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물의 역학적 고온설계 방법론
Development of Mechanistic Design Methodology of Nuclear Components at Elevated Temperatur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윤재
참여연구자 윤기봉 , 마영화 , 오창식 , 이국희 , 명노훈 , 서현욱 , 양기모 , 이관주 , 우승균 , 제진호 , 전준영 , 이호준
보고서유형3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3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등록번호 TRKO201200003139
과제고유번호 1345118627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고온,균열,니켈기 초합금,유한요소해석,크리프High temperature,Crack,Nickel-base superalloy,Finite Element Analysis,Creep

초록

최종목표 : 고온 원전기기의 기존 설계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더욱 신뢰성있는 설계법을 개발하기 위해, 구조물의 크리프 및 크리프-피로 손상에 대한 설계 안전성을 역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함으로서 미래형 원전의 해석적 설계 기법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1단계 수행내용 (2005.06-2007.03):
- 고온 원전기기 응력평가를 위한 유한요소 해석 가이드라인 제시
- 고온기기 shakedown 평가 기술
- 고온기기 Elastic Core 및 2차 응력 평가 기술
- 니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project are (i) to develop mechanics-based design methodologies for creep-fatigue damage evaluation, (ii) to develop methodologies to quantify effects of environment and oxidation on micro-mechanims and creep-fatigue resistance, and (iii) finally to provide essential backgroun

목차 Contents

  • 수정·보완요구사항 대비표 ... 1
  • 표지 ... 3
  • 제출문 ... 4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6
  • SUMMARY ... 12
  • CONTENTS ... 16
  • 목차 ... 18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0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1
  • 제 1 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 21
  • 제 2 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 21
  • 제 3 절 현 기술상태의 취약성 ... 22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3
  • 제 1절 기존 고온기기 설계 기법 분석 ... 23
  • 1. 기존 코드 및 기준 분석 ... 23
  • 2. Alloy 617 니켈합금 물성 ... 27
  • 제 2절 1차 응력 평가 ... 29
  • 1. 배관의 한계하중 평가 ... 29
  • 가. 곡관의 한계하중식 ... 30
  • 나. 분기관의 한계하중 해석 ... 79
  • 2. 크리프 완화응력 평가 ... 107
  • 가. 균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크리프 완화 응력 ... 107
  • 나. 용접부에서의 크리프 완화 응력 ... 111
  • 다. 열영향부를 고려한 용접부에서의 크리프 완화 응력 ... 127
  • 3. 노치인장/크리프 실험을 통한 재료물성 정량화 ... 136
  • 가. 고온 노치시편 전용시험기 ... 136
  • 나. Alloy 617 니켈기 초합금의 기계적 거동 특성 연구 ... 140
  • 4. 응력 삼축성이 크리프-피로에 미치는 영향 정량화 ... 157
  • 가. 삼축 응력성이 인장 거동에 미치는 영향 ... 157
  • 나. 응력 삼축성이 크리프 거동에 미치는 영향 정량화 ... 171
  • 제 3절 1차 및 2차 복합응력 평가 ... 186
  • 1. 세이크다운 및 라체팅 평가 ... 186
  • 가. 간략 비선형 세이크다운/라체팅 평가 기법 ... 188
  • 나. 곡관의 세이크다운 평가 ... 190
  • 다. 두께방향으로 온도에 따라 인장물성이 변하는 직관의 라체팅 경계해석 ... 197
  • 라. 다축응력을 고려한 배관의 세이크다운/라체팅 평가 ... 209
  • 마. 비대칭 구조물의 크리프 라체팅 평가 ... 218
  • 2. 크리프에 의한 응력 완화 평가 (Elastic follow-up 계수 평가) ... 228
  • 가. 2봉(Two-bar) 문제 ... 229
  • 나. 다축 방향으로 변위가 가해지는 경우의 Z-factor ... 232
  • 다. 1차 하중과 2차 하중의 복합하중이 가해지는 구조물의 Z-factor ... 242
  • 제 4절 균열 건전성 평가 ... 252
  • 1. 유한요소 해석에 입각한 균열의 Elastic Follow-up 평가 기법 ... 252
  • 가. 1차 및 2차 응력하의 탄소성 J-적분 예측 방법론 개발 ... 252
  • 나. 1차 및 2차 응력하의 탄성-추종(Elastic Follow-up) 평가 방법론 ... 264
  • 다. 1차 및 2차 응력에 대한 Bi-axial 효과 평가 방법론 ... 281
  • 라. 1차 응력하의 탄소성 크리프 C(t)-적분 예측 방법 ... 292
  • 2. 탄소성 및 크리프 균열진전 시뮬레이션 ... 310
  • 가. 탄소성 균열 평가 ... 310
  • 나. 크리프 균열 평가 ... 319
  • 3. 고온 재료의 피로/크리프-피로 균열성장거동 평가 ... 329
  • 가. 서론 ... 329
  • 나. 실험 방법 및 절차 ... 338
  • 다. 신균열성장거동 평가 기법 개발 ... 356
  • 라. 결과 및 논의 ... 363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453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456
  • 제 1절 연구 결과의 기대 성과 및 활용 방안 ... 456
  • 제 2절 연구 결과의 상세 활용 방안 ... 458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463
  • 제 7 장 참고문헌 ... 46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