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참여연구자 | 김명주 , 복기대 , Maskey, Dhiraj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과제시작연도 | 2010 |
주관부처 | 문화재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등록번호 | TRKO201200010625 |
과제고유번호 | 1555000351 |
사업명 | 보존복원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미라.조선시대.회곽묘.Mummy.Joseon dynasty.Lime soil mixture barrier.Mummification. |
○ 미라 형성과 관련된 외부환경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조선시대 회곽묘의 발굴과정에 적극 참가하여 이로부터 다양한 발굴 소견 및 미라의 보존상태의 관련성에 대한시사점을 얻는다.
○ 미라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여러 요인 중 회곽의 역할에 대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흰쥐를 이용하여 회곽묘 및 토광묘 환경을 연구실에서 재현한 다음 모든 외부 조건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사체의 분해정도 차이를 확인하고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이 과정에서 회곽묘 내부에 온도계
The environment in archaeological site of Korea is not favorable for preservation of human and cultural remains, comparing with the cases in neighboring Asian countries. Even so, very well-preserved human remains have been found in the form of mummy, from the Joseon tombs that were encapsulated by l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