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이영성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04 |
과제시작연도 |
2011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암센터 National Cancer Center |
등록번호 |
TRKO201300009138 |
과제고유번호 |
1465010979 |
사업명 |
국립암연구소운영 |
DB 구축일자 |
2019-11-16
|
키워드 |
휴대폰(휴대전화).암발생.역학연구.체계적종설.메타분석.Mobile phone.Cancer development.Epidemologic studies.Systematic review.Meta-analysi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09138 |
초록
▼
연구목표
2011년 5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 의해 Group 2B 발암물질로 분류된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전자파의 암 발생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규모 후향적/전향적 코호트 구축 및 환자-대조군 연구 등의 구체적 연구방안 기획하였음
연구내용
1)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세계보건기구 EMF research agenda 등 관련 자료를 파악 및 검토하고,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휴대폰 전자파 노출과 암 발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2) 기존에 발표된 환자-대조군연구를 종합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목표
2011년 5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 의해 Group 2B 발암물질로 분류된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전자파의 암 발생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규모 후향적/전향적 코호트 구축 및 환자-대조군 연구 등의 구체적 연구방안 기획하였음
연구내용
1)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세계보건기구 EMF research agenda 등 관련 자료를 파악 및 검토하고,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휴대폰 전자파 노출과 암 발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2) 기존에 발표된 환자-대조군연구를 종합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음
3)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를 위해 환자군 및 대조군의 자격기준을 수립하고, 연구도구 및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음
4) 이동통신사 가입자 휴대전화 사용량 정보와 암등록 및 사망자료를 연계하고, 노출율 분류 표준화발생률 산출 등 연구 방법을 개발하였다. 진행과 관련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 검토 및 타부처 협력체계를 구축하였음
5) 장기간 추적조사를 통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기획하여 인구집단(지역사회, 건강보험 건강검진 및 특수 집단 코호트 등), 연구 대상 질환(신경교종, 청신경종을 포함한 뇌종양, 기타 두경부 암종 및 고형함 포함 여부, 기타질환 포함 여부 등)을 선정하고 연구 대상 질환의 발생율(신경교종 : 1.9명/10만명, 청신경종 0.3명/10만명)을 고려한 연구대상자 수를 산출하고 노출 요인 측정 방법을 개발 하고 신뢰도, 타당도를 검정하였음
6) 민감계층에 대한 연구대상과 연구질환의 범위를 설정하였고, 연구 설계를 제안하였음
연구 결과
1)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결과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주로 환자-대조군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사용과 종양위험의 관련성에 대해 수십 편의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그 결과는 일치하지 않음. 2000년대 초부터는 덴마크 휴대전화가입자 코호트의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가 몇 편 발표되었는데 휴대전화사용은 종양과 관련 없음을 보고함. 현재까지 환자-대조군연구결과를 종합한 메타분석이 5편 정도 나왔고,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09년 명승권 등의 메타분석 결과 10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사람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과 비교 시 종양발생의 위험성이 약 1.2배 높았음.
2) 휴대전화 사용과 질병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제적으로는 2개의 그룹이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었음. 종양학 전문의 Hardell, Lennart(스웨덴)을 중심으로 ‘Orebro University Hospital’에서 임상연구를 하는 그룹과 Schuz, Joachim(덴마크)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의 역학분야 전문가 및 임상 전문가들과 국제적으로 암역학 분야의 협력 연구를 하고 있었음
3) 현재까지 발표된 31편의 환자-대조군연구를 메타분석 한 결과, 질적수준이 높은 연구, 휴대전화 회사로 부터 연구비를 받지 않은 경우, 휴대전화를 10년 이상 사용한 경우 만을 따로 메타분석한 결과 휴대전화 사용은 종양의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환자-대조군연구의 근거수준에 비추어 보다 높은 근거수준을 제공하는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연구가 필요함
4)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를 위해, 연구윤리에 근거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의 자격기준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표준 환자대조군 분석 방법 적용하고 결과변수로 뇌종양을 관찰하기위해 연구도구 및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제시함. 자료의 표준화 및 대표성을 위해 이동통신사 가입자 휴대전화 사용량 정보와 암등록 및 사망자료를 연계하고, 노출율 분류 표준화발생률 산출 등 연구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효율적인 자료 수집과 연구윤리, 결과의 활용을 위해 다부처 및 기업 간 협력 체계를 구축 필요성 및 방안 마련함
5) 장기간 추적조사를 통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기획을 통해 단순조사 중심의 역학연구에서 벗어나, 이미 구축된 코호트를 기반삼아 관찰연구를 통해 과학적 근거를 도출함으로서 휴대폰 전자파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해 근거자료의 발굴하여 사회경제적 보건학적 통합 전략 수립을 마련할 수 있음. 또한 분산된 역학연구의 체계적 수행과 질병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운영으로 한국인의 데이터 확보 가능해질 것임. 이를 위해 첫째, 검진기관 및 표적 질환을 선정하였고, 이를 통해 코호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코호트 구성원을 추적함. 추적 결과 휴대폰 노출량과 건강결정 요인(전자파 노출 유해 평가)을 확인함으로서 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선정질환에 대한 포괄적 예방지침의 개발 (스마트폰 앱) 등 단계별 추진 전략을 기획함
6) 어린이(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와 노인(65세 이상 남녀)같은 민감 계층에서의 휴대전화 전자파노출의 건강 영향 규명을 위한 과학적인 연구 디자인 설계함으로서 대표성 있는 자료 생성함. 또한 민감계층에 대한 역학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암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포괄적이고 실천 가능한 예방 지침개발을 위한 전략적 방법을 제시함. 또한 단면조사를 통해 민감계층의 휴대폰 사용실태를 파악하였고, 다국가 환자 대조군 연구를 통하여 충분한 통계적 검정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
