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장영애
|
참여연구자 |
김초일
,
김복희
,
이행신
,
이윤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3-11 |
과제시작연도 |
2003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
등록번호 |
TRKO201000016461 |
과제고유번호 |
1470001394 |
사업명 |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영양표시.식품표시.영양교육.교육?홍보.Nutrition Labeling.Food Labeling.Nutrition Education.Consumer Education & Propagation.
|
초록
▼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나라에 영양표시제도가 도입.시행된 지 8년여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제약사항으로 인해 아직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관련 주체인 소비자와 산업체가 영양표시제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교육?홍보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본 사업을 통해 소비자와 식품산업체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2. 국내외 현황
영양표시 교육을 위해 수행되었던 연구사업 결과를 정리하고, 최근 제?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과 식품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나라에 영양표시제도가 도입.시행된 지 8년여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제약사항으로 인해 아직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관련 주체인 소비자와 산업체가 영양표시제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교육?홍보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본 사업을 통해 소비자와 식품산업체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2. 국내외 현황
영양표시 교육을 위해 수행되었던 연구사업 결과를 정리하고, 최근 제?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과 식품 등의 표시기준 내용 중 영양표시 관련 사항을 조사하였음. 또한 미국과 캐나다의 대국민 영양표시 캠페인 전략과 교육자료들을 수집?정리하여 활용하였음.
3.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1) 교육?홍보전략 수립 : 영양표시 교육.홍보를 위한 기본 절차를 점검하고, 소비자 및 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전략을 수립하였음.
2) 소비자대상 교육?홍보사업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영양표시 교육용 리플렛과 소책자, 유인물자료 및 교육용 kit의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보다 사용이 용이한 영양표시 교육용 슬라이드를 개발하였음. 개발된 영양표시 교육자료들을 교육용 CD의 형태로 10,000부를 제작하고, 각 교육청과 연계하여 전국 초등.중 학교에 홍보?배포했으며 또한 영양사 및 학교급식 담당자 약 2,000명을 대상으로 영양표시 교육을 실시하였음. 일반인 대상의 영양표시 홍보용 포스터 15,000 부를 제작하고, 대한영양사회와 연계하여 전국에 배포하였으며 영양표시 관련 정보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영양표시 정보”의 컨텐츠를 개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 식품정보에 업로드하여 영양표시 관련 정보를 제공하였음
3) 식품산업체대상 교육.홍보사업 : 통일된 영양표시양식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므로 현행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근거하여 업체와 소비자가 읽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양표시 양식 권고안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식품산업체의 영양표시 업무를 지원하고자 “식품산업체를 위한 영양표시 안내서” 3,000부를 발간?배포하고, 90여 개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영양표시기준 및 표시양식 설명회”를 개최하였음.
4) 영양표시 실태 모니터링 : 시판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된 총 2,214개 품목 중 24.1%인 533개 품목에 영양표시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2002년도의 16.5%에 비해 다소 증가되었음. 그러나 아직 표시율이 낮고 표시된 제품 중에도 표시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제품이 많아, 향후 지속적인 교육?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5) 향후추진계획 : 소비자와 식품산업체 모두 영양표시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영양표시의 전면 실시로 개인의 건강증진 및 국가의료비절감에 기여하기 위해 소비자교육 확대, 홍보활성화, 식품산업체 지원, 영양표시 공동체 구성?운영의 측면에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특히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장단기적 교육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이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대한영양사회 등과의 밀접하게 연계하여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임. 또한 식품등의 표시기준 개정에 영양표시 대상품목과 표시항목의 확대 및 영양표시양식 권고안의 별첨추가 등도 고려되어야 함
Abstract
▼
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in nutrition labeling system, since it's introduction in 1994. Hence, education and propaga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is necessary for both manufacturers and consumers to increase thei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This study was
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in nutrition labeling system, since it's introduction in 1994. Hence, education and propaga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is necessary for both manufacturers and consumers to increase thei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rategic framework and practical tools for educating manufacturers and consumers on nutrition labeling, which could encourage Korean food industry to adopt nutrition labeling system.
2. Current nutrition labeling system
Current nutrition labeling system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was reviewed. And the amended regulations related to nutrition labeling system as a part of food labeling in the Food Sanitation Act and in the Functional Food Act in Korea was discussed. Also, the results and tools from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specially for their campaign strategy and education resources.
3. Contents and Results
1) Strategic framework for education and propagation was established for both manufacturers and consumers.
2) Consumer education: The relevance of previously developed leaflets, booklets and education ki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Accordingly, these were modified and a ready-to-go Power Point presentation material was developed. All of these were arranged into a format useful for educators in school setting, and about 10,000 CDs were prepared/distributed throughout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Korea.
3) Manufacturer education: About 3,000 copies of guide book developed for food industry were distributed. Onto this, a workshop on the importance and recommendation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was held for food industry.
4) Monitoring: Nutrition labeling monitoring on processed food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foods with nutrition label to be 24.1% compared to 16.5% in 2002. Even with this clear increase in awareness and industry participation, consistent and/or continuous education on consumers and manufacturers would be needed to secure and consolidate nutrition labeling system in Korea.
5)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and food industry on nutrition labeling, available strategies for education were propos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corporating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into regular curriculum was proposed. And for adults, events by consumer alliance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were choices of chance to educate public.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차례 ... 3
- 표차례 ... 5
- 그림 차례 ... 6
-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 ... 8
- Summary ... 10
- 제1장 서론 ... 13
- 1. 연구의 필요성 ... 13
- 2. 연구목표 ... 17
- 제2장 국내외 동향 ... 19
- 1. 국내 현황 ... 19
- 1) 영양표시 활성화를 위한 사업 현황 ... 19
- 2) 식품표시 관련 최신 제?개정된 법령 현황 ... 21
- 2. 국외 현황 ... 30
- 1) 미국 ... 30
- 2) 캐나다 ... 37
-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56
- 1. 영양표시 교육.홍보전략 수립 ... 56
- 1)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절차 ... 56
- 2) 교육.홍보 전략 수립 ... 60
- 2. 소비자대상 교육.홍보사업 ... 62
- 1) 교육.홍보자료 개발 ... 62
- 2) 교육.홍보사업 내용 ... 73
- 3. 식품산업체 대상 교육.홍보사업 ... 80
- 1) 교육.홍보자료 개발 ... 80
- 2) 교육.홍보사업 내용 ... 82
- 4. 영양표시 실태 모니터링 ... 84
- 1) 조사목적 및 내용 ... 85
- 2) 조사결과 ... 85
- 3) 요약 및 제언 ... 119
- 5. 향후 추진 계획 ... 124
- 1) 기본 방향 ... 124
- 2) 추진 체계 ... 125
- 3) 추진 내용 ... 127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138
- 1.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 138
- 2. 대외기여도 ... 139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 ... 140
- 1. 계량적 성과 ... 140
- 2. 성과내용 ... 140
- 3. 활용계획 ... 141
- 제6장 기타 중요 변경사항 ... 142
- 참고문헌 ... 143
- 부록 ... 146
- 1. 영양표시 교육용 CD 사용자 메뉴얼 ... 147
- 2. 영양표시 정보 세부내용 ... 157
- 3. 시판가공식품의 표시영양소 함량 ... 22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