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구 대기화학 모델링 연구(I)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박록진
참여연구자 윤대옥 , 우정헌 , 문병권 , 예상욱 , 임을규 , 김영호 , 정재인 , 정부전 , 조남호 , 최기철 , 오진주 , 류리나 , 구본양 , 김민중 , 박수현 , 한동석 , 노인우 , 강부중 , 한경수 , 정춘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12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등록번호 TRKO201300008807
DB 구축일자 2013-05-20

초록

본 연구의 핵심목표는 NCAR 에서 개발하여 발전시켜온 기후모델인 CCSM3 기상장으로 구동되는 전구 대기화학 모델링 시스템을 GEOS-Chem 을 바탕으로 국내에 맞게 개선하여 독자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여 GEOS-Chem/CCSM3 즉 궁극적으로 CCSM-Chem 이라는 새로운 Off-line 기후-화학 접합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전지구 규모의 기후-화학접합 모델링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을 위해서 전구대기화학모형 연구부, 기후모델 연구부, 배출목록 연구부, 그리고 모델 병렬화 연구부의 네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상호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용역사업 최종보고서 ... 3
  • 목차 ... 4
  • List of Figures ... 9
  • List of Tables ... 15
  • 요약문 ... 17
  • 제 1 장 과업의 수행과 성취 ... 19
  • 가. 기술 개발의 필요성 ... 19
  • 나. 과업수행 진행 ... 21
  • 다. 성취 현황 요약 ... 23
  • 제 2 장 세부과업 상세 진행내용 ... 26
  • 1. CCSM 기상장으로 구동되는 전구 대기화학 모델 개발 및 구동 ... 26
  • 1.1. 개요 ... 26
  • 1.2. GEOS-Chem 모델 ... 26
  • 1.3. 수행내역: CCSM과의 연동 ... 28
  • 1.4. CCSM3와 연동된 GEOS-Chem (GEOS-Chem/CCSM3)의 결과 검증 ... 37
  • 1.4.1. 기체상태 화학물질 검증 ... 37
  • 1.4.1.1. 모델 자료와 비교된 기체들 ... 37
  • 1.4.1.2. 모의된 기체들 비교 ... 38
  • 1.4.1.3. 기상장의 비교 ... 47
  • 1.4.1.4. 요약 및 결론 ... 48
  • 1.4.2. 전지구 에어로졸의 수지(budget) 분석 ... 49
  • 1.4.2.1. 무기성 에어로졸 ... 49
  • 1.4.2.2. 탄소 성분 에어로졸 ... 54
  • 1.4.2.3. 자연 발생 에어로졸 ... 59
  • 1.4.2.4. 타 모델들과의 비교 ... 64
  • 1.4.3. TRACE-P 관측자료를 이용한 CCSM-Chem 모델 검증 ... 70
  • 1.4.3.1. 관측자료 ... 70
  • 1.4.3.2. 모델모의 ... 70
  • 1.4.3.3. 가스상 물질 검증 ... 71
  • 1.4.3.4. 모의된 에어로졸 검증 ... 75
  • 1.4.3.4. 결론 및 토의 ... 78
  • 1.4.4. TRACE-P 와 지상 관측 자료의 BC 에어로졸을 이용한 GEOS-Chem/CCSM3 모델검증 ... 79
  • 1.4.4.1. 모델 모의 ... 79
  • 1.4.4.2. 동아시아의 BC 에어로졸의 지역적 분포 ... 79
  • 1.4.4.3. TRACE-P를 이용한 모델검증 ... 81
  • 1.4.4.4. 지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모델 검증 ... 84
  • 1.4.4.5. 토의 및 결론 ... 85
  • 1.4.5. 에어로졸 광학두께 비교 ... 85
  • 1.4.5.1. MODIS AOD와 비교 ... 85
  • 1.4.5.2. 기상장에 따른 각 에러로솔별 광학두께 비교 ... 88
  • 1.4.5.3. AERONET AOD와 비교 ... 91
  • 1.4.5.4. 결론 및 토의 ... 92
  • 1.4.6. GEOS-Chem/CCSM3를 이용한 2003년 5월 산불 실험 ... 93
  • 1.5. 세부수행계획상 목표달성 토의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 96
