍콩 평가법에 의한 불안정점수 분포도 ... 124
  • 그림 3.45 홍콩 평가법에 의한 예상피해점수 분포도 ... 125
  • 그림 3.46 위험도 평가표 개선 사항 ... 131
  • 그림 3.47 개선된 토사사면 위험도 평가법 항목별 점수 ... 132
  • 그림 3.48 개선된 암반사면 위험도 평가법 항목별 점수 ... 132
  • 그림 3.49 개선된 급경사지 평가법에 의한 점수 분포도 ... 135
  • 그림 4.1 ShapeMetriX3D 시스템 (1)카메라, (2)노트북, (3)반사판 지지대,(4)반사판 ... 138
  • 그림 4.2 3D 형상이 나타나는 원리 ... 139
  • 그림 4.3 사진측량 대상 급경사지 ... 141
  • 그림 4.4 초기 3D 이미지 생성 ... 142
  • 그림 4.5 급경사지의 불연속면 현황 ... 143
  • 그림 4.6 불연속면의 방향성 분석 ... 143
  • 그림 4.7 급경사지 profile 설정 ... 144
  • 그림 4.8 급경사지 profile 분석 결과 ... 144
  • 그림 4.9 급경사지 면적 측정 ... 145
  • 그림 4.10 GIS 구성 요소 ... 146
  • 그림 4.11 GIS 레이어 ... 147
  • 그림 4.12 ArcGIS Desktop 개요도 ... 148
  • 그림 4.13 항공촬영 비행선 구성품목 ... 151
  • 그림 4.14 항공촬영 기준좌표점 설치 ... 154
  • 그림 4.15 항공영상 붕괴지역 전경(충남 연기군 행정중심 복합도시 인근) ... 155
  • 그림 4.16 항공촬영을 통한 붕괴지역 면적 및 둘레길이 분석 ... 155
  • 그림 4.17 붕괴지역 단면도 분석 ... 156
  • 그림 4.18 DGPS 좌표측정 개요도 ... 157
  • 그림 4.19 DGPS 활용한 급경사지 재해현장조사 ... 157
  • 그림 4.20 전북 진안군 정천면 일대 급경사지 현장 tracking 분석 ... 158
  • 그림 4.21 전북 진안군 정천면 일대 급경사지 평균 경사도 분석 ... 159
  • 그림 4.22 전북 진안군 정천면 일대 급경사지 평균 경사면 분석 ... 159
  • 그림 4.23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0
  • 그림 4.24 부산광역시 사하구 경동그린윈츠아파트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1
  • 그림 4.25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신6동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2
  • 그림 4.26 경남 마산시 구산면 심리 563번지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3
  • 그림 4.27 경남 창원시 귀산동 갯마을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4
  • 그림 4.28 전남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 지방도861호선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5
  • 그림 4.29 전남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급경사지 재해현장 분석 ... 166
  • 표차례 ... 0
  • 표 2.1 최경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1986) ... 24
  • 표 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도로절토사면 상태평가법 (2002) ... 25
  • 표 2.3 국립방재연구소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토사사면) (2001) ... 28
  • 표 2.4 국립방재연구소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암반사면) (2001) ... 29
  • 표 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급경사지 평가법(2004) ... 30
  • 표 2.6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절토사면의 안정성 평가법(2004) ... 33
  • 표 2.7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 평가법(급경사지 손상상태) (2004) ... 35
  • 표 2.8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 평가법(토사사면) (2004) ... 36
  • 표 2.9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 평가법(연약암반사면) (2004) ... 37
  • 표 2.10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 평가법(파쇄암반사면) (2004) ... 38
  • 표 2.11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급경사지 평가법(절리암반사면) (2004) ... 39
  • 표 2.12 홍콩의 사면 안정성 평가법(1988) ... 40
  • 표 2.13 일본건설성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I (낙석.붕괴) (1983) ... 43
  • 표 2.14 일본건설성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I (산사태) (1983) ... 45
  • 표 2.15 일본건설성의 급경사지 안정성 평가법 II (1983) ... 47
  • 표 2.16 미도로연방국의 낙석위험평가법(RHRS) (1993) ... 48
  • 표 3.1 Moye(1955)에 의한 암석의 풍화등급 ... 63
  • 표 3.2 국내외 급경사지 평가법의 항목 종류 비교 ... 66
  • 표 3.3 국내외 급경사지 평가법 비교 ... 67
  • 표 3.4 국내외 급경사지 평가법의 붕괴 위험도 항목델 비중 비교 ... 69
  • 표 3.5 국내외 급경사지 평가법의 획득 가능한 최대점수(총점) ... 71
  • 표 3.6 국내외 급경사지 평가법의 피해위험도 항목별 최대획득 점수 ... 78
  • 표 3.7 국내외 기관별 평가법 분석결과 ... 80
  • 표 3.8 수치해석 모델링에 필요한 자료 ... 81
  • 표 3.9 가상 사면 안전율(건조) ... 85
  • 표 3.10 가상 사면 안전율(지하수위 1/3) ... 85
  • 표 3.11 가상 사면 안전율(지하수위 1/2) ... 86
  • 표 3.12 가상 사면 안전율(지하수위 2/3) ... 86
  • 표 3.13 가상 사면 안전율(지하수위 만수위) ... 87
  • 표 3.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건조 급경사지 배점비율 ... 95
  • 표 3.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지하수위 고려 급경사지 배점비율 ... 96
  • 표 3.16 국립방재연구소의 건조 급경사지 배점비율 ... 97
  • 표 3.17 국립방재연구소의 지하수위 고려 급경사지 배점비율 ... 97
  • 표 3.18 한국도로공사의 건조 급경사지 배점비율 ... 98
  • 표 3.19 한국도로공사의 지하수위 고려 급경사지 ... 99
  • 표 3.20 한국시설안전공단의 건조 급경사지 배점비율 ... 100
  • 표 3.21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지하수위 고려 급경사지 배점비율 ... 100
  • 표 3.22 급경사지 평가표 적용 대상사면 리스트 ... 108
  • 표 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평가법에 의한 위험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11
  • 표 3.24 국립방재연구소의 평가등급 기준 ... 114
  • 표 3.25 국립방재연구소의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16
  • 표 3.26 한국도로공사의 평가등급 기준 ... 119
  • 표 3.27 한국도로공사의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19
  • 표 3.28 한국시설안전공단의 평가등급 기준 ... 121
  • 표 3.29 한국시설안전공단의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22
  • 표 3.30 홍콩의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26
  • 표 3.31 국립방재연구소 개선된 토사사면 위험도 평가법(안) ... 133
  • 표 3.32 국립방재연구소 개선된 암반사면 위험도 평가법(안) ... 134
  • 표 3.33 개선된 급경사지 평가법에 의한 종합점수 상.하위 10% 급경사지 ... 136
  • 표 4.1 급경사지 측정좌표 ... 141
  • 표 4.2 급경사지 절리군 ... 142
  • 표 4.3 항공촬영 비행 전 체크리스트 ... 152
  • 표 4.4 항공촬영 비행 후 체크리스트 ... 153
  • 표 4.5 항공영상 촬영 측정좌표 ... 154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