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교환방파제 실용화 연구
A Study of Putting Water-Exchange Breakwaters to Practical Us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달수
참여연구자 서승남 , 정원무 , 오영민 , 이동영 , 조흥연 , 김은수 , 전기천 , 김창일 , 김지회 , 백원대 , 장세철 , 김윤칠 , 조성록 , 우선미 , 김서정 , 정신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200000652
과제고유번호 1520001614
사업명 첨단항만발전기술개발(추가)
DB 구축일자 2013-05-20

초록

방파제를 설치할 현장의 입지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신형경사식 해수교환방파제와 직립 케이슨식 해수교환방파제의 구조형식을 대상으로 단면수리모형실험과 수치실험 및 이론연구를 통하여 각 구조형식에 의한 파고에 따른 해수유입 특성과 구조특성을 밝히고 이들을 체계화함으로써 기본설계지침서를 작성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주요 항만과 어항의 파랑 발생빈도와 수질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해수교환 방안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scope of this 5-year project can be classified into 4 parts: 1) device of various types of water-exchange breakwater including rubble-mound type and vertical caisson type, 2) comprehensive analysis on water-exchang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selected types of breakwater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4
  • 요약문 ... 6
  • SUMMARY ... 12
  • 목차 ... 18
  • 표목차 ... 24
  • 그림목차 ... 30
  • 제1장 서 론 ... 38
  • 제2장 파랑관측 및 자료 분석 ... 42
  • 제1절 개요 ... 42
  • 제2절 파랑 관측.분석 ... 42
  • 1. 묵호항 ... 43
  • 2. 후포항 ... 57
  • 제3장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의 수리모형실험 ... 72
  • 제1절 개요 ... 72
  • 제2절 조파기 및 실험장치 ... 72
  • 1. 수조 및 조파기 ... 72
  • 2. 실험장치 ... 73
  • 제3절 모형 및 계측기기의 설치 ... 74
  • 1. 모형 제작 ... 74
  • 2. 수로의 구성 및 계측기기의 설치 ... 74
  • 제4절 실험조건 ... 76
  • 1. 수심 및 실험파 ... 76
  • 2. 유입구 및 도수파이프 제원의 변화 ... 78
  • 제5절 실험결과 및 분석 ... 79
  • 1. 수위변화 ... 79
  • 2. 케이슨 주위의 파압분포 ... 88
  • 3. 결론 및 토의 ... 94
  • 제4장 진동수로형 케이슨식 해수교환방파제의 수리모형실험 ... 96
  • 제1절 개요 ... 96
  • 제2절 수로의 구성, 모형 및 계측기기의 설치 ... 97
  • 1. 수로의 구성 및 계측기기 ... 97
  • 2. 모형 및 여수로 설치 ... 98
  • 제3절 실험조건 ... 102
  • 1. 수심 및 실험파 ... 102
  • 2. 실험단면 제원의 변화 ... 105
  • 제4절 실험결과 및 분석 ... 106
  • 1. 진동수로 내의 수위의 변화 ... 106
  • 2. 유입유량강도 ... 109
  • 3. 월류제 설치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와의 유입유량강도 비교 ... 118
  • 4. 전달파고비 ... 122
  • 5. 전달파의 주기 T1/3 ... 133
  • 제5절 결론 및 토의 ... 135
  • 1. 개요 ... 135
  • 2. 중요 결론 ... 135
  • 3. 토의 ... 137
  • 제5장 월류제 설치 경사식 해수교환방파제의 유입량 추정식 대안 검토 ... 140
  • 제1절 개요 ... 140
  • 제2절 잠제식 유공방파제의 유입기능에 관한 연구 요약 ... 142
  • 제3절 월류제 설치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의 유입량 추정식의 자동보정 및 검증 ... 144
