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생태기법을 이용한 산불 피해지 복원 전략 수립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산림과학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임주훈
참여연구자 원명수 , 이상우 , 이주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1
주관부처 산림청
사업 관리 기관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등록번호 TRKO201200009614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산불의 발화 및 확산 등 주요한 특성은 지형, 임분 구조, 교란 빈도, 기상 및 기후 등 여러 외생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역으로 산불의 특성은 산림의 피해 후 산림의 재생과 회복에 큰 영향을 준다. 산불의 발화와 확산은 모두 산림 종 조성에 선택적이다. 소나무류와 관목류는 산불에 선호되고, 참나무류는 선호되지 않는다. 산불의 규모에 따라 특정 종은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산불의 규모보다 큰 경관을 인지하는 종은 작은 규모의 산불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산불 규모의 정의 및 생물종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산불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목차 ... 5
  • 요 약 ... 9
  • 제 I 장 산불 피해자 경관생태학적 접근 방법 ... 13
  • 1. 경관생태학적 접근 방법 ... 13
  • 2. 경관생태학적 접근 방법의 주요 특성 ... 13
  • 2.1 산림의 구조(Forest structure) ... 13
  • 2.2 규모(Scale)와 위계적 접근 방법(Hierarchiical Approach) ... 14
  • 2.3 THE(Total Human Ecoxystem) ... 15
  • 2.4 광역적/계량적 접근 방법(Landscape Scale/ Quantitative Approach ... 17
  • 2.5 다기준적 접근 방법(Multi-Criteria) ... 18
  • 2.6 경관생태학 접근 방법특성 요약 ... 18
  • 3. 경관생태학적 복원 전략 ... 19
  • 3.1. 복원 계획의 고려 사항 ... 19
  • 3.1.1. 복원의 목표 ... 19
  • 3.1.2. 복원의 필요성 ... 20
  • 3.1.3. 복원 계획/사업의 역할 ... 20
  • 3.1.4. 복원 계획/사업 개념의 확장 ... 20
  • 3.1.5. 위계성/특수성 ... 21
  • 3.2. 복원계획의 수립과 내용 ... 22
  • 3.2.1. 복원의 논리적 구조 ... 22
  • 3.2.2. 사전 계획 ... 22
  • 3.2.3. 피해 조사 및 복원 등급 평가 ... 23
  • 3.2.4. 응급 복구 ... 25
  • 3.2.5. 항구적 복원 기본 계획 및 세부 계획 ... 26
  • 3.2.6. 모니터링 및 사업 후 평가 ... 26
  • 3.3. 결 론 ... 26
  • 제II장 산불 피해지 경관 조사 및 분석 ... 29
  • 1. 산불 피해 강도의 정의 ... 29
  • 1.1. 연소 강도(Fire Intensity FI) ... 29
  • 1.2. 산불 심도(Fire Severity, FS) ... 29
  • 1.3. 피해 강도(Burn Severity, BS) ... 30
  • 2. 산불 피해지 복원을 위한 경계 설정 ... 30
  • 2.1. 복원 경계 설정의 필요성 ... 30
  • 2.2. 복원 경계 설정의 절차 및 방법 ... 31
  • 2.3. 가변 범위 설정의 영향 인자 ... 33
  • 2.3.1. 환경 요인(Environmental Factors) ... 33
  • 2.3.2. 생물 요인(Biological Factors) ... 33
  • 2.3.3. 사회.경제적 요인(Scoio-Economic Factors) ... 34
  • 3. 현장 조사를 위한 사전 준비 ... 34
