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한연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300000374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지구온난화.털진드기.쯔쯔가무시.일본뇌염.뎅기열.웨스트나일.황열.빨간집모기.작은빨간집모기.금빛숲모기.흰줄숲모기.Global warming.chigger mite.Tsutsugamushi.Japanase encephalitis.Dengue fever.Westnile.Yellow fever.Culex pipiens.Culex tritaeniorhychus.Aedes vexans.Aedes albopictus.
|
초록
▼
현재 지구 온난화는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다. 한반도에서도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가 변화하여 생물의 서식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를 야기했으며 이로 인해 토착성 질환인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전염성 질환인 뎅기열, 웨스트 나일, 황열의 유입가능성이 증대되고 질병을 매개하는 절지동물의 서식밀도와 분포지역의 확대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매개체 전파질환의 유입 및 확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조사감시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먼저, 쯔쯔가무시를 매개하는 털진드기의
현재 지구 온난화는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다. 한반도에서도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가 변화하여 생물의 서식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를 야기했으며 이로 인해 토착성 질환인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전염성 질환인 뎅기열, 웨스트 나일, 황열의 유입가능성이 증대되고 질병을 매개하는 절지동물의 서식밀도와 분포지역의 확대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매개체 전파질환의 유입 및 확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조사감시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먼저, 쯔쯔가무시를 매개하는 털진드기의 채집을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격주로 영암(월출산)과 익산(시대산)에 Sherman live trap으로 쥐를 채집하고 hanging method로 여러 종의 위생 해충을 분리하여 그 중 쯔쯔가무시를 매개하는 털진드기만을 분류 동정 하였다. CTB extraction kit를 이용하여 털진드기의 병원체 DNA를 정제한 후 INNOPLEX TSUTSU detection kit로 쯔쯔가무시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채집결과 털진드기의 경우 5월 첫째 주에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둘째 주부터 개체수가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6월부터는 채집되지 않다가 10월부터 다시 채집되기 시작하였다.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털진드기의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의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5월 1주차에 익산에서 채집한 털진드기에서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이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모기의 채집을 위하여 호남 주요 거점지역인 군산검역소, 여수검역소, 목포검역소에 BG Trap을 설치하여 뎅기열, 황열을 감시하였으며, 영광보건소, 완도보건소, 영암보건소, 여수보건소, 고창보건소, 화순보건소, 순천만에는 유문등을 설치하여 웨스트 나일, 일본뇌염을 감시하고자 하였다. 2010년 4월 4주차부터 10월 3주차까지 매주 2회를 채집하여 매개체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채집된 모기중에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웨스트 나일을 잠재적으로 매개할 수 있는 금빛숲모기와 빨간집모기, 뎅기열과 황열을 잠재적으로 매개 가능한 흰줄숲모기를 분류 동정하여 주차별 발현 패턴을 확인고 Kit을 이용하여 Viral RNA를 추출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병원체검출을 수행하여 한반도 호남 지역의 매개질병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채집 결과를 보면 지역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7월에 모기개체 수가 급격히 상승하여 8월까지 비슷한 개체 수를 유지하다가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9월부터 개체 수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BG-Trap을 설치한 검역소에서는 흰줄숲모기, 빨간집모기, 큰검정들모기가 주로 채집되었고, 유문등을 설치한 보건소에서는 작은빨간집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 금빛숲모기가 주로 채집되었다. 병원체 감시를 위한 Real-time PCR 결과 모두음성을 나타냈으며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는 없었으나, 고온다습의 기후의 잠재적인 감염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대국민건강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Abstract
▼
(1) Tsutsugamushi project:
Period: from May 1, 2010 to Oct. 31
Collection sites: Yeongam (Mt. Wolchul) and Iksan (Mt. Sidae)
Collection method: Sherman live trap and hanging method
Identification: by standard keys for chigger mite
DNA purification: by CTB extraction kit
Detection m
(1) Tsutsugamushi project:
Period: from May 1, 2010 to Oct. 31
Collection sites: Yeongam (Mt. Wolchul) and Iksan (Mt. Sidae)
Collection method: Sherman live trap and hanging method
Identification: by standard keys for chigger mite
DNA purification: by CTB extraction kit
Detection method: by INNOPLEX TSUTSU detection kit
Conclusions: The highest number of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during the first week of May, and then gradually declined until the end of May. However, no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from June to Oct in 2010. Finally, we found out that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again from Oct. 25. Using INNOPLEX TSUTSU detection kit, we were able to detect Orientia tsutsugamushi from chigger mite collected from the first week of May and also from Oct. 25.
(2) Mosquito project:
Period: from April (4th week), 2010 to Oct. (third week)
Collection sites: Gunsan, Yeosu, Mokpo for Dengue fever, and Yellow fever;
Yongkwang, Wando, Yeongam, Yeosu, Gochang, Hwasun, Suncheon for Westnile and Japanase encephalitis
Collection method: BG trap for Dengue fever, and Yellow fever; Light trap for Westnile and Japanase encephalitis
Identification: by standard classification method
RNA purification: by viral gene-spin kit
Detection method: by real-time PCR
Conclusions: It seems that the mosquito popul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and peaked between July and August, and declined as temperature goes down (Sept). In order to isolate viral RNA, we used "viral gene-spin" kit, and conducted Real-time PCR to detect the pathogens mentioned above. No virus has so far detected with all the samples we have collected and tested.
목차 Contents
- 학술연구용역사업 결과보고서 ... 2
-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용역사업 결과보고서 ... 3
- 목 차 ... 4
- Ⅰ.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5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5
- Summary ... 6
- Ⅱ.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7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7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0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22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84
- 제5장 연구성과 ... 85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89
- 제7장 참고문헌 ... 8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