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R&D사업 경영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
The Study of upgrading KFDA R&D Manag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갈렙앤컴퍼니
연구책임자 윤상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11
과제시작연도 2005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5995
과제고유번호 1470001587
사업명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R&D사업.R&D 경영관리.R&D 경영관리 선진화.R&D Program.R&D Management.the upgrade of R&D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그 규모와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식약청 R&D사업 경영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를 목표로 한다. 연구수행은 주로 내?외부자료 검토,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통해 선진화 이슈를 파악하고, 관계자들과의 브레인스토밍, 워크샵, FDA?FSA 등 유사 규제기관 벤치마킹, 타 국가연구개발사업 사례분석 등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팀 미팅, 보고회 등을 통해 개선방안의 타당성을 점검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식약청 R&D 경영관리 선진화 방안을 몇 가지 범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get the approach of upgrading KFDA R&D program management which is increased in size and importance. The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upgrade" issue throughout internal/external data review, interview, survey and to drawout the improvement points throughout brainstorming wi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2
  • 제목 차례 ...3
  • 표 차례 ...5
  • 그림 차례 ...6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7
  • Summary ...9
  • 제1장. 연구배경 및 추진개요 ...11
  • 제1절.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11
  • 제2절. 연구 추진개요 ...12
  • 제2장. R&D사업 이슈 및 선진화 체계 정립 ...14
  • 제1절. 설문조사 결과 및 이슈 도출 ...14
  • 1. 연구사업 성과에 대한 평가 ...14
  • 2. 전략적 사업기획?관리에 대한 평가 ...15
  • 3. 용역 연구자 선정에 대한 평가 ...15
  • 4. 연구과제 수행여건에 대한 평가 ...16
  • 5. 연구결과평가 방식에 대한 평가 ...18
  • 6. R&D사업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19
  • 제2절. R&D 사업관리 선진화 체계 정립 ...20
  • 1. R&D사업 경영관리모델 ...20
  • 2. R&D사업 경영관리 선진화 방향 정립 ...23
  • 제3장. 유사 규제기관의 R&D 현황분석 및 시사점 ...25
  • 제1절. FDA R&D 현황분석 및 시사점 ...25
  • 1. R&D 현황분석 ...25
  • 2. FDA R&D 현황분석 결과 시사점 ...30
  • 제2절. FSA R&D 현황분석 및 시사점 ...32
  • 제4장. R&D 사업구조 개선방안 ...38
  • 제1절. R&D 사업구조 현황 및 문제점 ...38
  • 제2절. R&D 사업구조 개선방안 ...39
  • 1. 사업구조 개선방향 ...39
  • 2. 사업구조 개선방안 ...39
  • 3. 사업관리자 운영방안 ...40
  • 제5장. R&D 수행구조 개선방안 ...44
  • 제1절. 용역과제 수행구조 개선방안 ...44
  • 제2절. 자체과제 수행구조 개선방안 ...46
  • 제3절. 지방청 R&D 수행구조 개선방안 ...49
  • 제6장. R&D 관리구조 개선방안 ...53
  • 제1절. R&D 관리구조 현황 및 문제점 ...53
  • 제2절. R&D 관리구조 개선방안 ...54
  • 제3절. 연구사업 관리법령 초안 작성 ...55
  • 제7장. 사업기획?평가체계 개선방안 ...59
  • 제1절. 사업기획?평가체계 현황 및 문제점 ...59
  • 제2절. 사업기획체계 개선방안 ...59
  • 제3절. 사업평가체계 개선방안 ...62
  • 제8장. 과제기획?선정?평가체계 개선방안 ...65
  • 제1절. 과제기획?선정체계 개선방안 ...65
  • 제2절. 연구자 선정체계 개선방안 ...66
  • 1. 사전요건심사제 도입 ...66
  • 2. 연구자 선정평가 양식 개선 ...67
  • 3. 평가위원 구성 및 관리방안 ...68
  • 4. 연구기간 확대 방안 ...69
  • 제3절. 결과평가체계 개선방안 ...69
  • 1. 결과평가 양식 개선 ...69
  • 2. 상대 평가군 개선방안 ...71
  • 3. 진도관리의 실효성 제고 ...72
  • 4. 결과평가의 실효성 제고 ...73
  • 제9장.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 ...74
  • 제1절. 과제정보 관리체계 구축 ...74
  • 제2절. 성과정보 관리체계 구축 ...77
  • 제3절. 연구실적 마일리지제도 도입방안 검토 ...78
  • 제10장. NGO와의 협력체계 강화방안 ...80
  • 제1절. NGO와의 협력체계 검토 ...80
  • 제2절. NGO와의 협력체계 강화방안 ...80
  • 제11장. 개선과제 사후관리 방안 ...81
  • 부록 1. 식품의약품안전청 R&D 사업관리 선진화를 위한 설문조사서 (외부 연구자용) ...96
  • 부록 2. 식품의약품안전청 R&D 사업관리 선진화를 위한 설문조사서 (내부 조직원용) ...101
  • R&D사업 경영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 [제2권] 상세보고서 ...107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