  • 참고문헌 ... 97
  • 2. 전 지구 및 동아시아 emission inventory 자료 조사 및 구축 ... 101
  • 2.1. 서 론 ... 101
  • 2.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01
  • 2.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02
  • 2.2. 기존 배출목록의 조사 및 선정 ... 103
  • 2.2.1. 전 지구 배출목록들의 개요 및 특성 ... 103
  • 2.2.1.1. POET (POET inventory documentation) ... 103
  • 2.2.1.2. RETRO (Reanalysis of the TROpospheric chemical compostion over the pas 40years) ... 105
  • 2.2.1.3. EDGAR (Emission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 106
  • 2.2.1.4. EDGAR-HYDE (100 YEAR) ... 108
  • 2.2.1.5. GFED v2 (Global Fire Emissions Database version 2) ... 108
  • 2.2.1.6. GEIA v.1 (Global Emissions Inventory Activity) ... 108
  • 2.2.1.7. UNFCCC 배출목록 ... 109
  • 2.2.1.8. Bond et al. inventory ... 109
  • 2.2.2. 전 지구 배출목록 비교 분석 및 주 대상 배출목록 선정 ... 110
  • 2.2.2.1. 배출목록의 비교분석 및 주 대상 목록의 선정 ... 110
  • 2.2.2.2. 선정된 배출목록의 세부특성 ... 113
  • (1) Hindcasting - EDGAR-HYDE ... 113
  • 1) 시간에 따른 물질별 배출량 변화 경향 ... 117
  • 2) 배출원 별 총 기여도 비교 ... 117
  • a. CO2 ... 118
  • b. CH4 ... 118
  • c. N2O ... 118
  • (2) 기준연도(Base-year) - EDGAR 3.2 FT2000과 GEIA ... 121
  • 2.2.3. 아시아 배출 목록들의 개요 및 특성 ... 125
  • 2.2.3.1. LTP inventory ... 126
  • 2.2.3.2. TRACE-P inventory ... 127
  • 2.2.3.3. REAS(Regional Emission inventory in ASia) Inventory ... 134
  • 2.2.3.4. INTEX2006 inventory ... 140
  • 2.2.3.5. ABBI Inventory ... 143
  • 2.2.4. 아시아 배출목록 비교 분석 및 주 대상 배출목록 선정·분석 ... 144
  • 2.2.4.1. 각 물질별 지역별 기여도 및 섹터별 배출 총량 비교 ... 144
  • (1) SO2 ... 144
  • (2) NOx ... 145
  • (3) CO ... 146
  • (4) NH3 ... 147
  • (5) CO2 ... 148
  • 2.2.4.2. 배출목록 기준연도에 따른 물질별 배출총량 비교 ... 149
  • (1) 기준연도 2000 배출목록 (TRACE-P inventory, REAS, LTP Inventory) 비교 ... 149
  • (2) 2006 년 기준연도 배출목록(INTEX2006, REAS2006 prediction) 비교 ... 152
  • 2.2.4.3 배출목록 기준연도 변화에 따른 물질별 배출총량 비교 ... 153
  • (1) TRACE-P inventory 및 INTEX2006 배출목록 비교 ... 153
  • (2) REAS 배출목록 비교(2000년 base year 및 2006년 prediction) ... 154
  • 2.2.4.4. 아시아 배출목록 비교 분석 및 주 대상 배출목록 선정 ... 155
  • 2.3. 배출자료 처리 (Emissions Processing) ... 156
  • 2.3.1. Emissions projection ... 156
  • 2.3.1.1. 전 지구 Emissions projection ... 156
  • 2.3.1.2. 아시아 emissions projection ... 159
  • 2.3.2. 배출량의 시간할당 ... 163
  • 2.3.3. 화학종 분화 ... 166
  • 2.3.3.1. Source mapping ... 167
  • 2.3.3.2. 화학종별 질량분율 ... 168
  • 2.4. 산정결과 및 분석 ... 170
  • 2.4.1. 배출목록 산정결과 ... 170
