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장생도라지를 이용한 면역증강활성기능성식품 개발 |
주관연구기관 |
(주)장생도라지
|
연구책임자 |
조영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3-04
|
과제시작년도 |
200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300001449
|
과제고유번호 |
1460004863
|
사업명 |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도라지.면역활성증강.거식세포.임파구.Platycodon grandiflorum.Immunostimulation.NK.LAK.macorphages..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대식세포를 이용한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장생도라지의 면역 활성에 대한 영향 연구수행을 통해 장생도라지를 이용한 면역활성증진용 기능성식품소재를 개발하...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대식세포를 이용한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장생도라지의 면역 활성에 대한 영향 연구수행을 통해 장생도라지를 이용한 면역활성증진용 기능성식품소재를 개발하고자 연구에 착수하였다.
in vivo 실험을 통해 cytokines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 장생도라지 열수추출물 (CK) 처리 3시 간에 IL-10의 생성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그 후 3 일, 7일에서는 생성 증가하였던 IL-10의 생성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저 농도의 CK에서는 serum과 splenocyte 배양여액에서 IL-10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CK-inulin을 처리한 결과, Serum 및 Splenocyte, Macrophages의 배양 여액 모두에서 CK-inulin의 농도 의존적으로 IL- 10의 양이 감소하였다. INF-r은 바이러스에 의한 방어 기작으로 처음 알려 졌으며, 바이러스에 의한 방어의 발단 부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대표적인 항 바이러스 효과는 바이러스의 복제와 기타 바이러스가 세포 밖으로 방출되는 여러 기작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여러 cytokine과 상호 작용하여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고 감염되어 있는 동안 숙주의 방어 능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CK처리에 의해서 serum과 배양여액 중 serum에서만 유의성 있는 INF-r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INF-r은 처음 2 일 동안 생성량이 증가하며, 3일 이후에는 IL-10과 같은 양상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CK-inulin을 처리한 결과, Serum 에서만 INF-r의 양이 감소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면역활성과 관련이 있는 IL-4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 serum에서만 약간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의 두 반응 모두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로 특히 비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대식세포 활성화 (Macrophage activation)에 대한 영향 확인한 결과, CK의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 능력이 증가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CK-inulin의 처리 농도 의존적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CK를 처리한 군보다 CK-inulin을 처리한 군에서 더 많은 활성증강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처리에 의하여 장관 면역 반응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eyer's patch 에서 IgM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면역 작용 및 세포 활성과 관련이 있으며, 항암 작용과 관련이 있는 NK, LAK, Ros의 활성을 높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사업의 참여기업인 주식회사 장생도라지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캡슐형, 과립스틱형 면역활성용 기능성식품을 상품화코저 한다.
Abstract
▼
The immunostimulatory and host resistance effects of the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hangkil (CK) and inulin (CKI) isolated fr...
The immunostimulatory and host resistance effects of the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hangkil (CK) and inulin (CKI) isolated from CK were investigated in rats. SD rat were exposed to CK ro CKI by gavages for 7days and isolated peritoneral macrophages and splenocyte were used for these studies. We investigated, Macrophages, NK, LAK cell activation and cytokines production by CK and CKI using the in vivo study. Macrophages activity measured through ROS and phargocytosis, NK and LAK activities measured by fluorescence and MTT assay adapted for SD rat. The cytokine levels in the serum were analyzed by immunoassay. Groups of SD rat were exposed to vehicle or chemical by gavages for 7d. The doses of CK or CKI used were 200mg/kg body. Macrophages phargocytosis activity and RO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high CK and CKI doge group. LAK cell and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by splenocyte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high CK and inulin dose group.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K and inulin make the enhanced macrophages activity with NK and LAK cell mediated cell lysis in SD rat. Several reports suggest that some cytokine enhances the function of natural killer cells,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 and macrophages activity. In this Study on IL-10 and INF-r expression and gene transcription were exposed to vehicle or chemical by gavages for 7d by SD rat. Each day isolated Serum and cell culture media were used for this study. IL-10 and INF-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enhance effect for one day but another day significantly inhibition effect cytokine synthesis. TNF-a and IL-4 was did not have the chang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CK and CKI significantly enhanced IL-10 and INF-r expression in serum revel but we could not detect any change in serum level of TNF-a and IL-4 in the chemical treated animal. There result suggested that increase the IL-10 and INF-r expression by CK and CKI was induce the function of natural killer cells,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 and macrophages activity. Finally, the development is considered as an Immunostimulation from Old platycodon grandiflorum being possible.
목차
Contents
▼
- 표지 ... 1
- 목차 ... 3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5
-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 ... 5
- Project Summary ... 6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7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7
- (1) 최종 연구개발 목표 ... 7
- (2) 연구배경 ... 7
- (3) 연구목적 ... 9
- (4) 연구내용 및 범위 ... 10
- (5) 연구개발 추진체계 ... 11
- (6) 연구개발 추진계획 ... 12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3
- (1) 연구개발 방법 ... 13
- (2)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5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5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27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 ... 29
- 6. 첨부서류 ... 31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장생도라지를 이용한 면역증강활성 기능성식품 개발 ... 34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5
- (1)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5
- (2) 연구내용 및 범위 ... 35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35
- (1) 연구대상 ... 35
- (2) 연구방법 ... 38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41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50
-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51
-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 ... 52
- 7. 참고문헌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