고찰 및 결론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휴대전화와 암의 상관관계가 밝혀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음.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인 연구현황과 연구자그룹을 파악함으로서 국내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고찰함으로서 국내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기획하고 연구자 집단을 선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서 활용을 모색하였음. 이를 위해 다 부처 및 기업간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서 민감도 및 타당도가 높은 코호트 구축과 결과의 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 이러한 전략적 기획을 통해 암과 휴대전화와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표적 질환의 관리, 민감집단에 대한 포괄적인 예방지침 개발을 위한 정책개발 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함. 환자-대조군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 휴대전화 사용은 종양발생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음. 무엇보다도 장기간 대규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필요함
기대성과
휴대전화 전자파 건강유해 여부 정량화 및 근거에 기반한 정책개발과 전자파 노출과 종량의 관련성에 대한 최신지견을 정리하여 코호트 연구 및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의 타당성을 평가 하고, 연구실현 가능성이 높은 방법론을 개발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Abstract
▼
Objectives
To investigate cancer incidence by electromagnetic wave from mobile phone use, classified as Group 2B carcinogen by the IARC under the WHO in May 2011, we designed specific study methods such as large-scaled retrospective/prospective cohort construction and case-control study.
Metho
Objectives
To investigate cancer incidence by electromagnetic wave from mobile phone use, classified as Group 2B carcinogen by the IARC under the WHO in May 2011, we designed specific study methods such as large-scaled retrospective/prospective cohort construction and case-control study.
Methods
1) Reviewing literature and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related subjects, both domestic and overseas, we explored and reviewed relevant materials including the EMF research agenda of the WHO,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of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from mobile phone use with cancer incidence through ecological study.
2) Comprehending the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we performed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the literature.
3) We 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of the patient/control groups for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and developed study methods and protocols.
4) Linking the using records of mobile phone subscribers with cancer registry and death certificate data, we developed study methods such as classification of exposure rate and calculation of standardized incidence rate. During the process above, we reviewe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Privacy Protection Law, and established a cooperative system with relevant authorities.
5) By designing prospective cohort study through long-term follow-up survey, we selected population cohorts (from community, data of health insurance and health screening and special population cohorts) and target diseases such as brain tumor including glioma and acoustic neuroma, other head and neck cancers, solid cancer or other diseases. We calculated the number of the study target in regard with the incidence rate of target disease (glioma: 1.9 / 100,000 people; acoustic neuroma: 0.3 / 100,000 people), developed a method to measure exposure factors, and examin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6) Target population and the range of target disease regarding the vulnerable population were set up and the study design was proposed.
Results
1)When we reviewed the findings from the relevant studies regarding mobile phone use and the risk of tumors, since the end of the 1990s, mainly case-contro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and those findings are inconsistent. From the early 2000s, the Danish cohort study has reported its findings, which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the risk of tumors.
2) Through analytic result on researcher network studying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rs and disease incidence, 2 active international groups were observed. One is Swedish Orebro University Hospital’s oncology specialist team where Dr. Lennart Hardell is leading clinical studies. The other group belongs to Dr. Joachim Schuz from Institute of Cancer Epidemiology in Denmark and cancer epidemiology specialists and clinical experts from various countries under collaboration. However, we couldn’t find any domestic research groups working on the subject.
