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종태
|
참여연구자 |
박용선
,
김효미
,
허진아
,
이수지
,
이정원
,
이승준
,
김상돈
,
박상범
,
정진원
,
김재환
,
김지원
,
김홍혁
,
김한나
,
이영은
,
양윤주
,
배가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주관부처 |
환경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등록번호 |
TRKO201300007491 |
DB 구축일자 |
2013-05-20
|
초록
▼
1) 연구대상지역
울산광역시 지역 중 20년 동안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코호트 확보를 위해 코호트의 관리 접근성이 용이하면서 지역의 특색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석유화학단지 주변 지역(4km 반경)을 중심으로 남구와 울주군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동구, 북구 및 중구 지역을 비교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 기존자료 분석
울산지역의 대기환경 자동측정망 자료는 환경부 및 울산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13개 대기오염자동측정소에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
1) 연구대상지역
울산광역시 지역 중 20년 동안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코호트 확보를 위해 코호트의 관리 접근성이 용이하면서 지역의 특색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석유화학단지 주변 지역(4km 반경)을 중심으로 남구와 울주군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동구, 북구 및 중구 지역을 비교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 기존자료 분석
울산지역의 대기환경 자동측정망 자료는 환경부 및 울산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13개 대기오염자동측정소에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오존(), 일산화탄소(CO) 등 대기환경기준물질로 선정된 5개 항목에 대해 운영되고 있다. 본 사업에서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최근 10년간의 자료를 대기환경 월보 및 연보에서 자료를 추출하여 13개 측정소 중 남구 및 울주군에 위치한 9개 측정소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중구, 동구, 북구에 위치한 4개 측정소(각 구마다 각 1개 측정소)를 비교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울산지역의 중금속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울산광역시 소재 4개 측정소에서 대기 중의 납(Pb), 카드뮴(Cd), 크롬(Cr), 구리(Cu), 망간(Mn), 철(Fe), 니켈(Ni) 등 대기 중 유해중금속에 대해 상시 측정하고 있다. 본 사업에서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의 최근 7년간의 자료를 대기환경 연보와 월보로부터 자료를 추출하여 4개 측정소(남구 야음동, 남구 여천동, 남구 신정동, 울주군 덕신리)별 중금속 자료를 분석하였다.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울산지역의 광화학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측정소에서 대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운데 1,3-Butadiene, 1,1-Dichloroethane, Chloroform, Methylchloroform, Benzene, Carbontetrachloride, Trichloroethylene, Toluene, Tetrachloroethylene, Ethylbenzene, m,p-Xylene, Styrene, o-Xylene 등에 대해 상시 운영되고 있다. 본 사업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 3월까지의 최근 약 2년 4개월간의 자료를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Abstract
▼
Since 2003, this research team performed a research to build the groundwork for monitoring pollution exposure and consequent health effects by selecting target areas and subjects, laying the groundwork for cohort study, screening, surveying, and measuring environmental pollution levels and biologica
Since 2003, this research team performed a research to build the groundwork for monitoring pollution exposure and consequent health effects by selecting target areas and subjects, laying the groundwork for cohort study, screening, surveying, and measuring environmental pollution level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vent health damage by presenting scientific evidences which have validity in Environmental science. To achieve this goal, in Ulsan, the emblematic industrial area in Korea, the researchers checked the physical condition of an individual resident, and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continuously monitored the exposure status of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which are assumed to induce health damage on local residents due to local pollutio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abstract ... 5
- 요약문 ... 6
- 목 차 ... 24
- 표 차 례 ... 27
- 그 림 차 례 ... 33
- I. 서론 ... 35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36
- 2. 연구목표 및 범위 ... 39
- 1) 연구목표 ... 39
- 2) 당해 연도 연구사업의 범위 ... 40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45
- 1. 연구체계 ... 46
- 1) 연구진 구성 ... 46
- 2) 연구추진체계 ... 49
- 2. 연구내용 및 방법 ... 50
- 1) 연구대상지역 ... 50
- 2) 기존자료 분석 ... 51
- 3) 코호트 구축 및 주민건강조사 ... 53
- 4) 시료 채취 및 분석 ... 62
- 5) 추적조사 ... 92
- III. 연구결과 ... 93
- 1. 기존자료 분석 ... 94
- 1) 울산지역의 산업현황 ... 94
- 2)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자료 분석 ... 98
- 3) 중금속 측정망 자료 분석 ... 104
- 4) 광화학 측정망 자료 분석 ... 106
- 5) 생체 내 중금속 농도에 대한 국내ㆍ외 연구 ... 111
- 6) 1단계 사업 자료를 이용한 연구 ... 113
- 2. 코호트 구축 ... 118
- 1) 건강검진을 통한 7차년도 코호트 구축현황 ... 118
- 2) 대기오염 측정망과의 거리별 남녀 코호트 구축 현황 ... 120
- 3) 산단과의 거리별 남녀 코호트 구축 현황 ... 121
- 4) 현재까지 구축한 코호트의 전체적인 현황 ... 122
- 3. 설문조사 결과 ... 125
- 1) 전체 연구대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125
- 4. 건강검진 결과 ... 148
- 5. 피부단자 결과 ... 183
- 6. 시료분석 결과 ... 189
- 1) 혈 중 납(Pb) 농도 분석결과 ... 189
- 2) 요 중 카드뮴(Cd) 농도 분석결과 ... 195
- 3) 요 중 비소(As) 농도 분석결과 ... 201
- 4) 요 중 수은(Hg) 분석결과 ... 203
- 5) 혈 중 망간(Mn) 분석결과 ... 205
- 6) 요 중 코티닌(cotinine) 농도 분석결과 ... 207
- 7) 중금속 농도 기준값 및 초과현황 ... 209
- 8) 생체내 중금속 농도 간 상관분석 결과 ... 211
- 9) 공기 중 유기화합물의 분석 결과 ... 212
- 10) 생체시료 중 유기화합물의 분석 결과 ... 216
- 7. 유해물질 생체노출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 및 영향 지표들의 비교 ... 218
- 1) 생체 노출수준에 따른 환경노출 영향인자 분석결과 ... 218
- 8. 추적조사 결과 ... 274
- 1) 조사대상 대비 추적률 분포 ... 274
- 2) 연령대별 추적 신규 분포 ... 275
- 3) 추적자 건강진단 변화량 결과 ... 276
- 4) 추적자 중금속 농도 변화량 결과 ... 283
- 5) 연차별 코호트 구축현황 ... 287
- IV. 고찰 ... 289
- 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294
- 1. 기대성과 ... 295
- 2. 활용방안 ... 296
- 참 고 문 헌 ... 297
- 부 록 ... 308
- □ 1단계 사업 연차별 중금속 및 유기화합물 농도 비교표 ... 309
- □ 1단계 사업 연차별 추적자 분포표 ... 32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