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최달웅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6-11 |
과제시작연도 |
2006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000015790 |
과제고유번호 |
1470001391 |
사업명 |
식품안전연구개발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다소비식품.중금속.된장.고추장.어묵.frequently consumed food.heavy metal.soybean paste.red pepper paste.fish paste.
|
초록
▼
$\bullet$ 본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다소비 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 중의 중금속 실태를 조사하여 이러한 중금속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위해 가능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며, 정부차원의 다소비 식품 중 중금속 위해성 평가 및 기준 설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bullet$ 국내 인구조사에 따른 통계를 바탕으로 서울 6대 광역도시와 각 도를 중심으로 다소비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 시료를 인구 구설비에 따라 분류하여 된장 396점 고추장 206점 어
$\bullet$ 본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다소비 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 중의 중금속 실태를 조사하여 이러한 중금속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위해 가능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며, 정부차원의 다소비 식품 중 중금속 위해성 평가 및 기준 설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bullet$ 국내 인구조사에 따른 통계를 바탕으로 서울 6대 광역도시와 각 도를 중심으로 다소비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 시료를 인구 구설비에 따라 분류하여 된장 396점 고추장 206점 어묵 369점을 합하여 총 971 점을 구입하였다. 한국식품공업협회의 식품 생산량 자료와 국민 건강 ·영양조사에 나타난 1인당 1일 평균 섭취량을 근거로 산업체 생산품과 자가 제조 시료 비율을 추정하였다. 측정 중금속 항목으로는 RFP에 있는 비소, 납, 수은, 카드뮴과 같은 주요 중금속 외에도 구리, 아연, 망간, 알루미늄, 크롬, 니켈과 같은 기존에 조사가 많이 되어있지 않은 항목도 함께 포함하여 총 10종의 중금속을 측정하였다. $\bullet$ 국내 유통 다소비 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에 대한 중금속 관련 국내·외 문헌 조사, 습식법과 마이크로 웨이브법 비료, 회수율 시험, 표준물질 비?법, 희석도 확인시험, MDL 등을 수행한 후 중금속 최적 분석법을 마이크로웨이브 전처리법과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vtrometry(ICP-MS)를 사용하여 확립하였다. 된장에서 평균값으로 비소 0.1379, 납 0.0351, 수은 0.0000, 카드뮴 0.0153, 아연 16.7191, 구리 5.0895, 망간 15.8798, 크롬 0.6902, 알루미늄 5.4635, 니켈 0.8719mg/kg이 검출되었으며 고추장에서 평균값으로 비소 0.0955, 납 0.0127, 수은 0.0001, 카드뮴 0.0191, 아연 5.2020, 구리 3.1244, 망간 13.0294, 크롬 0.7153, 알루미늄 13.5817, 니켈 0.0831 mg/kg이 검출되었다. $\bullet$ 이번연구에서 대상원소로 선정된 10개 원소 중 7개의 원소들에 대해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서에 근거한 된장, 고추장, 어묵의 일일섭취량을 토대로 개별 중금속의 섭취량이 얼마나 되는지 PDI(Probable Daily Intake)를 추정하고, 이를 위해선 자료에 근거한 JECFA(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ctive)의 PTWI(Pr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와 PMTDI(Provisional 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와 US EPA의 RfD(Reference Dose)와 비교하여 한국인의 된장, 고추장, 어묵에 의한 중금속에 대한 노출량을 조사하여 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된장, 고추장, 어묵에 의한 중금속에 대한 노출량을 조사하여 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딘장, 고추장, 어묵의 중금속은 PTWI, PMTDI와 PfD대비 중금속 섭취비율이 1% 이하로 이들 식품을 통함 중금속의 위해는 미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소비 식품 중 중금속 실태 조사는 국민의 식품위생안전 측면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거승로 나타났다. 남자와 여자의 연령별 섭취비율을 구하여보면 된장의 경우 어린아이와 노인층에서 상대적으로 청년에 비해 대부분의 중금속 섭취비율이 증가하였고 고추장과 어묵에 대해서는 어린아이와 노인층에서 상대적으로 섭취비율이 낮았다. 국내 유통 다소비식품인 된장, 고추장, 어묵 중 중금속의 위해성은 전반적으로 안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하다.
Abstract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measurement of heavy metal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such as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fish paste foer the risk assessment and standards of heavy metals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To evaluate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h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measurement of heavy metal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such as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fish paste foer the risk assessment and standards of heavy metals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To evaluate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soybean paste, red peeper paste and fish paste, analytical methods for 10 heavy metals were developed. Target heavy metals are arsenic, lead, mercury, cadmium, zinc, cupper, manganese, chrome, aluminium, and nickel, The wet digestion method, dry digestion method, and microwave digestion method were considered as analytical method for heavy metals in soyvean paste, red peooer paste and fish paste. After documentary survey, comparison between wet digestion and microwave digestion, recovery test, comparison of standard reference material, and dilution method,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ICP-MS) and microwave digetion, method was adapted as a major measurement method. THe soybean past, red pepper paste and fish paste for analysis were purchased form the modern and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Kyunggi-do, Busan, Incheon, Ddaegu, Daechon, Kwangju, Ulsan, Chungchung-do, Chunla-do. Kyongsang-do and Jeju-do. The mean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oybean paste are arsenic 0.1379, lead 0.0351, mercury 0.0000, cadmium 0.0153, zic 16.7191, cupper 5.0895, manganese 15.8798, chrome 0.6902, alminium 5.4635, nickel 0.8719 mg/kg. the mean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red pepper paste are arsenic 0.0955, lead 0.0127, mecury 0.0001, cadmium 0.0191, zinc 8.2020, cupper 3.1244, menganese 13.0294, chrome 0.7153, aluminum 4.7957, nickel 0.0831 mg/kg. Most of consumption rates of heavy metals in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fish paste were lower than 1% compared to PTWI(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MTDI(Provisional 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 and RfD(Reference Dose) and the risk of heavy metals in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fish paste was estimated as low. It is considered thatthe risk of heavy metals in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fosh paste is low in general in Korea, howeveer systematical monitoring for frequently consumed food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sly.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2
- 목차 ...3
- 표차례 ...4
- 그림차례 ...8
- 연구과제제안서 ...13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14
- 국문요약문 ...14
- 영문요약문 ...15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7
-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7
- 1.2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9
- 1.3 국내.외 현황 ...22
- 1.4 국가별 된장, 고추장, 어묵, 관련재료 중금속 기준 및 규격 현황 ...23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7
- 1절 연구개발내용 ...47
- 2절 연구개발 방법 ...47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59
- 3.1. 비소(As) ...59
- 3.2. 납(Pb) ...71
- 3.3. 수은(Hg) ...83
- 3.4. 카드뮴(Cd) ...95
- 3.5. 아연(Zn) ...106
- 3.6. 구리(Cu) ...116
- 3.7. 망간(Mn) ...127
- 3.8. 크롬(Cr) ...137
- 3.9. 알루미늄(Al) ...147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69
- 4.1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69
-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229
- 5.1 활용성과 ...229
- 5.2 활용계획 ...230
- 제6장 참고문헌 ...231
- 총괄 연구과제 요약 ...23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