  • 3.1. 조사구 선정 ... 34
  • 3.2. 조사구 설치 방법 ... 35
  • 3.3. 참조 조사구 설정 방법 및 조사 항목 ... 36
  • 3.4. 피해 평가를 위한 조사 항목 ... 38
  • 3.5. 측정 시기 ... 39
  • 4. 현장 조사 ... 39
  • 4.1. 종합 피해 지수(Composite Burn Index, CBI) 조사 야장 ... 39
  • 4.2. CBI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40
  • 4.3. 조사 방법 및 야장 기록 ... 41
  • 4.4. 조사구의 사진 촬영 ... 41
  • 4.5. 종합 피해 지수 조사 항목 ... 41
  • 4.5.1. 식생 계층 ... 41
  • 4.5.2. 식생 계층별 조사 항목 ... 42
  • 1) 지표층 ... 42
  • 2) 초본층: 초본류, 키가 낮은 관목과 수고 1m 이하의 상태인 교목 ... 43
  • 3) 관목층: 키가 큰 관목과 수고 1~4m의 상태인 교목 ... 43
  • 4) 아교목층(DBH: 10~25cm, 수고 : 9~20m)과 교목층(수고: 20m 이상) ... 44
  • 4.6. 종합 피해 지수(CBI) 조사 야장 ... 45
  • 4.7. 한국형 종합 피해 지수(KCBI) 조사 야장 ... 46
  • 5.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피해지 분석 ... 47
  • 5.1 현장 조사를 위한 영상과 조사구 ... 47
  • 5.2. 위성영상을 이용한 삼척 산불 피해지 분석 ... 48
  • 5.2.1. 정규 탄화 지수(Normalized Burn Ratio, NBR) ... 48
  • 5.2.2. 정규 식생 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 49
  • 5.2.3. 변화 탐지 기법(Change Detection) ... 50
  • 6. 결 론 ... 54
  • 제 III 장 산불과 산림 구조.기능의 관계 ... 59
  • 1. 경관 생태 지수(Landscape Index) ... 59
  • 2. 산림 이질성과 식생 밀도 ... 60
  • 2.1. 연구 목적 및 방법 ... 60
  • 2.2. 산불 전 산림 이질성 도면화 ... 62
  • 2.3. 피해 강도의 이질성 도면화 ... 63
  • 2.4. 공간적 패턴의 평가 ... 66
  • 2.5. 식생 밀도의 지도화 ... 67
  • 2.6. 공간 분석 ... 68
  • 2.7. 연구 결과 ... 69
  • 2.7.1. 기초 통계량 ... 69
  • 2.7.2. 산불 전 산림의 산림 피복과 공간적 패턴 그리고 피해 강도 ... 69
  • 2.7.3. 소나무림과 피해 강도 ... 71
  • 2.7.4. 혼효림과 피해강도 ... 73
  • 2.7.5. 피해 강도, NDVI, △NDVI의 공간적 형태 ... 73
  • 2.7.6. NDVI와 △NDVI의 회귀 나무 분석 ... 75
  • 2.7.7. 고찰 ... 78
  • 2.7.8. 결론 ... 79
  • 3. 식생 변화에 대한 가장자리 효과 ... 80
  • 3.1. 연구 목적 ... 80
  • 3.2. 연구 대상지 및 연구 방법 ... 80
  • 3.2.1. 가장자리 효과 측정 ... 81
  • 3.2.2. 피해 강도 측정 ... 82
  • 3.2.3. 초기 식생 변화 측정 ... 84
  • 3.3. 연구 결과 및 결론 ... 85
  • 3.3.1. 피해 강도와 가장자리 효과 ... 85
  • 3.3.2. 복합적 영향 ... 87
  • 3.3.3. 결 론 ... 87
  • 4. 산불 피해자 경관생태 구조 변화 양상 ... 88
  • 4.1. 연구 목적 ... 88
  • 4.2. 연구 재료 및 방법(영상 자료 및 전처리) ... 88
  • 4.3. 분석 과정 ... 89
  • 4.3.1. 정규 식생 지수(NDVI) 계산 및 분류 ... 90
  • 4.4. 결과 및 결론 ... 91
  • 4.4.1. 경관 생태 지수의 변화 ... 91
  • 5. 산불피해자 식생 복원에 대한 적용 방안 ... 95
  • 참고문헌 ... 99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목록 ... 10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