  • 1. 추정 매개변수의 선정 ... 145
  • 2. 매개변수 최적추정 ... 145
  • 3. 매개변수 추정 및 검증 ... 150
  • 제4절 결론 및 토의 ... 158
  • 제6장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를 통과한 흐름의 수치모형실험 ... 168
  • 제1절 개요 ... 168
  • 제2절 방파제와 파랑 상호작용의 분석 ... 169
  • 제3절 결과 해석 ... 175
  • 제7장 해수교환 방파제의 기본설계법(기본설계지침) ... 178
  • 제1절 개요 ... 178
  • 제2절 방파제 형식별 개요 ... 178
  • 1.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 (Type1) ... 180
  • 2. 후면 확장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 (Type2) ... 182
  • 3. 월류제 설치 경사식 해수교환 방파제 (Type3) ... 182
  • 4. 진동수로형 케이슨식 해수교환 방파제 (Type4) ... 184
  • 5. 해수교환 방파제의 형식별 개요 요약 ... 185
  • 6. 단순 직립 유공 케이슨제와 Type1의 해수 유입상황 비교 ... 186
  • 제3절 유입유량 예측 및 설계법 ... 188
  • 1. Type1~Type3의 유입량 예측 및 설계법 ... 188
  • 2. Type4 형식의 설계법 ... 198
  • 제8장 해수교환방파제 설치 후보항 선정 및 COD 관측.분석 ... 206
  • 제1절 개요 ... 206
  • 제2절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 후보항 선정 ... 206
  • 1. 항내 해수의 정체지수로 검토대상항 선정 ... 206
  • 2. 답사 대상항 선정 ... 210
  • 3. 현장답사시 고려한 사항 ... 210
  • 4. 답사 대상항의 답사 결과 ... 210
  • 5. 해수교환방파제 설치 후보항 및 설치 후보지 ... 214
  • 제3절 설치 후보항에 대한 COD 조사.분석 ... 217
  • 제9장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 후보항의 연간 파랑 에너지 분포 산출 ... 228
  • 제1절 서론 ... 228
  • 제2절 심해파 추산 자료 분석 ... 228
  • 1. 해양수산부(2001)의 22년간 심해파 추산자료 ... 228
  • 2. 해양수산부 (2001)의 8년간 심해파 추산 자료 ... 229
  • 제3절 수치실험 ... 230
  • 1. 수치모형 ... 230
  • 2. 입력자료 준비 ... 234
  • 3. 수치계산 결과 ... 235
  • 제4절 항만별 연간 파랑에너지 분포도 작성 ... 236
  • 제5절 관측치와의 비교 ... 237
  • 1. 주문진항 ... 237
  • 2. 속초항 ... 238
  • 제10장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 후보항별 방파제 설치계획 ... 326
  • 제1절 설치 후보항별 해수유입 목표량 선정 ... 326
  • 제2절 설치 후보항별 해수교환 방파제 단변형식 및 설치규모 선정 ... 326
  • 1. 해수교환 방파제의 구조형식 및 단면형식 선정 ... 326
  • 2. 항별 선정형식에 의한 연간 해수 유입량 추산 ... 327
  • 3. 항별 해수교환 방파제 소요규모 추정 ... 332
  • 4.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 우선순위 ... 333
  • 제11장 결론 및 제언 ... 336
  • 제1절 개요 ... 336
  • 제2절 중요 결론 ... 337
  • 제3절 제언 ... 342
  • 1. 주문진항 해수교환 구조물 설치에 따른 모니터링 ... 342
  • 2. 묵호항해수교환 방파제 설치를 위한 사전 조사연구 ... 345
  • 참고문헌 ... 350
  • 부록1. 묵호항의 정점 W에서 관측된 수압의 시간적 변화 ... 352
  • 부록2. 묵호항의 정점 W에서 관측된 파랑특성계수 ... 366
  • 부록3. 후포항의 정점 W에서 관측된 수압의 시간적 변화 ... 396
  • 부록4. 후포항의 정점 W에서 관측된 파랑특성계수 ... 418
  • 부록5. 규칙파에 의한 유수실 내장 경사식 방파제 케이슨 내외의 수위변화(f5-S4) ... 456
  • 부록6. 규칙파에 의한 유수실 내장 경사식 방파제 케이슨 내외의 수위변화(f5-S2) ... 464
  • 부록7. 해수교환 방파제 설치 후보항별 파향 NE에 대해 계산된 파고비 등치선도 ... 47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