  • 2.4.1.1. 1997~2007년간의 전 지구 배출목록 산정결과 ... 170
  • 1) CO ... 171
  • 2) NOx ... 175
  • 3) NMVOC ... 178
  • 4) BC, OC ... 183
  • 5) NH3 ... 186
  • 6) SO2 ... 187
  • 2.4.1.2. 1997~ 2007년간의 아시아 배출목록 산정결과 ... 190
  • 2.4.2. 산정된 전지구 배출목록의 Processing결과 ... 194
  • 2.4.2.1. 물질별 연도별 공간분포 ... 194
  • (1) CO 배출량의 연도별 공간 분포 ... 194
  • (2) BC, OC 배출량의 연도별 공간 분포 ... 197
  • (3) SO2 배출량의 연도별 공간 분포 ... 202
  • 2.4.2.2. 배출량의 월별 공간분포의 변화 ... 205
  • (1) 월별 CO 배출량변화 ... 205
  • (2) 월별 NOx 배출량변화 ... 208
  • 2.4.2.3. 화학종 분화된 NMVOC 배출목록 ... 211
  • 2.4.2.4. 오염물질별 ratio analysis ... 213
  • (1) NOx vs. CO ... 213
  • (2) BC vs. CO 와 OC vs. CO ... 215
  • (3) BC/OC ratio ... 217
  • (4) SO2 vs. CO ... 218
  • 2.4.3. 배출목록의 정도 관리 (QA/QC) ... 219
  • 2.4.3.1. 불확실성 분석 ... 219
  • 2.5. 요약 및 결론 ... 223
  • 참고문헌 ... 224
  • 3. CCSM 모델의 장기 적분 및 모델특성 파악 - NCAR CCSM 화학모델 입력자료 구축을 위한 모델 운용 ... 228
  • 3.1. 개요 ... 228
  • 3.1.1. 과업수행 내역 요약 ... 228
  • 3.2. CCSM3 모델의 Linux Cluster에 장착 및 구동 ... 229
  • 3.2.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229
  • 3.2.2. CCSM3 구성 ... 229
  • 3.2.3. CCSM3 실행파일 생성 (building) ... 231
  • 3.2.4. 모델 실행의 예 ... 232
  • 3.3. 장기 적분된 CCSM3 기상장 특성 분석 ... 233
  • 3.3.1. Case 구성: 실험명 fv_B ... 233
  • 3.3.2. 평균장 분석 ... 235
  • 3.3.3. 연변화 (annual cycle) ... 250
  • 3.3.4 경년변동 (interannual variability) ... 253
  • 3.3.5 EOF (경험적직교함수) 분석 ... 258
  • 3.4. CCSM3-Chem을 이용한 시베리아 산불에 의한 대기반응 ... 259
  • 3.4.1. 목적 ... 259
  • 3.4.2. 실험방법 ... 259
  • 3.4.3 결과 ... 263
  • 3.5. CCSM2.0의 장기적분 및 모델 특성 파악 ... 267
  • 3.5.1 CCSM2.0 모델 특성 ... 268
  • 3.5.2. CCSM2.0 장기적분 수행 결과 ... 269
  • 3.6. CCSM2.0을 이용한 aerosol 강제력에 대한 기후 민감도 실험 ... 285
  • 3.7. 요약 및 성과 ... 299
  • 참고문헌 ... 299
  • 4. 모델 병렬화를 위한 코드 분석 및 병렬 알고리즘 초기 장착 ... 301
  • 4.1. 개요 ... 301
  • 4.1.1. 제목 ... 301
  • 4.1.2.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 301
  • 4.1.2.1. 연구의 목적 ... 301
  • 4.1.2.2. 연구의 중요성 ... 301
  • 4.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301
  • 4.1.3.1. GEOS-Chem 모델의 구조 분석 ... 301
  • 4.1.3.2. 모델 분할을 통한 성능 개선 연구 ... 302
  • 4.1.3.3. 연산 분산을 통한 성능 개선 연구 ... 302
  • 4.1.3.4. 대기 모델 분산처리 연구 활동 조사 ... 302
  • 4.1.4. 연구결과 ... 302
  • 4.1.4.1. 소스코드 ... 302
  • 4.1.4.2. 최종보고서 ... 302
  • 4.1.5. 활용에 대한 건의 ... 302
  • 4.1.6. 기대효과 ... 303
  • 4.2. GEOS-Chem 모델의 구조 분석 ... 303
  • 4.2.1. GEOS-Chem 모델 개요 ... 303
  • 4.2.2. restart 파일 분석 ... 304
