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의 급증으로 인해서 유행지역에서 감염되어 귀국하는 수입 기생충 질환의 유입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해외여행으로 인한 국민건강의 위협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과제는 수입기생충 질환 중 리슈만편모충증, 샤가스병, 아프리카수면병, 주혈흡충증, 사상충증의 진단법을 개발하여 기 시판 중인 각종 진단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사정에 적합한 표준화 진단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내장리슈만편모충증 진단법으로는 시판 중인 진단제인 DiaMed-IT LEISH가 가장 좋은 진단법이었으며, 샤가스병의 경우에는 Chagas S
해외여행의 급증으로 인해서 유행지역에서 감염되어 귀국하는 수입 기생충 질환의 유입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해외여행으로 인한 국민건강의 위협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과제는 수입기생충 질환 중 리슈만편모충증, 샤가스병, 아프리카수면병, 주혈흡충증, 사상충증의 진단법을 개발하여 기 시판 중인 각종 진단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사정에 적합한 표준화 진단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내장리슈만편모충증 진단법으로는 시판 중인 진단제인 DiaMed-IT LEISH가 가장 좋은 진단법이었으며, 샤가스병의 경우에는 Chagas Stat-Pak Assay가 가장 좋은 진단법이었다. 피부리슈만편모충층의 경우엔 진단제인 Cutaneous Leishmania lgG Celisa (Cellabs, Australia)는 매우 비효율적이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single antigen 또는 multiple antigen을 이용한 ELISA (Lm-ELISA, La-ELISA, Lb-ELISA, multi-Ag-ELISA)가 더 우수하였다. 주혈흡충증의 경우엔 수용성 충난 항원 (SEA1) 이 우수한 항원으로 밝혀졌으며 이 충란 항원을 이용한 ELIS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관찰하였다. 일본주혈흡충의 수용성 충난 항원은 일본주혈흡충 진단에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만손주혈흡충의 수용성 충난 항원을 이용한 ELISA의 민감도는 96.5%, 특이도는 98.3% (59/60) 이었고, 방광주혈흡충의 수용성 충난 항원을 이용한 ELISA는 일본주혈흡충증과 방광주혈흡충증 모두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28명의 만손주혈흡충증 환자 중 23명 (82.1%)에서 양성이었다. 사상충 진단을 위한 중국 IgG4 ELISA 키트 (반크로프트 항체 진단용)의 민감도는 83.3%이었으나 BiomaxNOW Filaria 키트(뉴질랜드)의 민감도는 50%로 감소하였다. 말레이사상층증을 진단할 수 있는 BRUGIArapid를 사용하여 교차반응 유무를 관찰한 결과 12명 환자 혈청 중 1명이 위양성반응을 보였다 (특이도 91.6%). 림프사상충 IgG4 항체를 검출하는 ELISA 키트와 ICT의 민감도는 각각 84, 80%로 서로 비슷하였다. 아프리카수면병의 진단을 위해 ß-tubulin을 target으로 한 LAMP assay를 사용하였으며, 흡광도와 형광시약을 이용하여 LAMP assay를 실시한 결과 T. congolensi를 제외한 인체 감염 및 가축 감혐 파동변모충의 대부분을 검출할 수 있었다. LAMP assay의 감도를 측정한 결과 환자 혈액 1 ul 당 파동편모충 0.l마리가 있는 경우에도 진단이 가능하였고, 파동편모충을 분리할 필요가 없이 30분 이내의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진단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과제의 결과로 연구대상인 5종의 해외유입 기생충질환의 표준화된 진단법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해외유입 기생충질환 감염자들에 대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신속한 진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기 치료를 통해 국민 건강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s the travelling abroad continuously increases. the risk of imported parasitic diseases has been increased.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diagnostic methods. to compare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e methods with those of commercial kits, and finally to suggest the stsndardized, highl
As the travelling abroad continuously increases. the risk of imported parasitic diseases has been increased.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diagnostic methods. to compare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e methods with those of commercial kits, and finally to suggest the stsndardized, highly sensitive diagnostic methods for leishmaniasis. Chagas disease. schistosomiasis. filariasis. and African sleeping sickness. DiaMed-IT LEISH and Chagas Stat-Pak Assay were proven as the best diagnostic method for visceral leishmaniasis and Chagas disease. However. Cutaneous Leishmania IgG Celisa (Cellabs, Australia) was not good for the diagnosis of cutaneous leishmaniasis. Instead. ELISA using single or multiple antigens from L. major. L. amazonensis and L. braziiiensis (Lm-ELISA, La-ELISA, Lb-ELISA. multi-Ag-ELISA) were superior in sensitivity to Cutaneous Leishmania IgG Celisa. Soluble antigen of schistosome eggs (SEAl) were proven as the best antigen for serodiagnosis of schistosomiasis. ELISA using SEA of S. japonicwn, S. mansoni and S. haematobium showed high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The sensitivity of IgG4 ELISA for W bancrofti was 83.3%, but it was lower when BiomaxNOW Filaria kit was used. BRUGIArapid for B. malayi had high specificity of 91.6%. The sensitivities of ELISA (for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lymphatic filariasis) and ICT were 84% and 80%, respectively. For the diagnosis of African sleeping sickness, loop-mediated isothermal gene amplification (LAMP) assay that targets /Hubuiin of T. gambienseS!j- T. rhodesiense was developed, and it was found that the assay detected most trypanosomes except T. congolens[ LAMP assay was very sensitive to detect 0.1 trypanosome in 1 ul of blood, and it was found that the diagnosis could be made within 30 min without isolating trypanosomes from the blood. From this study, the stsndardized, highly sensitive diagnostic methods for leishmaniasis. Chagas disease. schistosomiasis. filariasis, and African sleeping sickness were established. These diagnostic protocols will be available for diagnostic service for imported parasitic diseases. and will contribute in the progress in health promotion of the Korean people by providing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목차 Contents
표지 ... 1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3
목차 ... 5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7
Summary ... 8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9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9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8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22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6
제5장 연구성과 ... 31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37
제7장 참고문헌 ... 39
제8장 첨부서류 ... 44
제1세부과제 리슈만편모충/샤가스병의 표준진단법 확립 및 효능 검증 ... 61
제1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62
제2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75
제3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78
제4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87
제5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90
제6장 참고문헌 ... 92
제7장 첨부서류 ... 98
제2세부과제 주현흡층/사상충증 표준진단법 확립 및 효능 검증 ... 102
제1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03
제2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108
제3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13
제4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26
제5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30
제6장 참고문헌 ... 131
제7장 첨부서류 ... 134
제3세부과제 아프리카 수면병의 표준진단법 확립 및 효능 검증 ... 141
제1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42
제2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143
제3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49
제4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57
제5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61
제6장 참고문헌 ... 163
제7장 첨부서류 ... 165
끝페이지 ... 171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