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대형 고층 건물의 건축 계획,구조, 설비 및 시공 기술 개발 -시공분야 (#5-5)-
The Development of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 Supporting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리형
참여연구자 김재준 , 지남용 , 김경래 , 진상윤 , 송영훈 , 김형기 , 한선희 , 안병주 , 이근형 , 김수정 , 김원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1-01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1100007386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양중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 공사 사례 조사, 양중작업 시간 측정, 양중관리 사례조사, 설문조사 등이 실시되었다. 다음으로 가상 프로젝트인 MT 130을 대상으로 양중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것의 타당성 검토 방법을 수행하여 마감자재 양중계획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작업원 수송 계획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CAD 응용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는 크게 3차원 객체기반 모델링에 대한 연구, 프로덕트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구 작업일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져 수행되었다. 3차원

Abstract

For the lifting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case studies and paper research has been enforced. The next step, the lifting management plan had been established by MT130 which is a imaginary project. After the feasibility study of this researc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lgorithm for the feas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요약문...3
  • SUMMARY...6
  • 목차...10
  • CONTENTS...12
  • 제 1 장 서 론...14
  • 1. 연구개발의 필요성...14
  • 가. 연구개발의 경제${\cdot}$사회${\cdot}$기술적 중요성...14
  • 2. 연구 방법 및 범위...15
  • 가. 제 1 세세부과제...15
  • 나. 제 2 세세부과제...16
  • 다. 제 3 세세부과제...17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42
  • 1. 현 기술상태의 취약성...42
  • 2. 앞으로의 전망...43
  • 3. 기술도입 가능성 검토...43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45
  • 1. 연구내용...45
  • 가. 제 1 세세부과제...45
  • 나. 제 2 세세부과제...61
  • 다. 제 3 세세부과제...68
  • 2. 연구결과...118
  • 가. 제 1 세세부과제...118
  • 나. 제 2 세세부과제...213
  • 다. 제 3 세세부과제...222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251
  • 1.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251
  • 가. 제 l 세세부과제...251
  • 나. 제 2 세세부과제...251
  • 다. 제 3 세세부과제...252
  • 라. 세세부과제들의 연계성...252
  • 2. 연구 개발 목표에 대한 대외 기여도...254
  • 가. 제 1 세세부과제...254
  • 나. 제 2 세세부과제...254
  • 다. 제 3 세세부과제...255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56
  • 1. 현장 실무 활용...256
  • 가. 제 1 세세부과제...256
  • 나. 제 2 세세부과제...256
  • 다. 제 3 세세부과제...257
  • 2. 추가연구...257
  • 3. 실용화 방안...257
  • 제 6 장 참고문헌...259
  • Appendix...26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