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전경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9-06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300000190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간흡충.역학적 특성.예방교육.Clonorchis Sinensis.Prevention Program.Egg-positive Rate.
|
초록
▼
* 본 연구는 5대강 유역 간흡충 고위험군의 감염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며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한강유역 가까이 소재한 보건진료소 40개소를 선정하여 조사에 동의한 주민을 대상으로 Formaline-ether 침전법에 의한 채변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월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유역별 충란양성률을 보면, 섬진강이 21.3%로 가장 높았고, 낙동강 13.5%, 금강 7.
* 본 연구는 5대강 유역 간흡충 고위험군의 감염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며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한강유역 가까이 소재한 보건진료소 40개소를 선정하여 조사에 동의한 주민을 대상으로 Formaline-ether 침전법에 의한 채변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월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유역별 충란양성률을 보면, 섬진강이 21.3%로 가장 높았고, 낙동강 13.5%, 금강 7.6%, 한강 7.6%, 영산강 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강유역이라 하더라도 보건진료소별 양성률의 편차가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는데 섬진강의 경우 최저 6.3%에서 최고 38.4%였으며 한강, 금강, 영산강의 경우 최저 0%에서 각각 최고 36.0%, 24.6%, 16.0%였다.
둘째, 대상자 특성별로 보면, 남자(14.3%)가 여자(7.6%)에 비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남녀 모두 40-49세군에서 가장 높았는데 각각 18.8%, 8.9%였다.
셋째, 대상자의 감염위험 행태별 양성률을 보면, 민물고기를 생식하는 경웨 13.5%로 하지않는 경우 5.7%보다 높았고, 담배를 피우는 경우 15.0%로 피운적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 8.5보다 높았다. 음주의 경우 1주일에 4회이상 먹는다고 응답한 경웨 17.3%로 안마시거나 음주빈도가 적은 경우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간흡충 예방에 관한 지식수준은 총점 17점에 평균 9.63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양성자에서 다소 높았다.
다섯째, 선행연구와 자문을 거쳐 개발한 교육매체(동영상 및 PPT file)를 활용하여 개인 및 집단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흡충 예방 관련 지식이 교육 실시 전에 비하여 교육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민물고기 생식습관 변화의도와 가족 및 이웃의 생식습관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여섯째, 기존의 양성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경험을 분석한 결과, 지역내 생식을 주로 하는 문화적 특성과 간흡충 감염에 대한 정확한 인식 부족 등이 행태변화의 장애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포괄적인 건강관리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사례관리가 효과적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1년을 기간으로 진행할 사례관리 절차를 개발하였다.
일곱째, 간흡충 역학조사하기, 예방교육하기, 양성자 사례관리하기 등의 내용을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전자문서로 개발하여 DVD형태로 된 간흡충감염관리를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활용하여 5대강 유역의 보건진료소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간흡충 관리를 지속으로 추진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하겠다.
Abstract
▼
This study was performend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clonorchiasis among the inhabitants living in villages along the 5 major rivers, Nakdong-gang(=river), Seomjin-gang, Youngsan-gang, Guem-gang, and Han-gang in southern Korea.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09, a total of stool samples(1 sample
This study was performend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clonorchiasis among the inhabitants living in villages along the 5 major rivers, Nakdong-gang(=river), Seomjin-gang, Youngsan-gang, Guem-gang, and Han-gang in southern Korea.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09, a total of stool samples(1 sample per an inhabitant) were collected in 40 localities and examined by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Of the inhabitants examined, egg-positive rates of C. sinensis according to the river basin were 13.5% in Nakdong-gang, 21.3% in Seomjin-gang, 4.9% in Youngsan-gang, 9.2% in Guem-gang, and 7.6% in Han-gang. The egg-positive rate of male was showing higher(14.3%) than female(7.6%), and. the age group of 40 to 49 years had the highest egg positive rate from 8.9%(female) to 18.8%(male). The inhabitants with the habit of raw fish ingeston, smoking, or drinking showed higher positive rate than others. Average score of knowledge about C. sinensis prevention was 9.63 of which total score was 17.0. The score of 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of negative group.
After the prevention education, the knowledg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before the education, the intention of the raw fish ingestion habit change and the attitude for the habit of family and neighbors.
Finally, the infection control manual for C. sinensis was developed as an electronic documents by using hyper-link system. The contents of manual were composed with the epidemiological monitor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C. sinensis prevention, an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treatment and the re-infection prevention for C. sinensi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lonorchiasis is still highly prevalent among inhabitants in the riverside areas of southern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systematic control program in the high risk area continuously using the manual developed by this project. The longitudinal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4
- Summary ... 5
-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6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6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6
- 제2절 목표달성도 ... 8
- 제3절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 8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9
- 제1절 연구내용 ... 9
- 1. 연구수행체계 ... 9
- 2. 연구진행절차 ... 9
- 제2절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10
- 1. 감염율 실태파악 ... 10
- 2. 간흡충 감염에 대한 지식 및 행태조사 ... 12
- 3. 간흡충 감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13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5
- 제1절 5대강 유역 전체 결과 ... 15
- 1. 일반적 특성 ... 15
- 2. 간흡충 양성물 ... 18
- 3. 간흡충 감염에 대한 지식 및 행태 ... 19
- 제2절 강 유역별 실태 ... 24
- 1. 금강 ... 24
- 2. 낙동강 ... 29
- 3. 섬진강 ... 35
- 4. 영산강 ... 40
- 5. 한강 ... 45
- 제3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 52
- 1. 교육프로그램 내용구성 ... 52
- 2. 교육프로그램 실시 효과 ... 52
- 제4절 감염 양성자 사례관리프로그램 개발 ... 59
- 1. 간흡충 감염 양성자 경험분석 ... 59
- 2. 사례관리프로그램 ... 71
- 3. 간흡충 감염자 사례관리 지침 ... 74
- 제5절 간흡충 감염관리매뉴얼 개발 ... 81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84
- 제5장 연구성과 ... 86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87
- 제7장 참고문헌 ... 88
- 제8장 첨부서류 ... 8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