  • 4.2.2.1. 개요 ... 304
  • 4.2.2.2. 파일형식 ... 304
  • 4.2.3. ctm.bpch 파일분석 ... 307
  • 4.2.3.1. 개요 ... 307
  • 4.2.3.2. 파일형식 ... 309
  • 4.2.4. 모델 분할을 통한 성능 개선 연구 ... 309
  • 4.2.4.1. 개요 ... 309
  • 4.2.4.2. 모델 분할 위한 점검사항 ... 309
  • 4.2.4.3. 연구내용 ... 310
  • 4.2.4.4. 각 노드에게 보내주어야 할 데이터 ... 310
  • 4.2.4.5. 데이터 입출력 방법 ... 311
  • 4.2.4.6. 데이터 나누는 방법 ... 311
  • 4.2.4.7. 노드 수 결정 ... 314
  • 4.2.5. Nested Grid 측면에서의 분석 ... 315
  • 4.2.5.1. 개요 ... 315
  • 4.2.5.2. Grid 다이어그램 구조 ... 315
  • 4.2.5.3. Grid 관련 변수 ... 316
  • 4.2.5.4. Nested Grid 동작 분석결과 ... 318
  • 4.2.6. restart 파일 측면에서의 분석 ... 318
  • 4.2.6.1. 개요 ... 318
  • 4.2.6.2. 관련 파일 ... 319
  • 4.2.7. 모델 분할을 통한 성능 개선 세부 방안 ... 319
  • 4.2.7.1. 시작 위치와 길이 조작하여 수행하는 방법 ... 320
  • 4.2.7.2. 지정된 범위가 아닐 경우 연산하지 않는 방법 ... 320
  • 4.2.7.3. Nested Grid 이용한 방법 ... 320
  • 4.2.7.4. Grid 크기 조작 ... 320
  • 4.2.7.5. I0, J0, IIPAR, JJPAR 조작하기 ... 322
  • 4.2.8. 연구결과 ... 323
  • 4.3. 연산 분산을 통한 성능 개선 연구 ... 323
  • 4.3.1. 개요 ... 323
  • 4.3.2. 연구 진행 요약 ... 324
  • 4.3.3. 모델의 실행 구조 분석 ... 325
  • 4.3.3.1. 프로그램 코드 기반 정적 분석 ... 325
  • 4.3.3.2. 프로그램 수행 기반 동적 분석 ... 325
  • 4.3.4. 서브루틴 별 연산 부하 측정 ... 326
  • 4.3.4.1. 프로파일링 프로그램 이용 서브루틴 별 연산 수행 시간 산출 및 분석 ... 326
  • 4.3.4.2. 선별된 서브루틴 대상으로 내부 반복문에 대한 연산 부하 분석 ... 326
  • 4.3.5. 서브루틴 별 분산처리 판단 ... 327
  • 4.3.5.1. 앞 단계에서 파악된 반복문을 대상으로 분산처리 가능 여부 판단 ... 327
  • 4.3.5.2. 1회 수행 시간, 전체 처리량 기준으로 1차 선정 : 서브루틴 3개 ... 328
  • 4.3.5.3. 실제 반복문의 분산처리 가능 여부로 2차 선정 : 서브루틴 2개 ... 328
  • 4.3.6. 분산처리 위한 코드 수정 ... 328
  • 4.3.6.1. COMM_MOD 모듈 추가 ... 328
  • 4.3.6.2. 해당 서브루틴 수정 ... 329
  • 4.3.7. 실제 구동환경에서의 실험 ... 330
  • 4.3.7.1. 분산처리 연산결과 검증 ... 330
  • 4.3.7.2. 1차 테스트: Gigabit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클러스터 환경 ... 330
  • 4.3.7.3. Diskkless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한 코드 수정 ... 330
  • 4.3.7.4. 분산처리 코드 수행 ... 330
  • 4.3.7.5. MPI_BCAS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의 문제점 ... 331
  • 4.3.7.6. MPI_BCAST 함수의 대안: MPI_ALLGATHER 함수 ... 331
  • 4.3.7.7. 2차 테스트 ... 332
  • 4.3.7.8. 3차 테스트: 서울대 연구실 클러스터 환경 ... 333
  • 4.3.8. 연산 분산을 통한 성능 개선 연구 결과 ... 335
  • 4.4. 분산처리 연구 활동 조사 ... 335
  • 4.4.1. 개요 ... 335
  • 4.4.2. 국내외 e-Science 연구동향 ... 335
  • 4.4.3. GEOS-Chem 모델 연구 동향 ... 336
  • 참고자료 ... 337
  • 제 3 장 세부수행계획상 목표달성 ... 338
  • 제 4 장 참고문헌 ... 340
  • 부록: 분산처리 판단 위한 소스코드 분석결과 ... 34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