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산성강하물 평가와 영향조사(V)
Evaluation of Acid Deposition and Impact Assessment in Korea (V)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환경연구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연구책임자 한진석
참여연구자 서충열 , 공부주 , 홍유덕 , 이상덕 , 최진수 , 안준영 , 이석조 , 이덕길 , 고강석 , 길지현 , 구연봉 , 서민환 , 오현경 , 이민효 , 박종겸 , 김태승 , 노회정 , 윤정기 , 김혁 , 김종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2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등록번호 TRKO201200011256
DB 구축일자 2013-05-20

초록

가. 산성강하물 모니터링
- 강수의 화학적 특성 조사, 습성강하물 침적량 산정
나. 식생영향조사
- 솔잎 내 양이온함량 조사, 하층식생 조사, 수과피도 분석
다. 토양영향조사
- 토양의 화학성 조사, 대기관련자료조사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wet deposition in Korea. The daily or weekly based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wet only sampling method at twenty four sites in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The pH and conductivit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Abstract ... 11
  • 목차 ... 17
  • 표목차 ... 22
  • 그림목차 ... 26
  • 제 1편 산성강하물(습성강하물)모니터링 ... 30
  • I. 서론 ... 32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34
  • 1. 연구내용 ... 34
  • 가. 측정분석 정도관리 (QA/QC) ... 34
  • 나. 강수의 화학적 특성 조사 ... 34
  • 다. 습성강하물 침적량 산정 ... 34
  • 2. 연구방법 ... 35
  • 가. 강수시료의 채취 ... 35
  • 1) 시료채취지점 ... 35
  • 2) 시료채취기간 ... 38
  • 3) 시료채취장치 ... 38
  • 4) 시료채취방법 ... 39
  • 5) 시료보관 및 이송 ... 39
  • 나. 시료의 성분분석 ... 41
  • 1) 분석항목 ... 41
  • 2) 분석방법 ... 41
  • 다. 역궤적 분석 ... 41
  • III. 연구결과 및 고찰 ... 43
  • 1. 측정분석 정도관리 (QAQC) ... 43
  • 가. 이온균형 및 전기전도도 검토 ... 43
  • 1) 이온균형 검토 ... 43
  • 2) 전기전도도 검토 ... 44
  • 나. 강수의 수거율 검토 ... 46
  • 2. 강수의 화학적 특성 ... 48
  • 가. 강수의 pH ... 48
  • 1) pH value ... 48
  • 2) pH 발생빈도 ... 50
  • 3) pH와 강수량과의 관계 ... 53
  • 나. 주요 이온성분 ... 56
  • 1) 이온성분 농도 ... 56
  • 2) 이온성분 구성비율 ... 63
  • 3) pH별 이온성분 분포 ... 66
  • 4) 비해염기원 이온성분 ... 69
  • 5) 이온성분간의 상관관계 ... 72
  • 3. 습성강하물 침적량 및 공간적 분포 ... 73
  • 가. 주요 이온성분 침적량 ... 73
  • 1) 연간 습성강하물 침적량 ... 73
  • 2) 계절별 습성강하물 침적량 ... 77
  • 나. 습성강하물 침적량의 공간적 분포 ... 80
  • 1) pH 및 이온성분 농도의 공간적 분포 ... 80
  • 2) 강수량 및 습성강하물 침적량의 공간적 분포 ... 86
  • 4. 5년간 측정결과의 고찰 ... 90
  • 가. pH ... 90
  • 나. 주요 이온성분 ... 94
  • 1) 이온성분 농도 ... 94
  • 2) 도심/교외/원격측정지점의 강우중 이온성분농도 ... 98
  • 5. 기류의 이동경로에 의한 pH 및 이온의 분포 특성 ... 114
  • 6. 산성강하물 영향 평가를 위한 종합 고찰 ... 125
  • IV. 결론 ... 135
  • 참고문헌 ... 138
  • 제 2편 산성강하물에 의한 식물영향 평가 ... 140
  • I. 서론 ... 142
  • II. 연구방법 ... 143
  • 1. 조사지 ... 143
  • 2. 연구방법 ... 143
  • 가. 솔잎의 양이온 함량 분석 ... 145
  • 나. 하층식생 조사 ... 145
  • 다. 잎면적지수(LAI) ... 146
  • III. 결과 및 고찰 ... 147
  • 1. 솔잎의 양이온 함량 ... 147
  • 2. 하층식생 ... 151
  • 3. 잎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 ... 155
  • IV. 결론 ... 157
  • 참고문헌 ... 158
  • 제 3편 산성강하물에 의한 토양영향 평가 ... 162
  • I. 서론 ... 164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165
  • 1. 토양 산성화 과정 ... 165
  • 가. 토양의 pH ... 165
  • 나.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 166
  • 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과 염기포화도 ... 166
  • 2. 조사지역 및 지점선정 ... 167
  • 가. 산성강하물 영향권역 조사 ... 167
  • 나. 산성강하물 원격지역(EANET) 조사 ... 167
  • 3. 시료채취 및 조제 ... 168
  • 가. 산성강하물 영향권역 조사 ... 168
  • 나. 산성강하물 원격지역(EANET) 조사 ... 168
  • 4. 토양 화학성 분석 및 계산 ... 168
  • 가. pH ... 168
  • 나. 치환성 양이온 ... 168
  • 다. 유효양이온치환용량 및 염기포화도 ... 169
  • 5. 토양분석 정도관리 ... 169
  • III. 연구결과 ... 171
  • 1. 산성강하물 영향권역 조사 ... 171
  • 가. 토양의 pH ... 171
  • 1) 영향권역별 평가 ... 171
  • 2) 영향권 지역에 대한 연도별 추이 ... 171
  • 나.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유효양이온치환용량(ECEC) 및 염기포화도 ... 172
  • 1) 영향권역별 평가 ... 172
  • 2) 영향권 지역에 대한 연도별 추이 ... 173
  • 2. 산성강하물 원격지역 조사(EANET) ... 184
  • 가. 토양 pH ... 184
  • 나.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유효양이온치환용량(ECEC), 염기포화도 ... 184
  • 다. 토양분야 정도관리 결과 ... 194
  • IV. 고찰 ... 198
  • 1. 산성강하물 영향권역 조사 ... 198
  • 2. 산성강하물 원격지역 조사 ... 198
  • V. 토양산성화 예측모델 ... 201
  • 1. 생태계의 산성화에 의한 피해 메커니즘 ... 201
  • 2. 토양산성화 예측모델 ... 201
  • 가. 정상 상태 모델과 동적 모델 ... 206
  • 나. VSD, SMART, SAFE, MAGIC 모델 ... 208
  • VI. 결론 ... 212
  • 참고문헌 ... 215
  • 부록 ... 220
  • Appendix I. 2003년도 월별 조사지역의 산성강하물 측정 자료 ... 222
  • Appendix II. 식생표 ... 252
  • Appendix III. 연도별 조사지역의 월별 대기오염자료 ... 26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