3)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31 case-control studies, there i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that mobile phone us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umors in subgroup meta-analyses of high-quality studies, studies not funded by mobile industry, and studies reporting mobile phone use of 10 years or more. In terms of the level of evidence, long-term, large prospective studies with the higher level of evidence are required.
4) We 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of patient/control groups for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 based on research ethics, and developed study methods and protocols to apply the standard case-control analysis based on them and to observe brain tumor as an outcome variable. For standardization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we linked the using records of mobile phone subscribers with cancer registry and death certificate data, and developed study methods such as classification of exposure rate and calculation of standardized incidence rat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system with relevant authorities and business was needed for 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use of study results and the review of research ethics, and we provided measures for the construction.
5) By designing the prospective cohort study through long-term follow-up survey, we could outgrow the epidemiologic study centering on the simple survey. Through the observational study based on the established cohort we could draw scientific evidences supporting the association between electromagnetic waves from mobile phones and health effects, as well. Based upon this result of our study we could plan socioeconomic, health scientific integr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rough systematic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epidemiological studies and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collected data, the database of the Korean population can be secured. To this end, firstly selecting healthcare institutions and target diseases, we constructed cohorts and followed the target cohort members. The result of this follow-up showed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with cancer incidence by confirming exposure amount to the phones and health risk determinants. Based on the result, we planned a step-by-step strategy such as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evention guidelines for the target diseases (smart phone apps).
6) We generated representative data by designing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exposure to the microwave of mobile phones with health effects in a sensitive group of children (children and adolescence under 18 years of age) and seniors (men and women of 65 years or more).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of epidemiological research we revealed causal relationship with cancer, and suggested a strategic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nd workable prevention guidelines. In addition, we understood the actual status of mobile phone use by the sensitive group through the cross-section survey, and suggested plans to ensure sufficient statistical power through multinational case-control study.
Conclusions
Correl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cancer risk has been revealed through reviewing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and current research status of related subjects, but few domestic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is subject. Our study, by exploring the current international status of its research and researcher group and considering the current domestic status, designed a methodology for domestic research, and tried to use it as objective data for selecting researcher group. To this end, the construction of highly-vulnerable and highly-valid cohorts and the enhancement of the efficient use of its results by build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relevant authorities and business are needed. Through such strategic planning we can reve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ncer risk and mobile phone use, and use it as policy development data for the management of target diseases and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evention guideline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Findings from the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showed mobile phone use can increase the risk of cancer incidence. Mostly required are long-term,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ies.
Expected effects
By arranging the policy development based on health risk quantific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atest knowledge on the association of exposure to microwave with cancer, we expect to develop a methodology which can assess the feasibility of cohort study and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and be easily applied to researche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목 차 ... 3
- 연구개발사업 최종연구개발결과보고서 요약문 ... 4
- Project Summery ... 6
- 1. 연구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9
- 제 1장.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9
- 제 2 장.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16
- 제 3 장. 연구개발의 세부목표 및 내용 ... 16
- 2. 연구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17
- 제 1 장.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 ... 17
- 제 2 장. 체계적 종설 및 메타분석 ... 17
- 제 3 장.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방안 기획 ... 20
- 제 4 장.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방안 기획 ... 20
- 제 5 장. 민감군 대상 연구방안기획 ... 22
- 3. 연구과제의 연구개발결과 ... 23
- 제 1 장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 ... 23
- 제 2 장 체계적 종설 및 메타분석 ... 100
- 제 3 장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 기획 ... 142
- 제 4 장 휴대폰 전자파와 암 발생 관련성 규명을 위한 코호트연구 기획 ... 160
- 제 5 장 민감 계층 대상 연구 기획 ... 249
- 4. 연구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73
- 제 1 장 국내.외 연구동향 ... 273
- 제 2장 체계적 종설 및 메타분석 ... 273
- 제 3 장 다기관 환자-대조군 연구 ... 274
- 제 4 장 휴대폰 전자파와 암 발생 관련성 규명을 위한 코호트 연구 ... 276
- 제 5 장 민감 계층 대상 연구 ... 277
- 5. 연구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278
- (1) 연구성과 총괄 ... 278
- (2) 연구성과 상세내역 ... 279
- (3)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286
- 6. 연구과제의 활용계획 ... 286
- (1) 연구종료 3년까지 예상 연구성과 ... 286
- (2)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 286
- 7. 참고문헌 ... 287
- 8. 첨부서류 ... 295
- 부 록 ... 302
- 부록 1. 휴대폰 가입 비용 및 요금 변천 현황 ... 303
- 부록 2. 무선통신 서비스 통계 현황 (2011.12월 말) ... 30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