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 식생활분야 푸드 마일리지 산정연구
The study on food mileage relating to nations' dietary lif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소비자시민모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등록번호 TRKO201300007332
DB 구축일자 2013-05-20

초록

농산물수입대국 한국은 세계농식품체계 (global agri-food system) 에 깊숙이 편입되어 막대한 양의 먹거리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해 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입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라지 및 수송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산정에 대한 의미있는 연구가 최근 이루어졌으나(주옥정 외, 2010), 국내산 농산물의 국내 푸드 마일리지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수입되는 농산물에 비해 국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이동거리가 극히 짧고, 국내 농산물의 유통구조가 복잡하며 정확한 자료가 부재해 연구에 어려움이 존재하기

Abstract

The study on food miles relating to nations' dietary life
The concept of "food miles"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in England, raising consumers' attention to many different issues on food. In fact, the food miles has become a hot topic in mass media and has acted as a f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Abstract ... 15
  • 차례 ... 17
  • Ⅰ. 서론 ... 23
  •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26
  • 1. 과업의 범위 ... 26
  • 2. 연구 추친체계 및 연구진 구성 ... 26
  •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 28
  • 1. 푸드 마일리지 등장 배경 ... 28
  • 2. 푸드 마일리지 해외 연구 동향 ... 33
  • 3. 해외 시민운동 현황 파악 ... 41
  • 가. 시민단체 푸드 마일리지 운동 ... 41
  • 나. 지역 공동체 농업 (Cornrnunity Supported Agriculture) ... 43
  • 다. 로컬 푸드 운동 ... 77
  • 라. 슬로우 푸드 운동(이탈리아) ... 81
  • 4. 푸드 마엘리지 산출방안 검토 ... 83
  • 가. 개념과 논의 ... 83
  • 나. 푸드 마일리지 산출 방안 검토 ... 84
  • 5. 국내산 농산물의 푸드 마일 산정 ... 85
  • 가. 국내농산물 시장 유통체계의 특징 ... 85
  • 나. 국내 농산물의 품목별 푸드 마일 산출방법 ... 89
  • 다. 전송으로 인한 푸드 마일리지 증가 사례 조사 ... 97
  • 6. 국산 수입 농산물 푸드 마일리지 비교 ... 105
  • 가. 국산 수입 푸드 마일리지 산출 및 비교 ... 105
  • 나. 포도 ... 105
  • 다. 키위(다래) ... 107
  • 라. 오렌지 - 감률 ... 110
  • 7. 탄소라벨링과의 연계 가능성 검토 ... 114
  • 가. 푸드 마일과 탄소라벨링의 등장 배경 ... 114
  • 나. 푸드 마일의 장단점 ... 114
  • 다. 탄소라벨링의 장단점 ... 115
  • 라. 탄소라웰링 관련 해외 사례 ... 115
  • 마. 한국적 맥락 ... 116
  • 바. 푸드 마일과 탄소라벨링의 연계 가능성 검토 ... 118
  • 8. 푸드 마일리지 제도 확산 및 홍보방안 ... 119
  • 가. 해외 푸드 마일리지 활동 분석 ... 119
  • 나. 푸드 마일리지 확산 및 홍보 방안 ... 120
  • 다. 2011년 국민식생활 분야 푸드 마일라지 감축 연계사업 홍보방안 ... 134
  •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 136
  • Ⅴ. 기대성과 및 향후 계획 ... 139
  • Ⅵ. 참고문헌 ... 141
  • Ⅶ. 부 록 ... 145
  • 끝페이지 ... 194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